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서 철학 심신수양론

동서 철학 심신수양론

이승환, 양운덕, 김철운, 임홍빈, 김종국, 김경호, 한명숙, 최준호, 손병석, 김재숙, 김미영, 장문정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800원 -10% 990원 16,830원 >

책 이미지

동서 철학 심신수양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서 철학 심신수양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26841068
· 쪽수 : 445쪽
· 출판일 : 2013-02-15

목차

서문

吉藏의 觀法이 갖는 修行論的 의미에 대한 고찰_한명숙
1. 들어가는 말
2. 吉藏의 修行論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의 비판적 검토
3. 吉藏의 修行論에 대한 체계적 이해
4. 맺음말

성명쌍수 : 도교의 수련과 진인의 경지_김재숙
1. 들어가는 말
2. 성명쌍수의 이론 근거
3. 성명쌍수의 수련법
4. 나가는 말

誠.敬 : 성리학적 수양론과 군자의 이상_김경호
1. 성.경 개념과 수양공부
2. 성.경 개념의 연원과 전개 과정
3. 북송 유학에서 성의 재발견
4. 성으로부터 성경으로, 다시 경으로
5. 경으로부터 다시 성과 경으로
6. 성.경과 주정.주경의 공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의 몸 : 후쿠자와 유키치의 <여대학평론>을 중심으로_김미영
1. 문제제기
2. 여훈서의 성립배경-유교화과정과 <여대학>
3.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상 및 그 비판-후쿠자와 유키치의 <여대학평론>을 중심으로
4. 후쿠자와 유키치의 근대적 인간상과 여성의 몸

‘수신(修身)’의 근대적 변용 : 국가에 의해 유폐된 개인_김철운
1. 근대적 수신교육의 등장
2. <수신교과서>의 이론적 배경
3. 수신하는 신체: 국민이 되기 위한 신체
4. 실천하는 신체: 국민국가가 되는 길
5. 수신교육의 재정립을 위하여

후기 근대적 신체 : 주체의 부박(浮薄)함에 대하여_이승환
1. 우리 시대의 화두: 몸
2. 후기근대적 신체-주체의 일곱 가지 특징들
3. ‘부박(浮薄)한 주체’에서 ‘뿌리 깊고 강고한(根深?固) 주체’로 / 217

무정념(a)pa/qeia) : 현인(賢人)에 이르는 스토아적 이상과 실천_손병석

칸트와 쉴러에서 미의 경험과 도야_최준호
1. 들어가는 말
2. 칸트의 미의 경험과 도야
3. 쉴러의 미의 경험과 도야
4. 맺음말

공적 쾌락과 사적 금욕 : 벤담과 칸트에서 ‘금욕’의 문제_김종국
1. 들어가는 말: ‘금욕’과 ‘쾌락의 활용’-아스케제의 두 계기
2. 공적 쾌락(벤담)
3. 사적 금욕(칸트)
4. 맺는말

‘사변적 정신’과 욕망의 문제_임홍빈
1. 서론
2. 본론
3. 결론

자기를 낮추는 기술로서의 글쓰기: 후기구조주의를 중심으로_장문정
1. 들어가는 말: 우리 시대, 수양은 어떻게 가능한가?
2. 근대 미학 비판과 테크네(techne) 개념
3. 언어학적 전회와 말하는 주체
4. 자기를 낮추는 기술로서의 글쓰기
5. 결론

미시권력들의 작용과 생명 정치 : 푸꼬의 권력분석틀과 아감벤의 근대 생명정치학 비판_양운덕
1. 들어가며
2. 미시권력의 분석틀과 생명관리 권력
3. 생명 정치와 근대의 희생당하는 인간
4. 맺는말

저자소개

이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교 철학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하와이 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를 거쳐 2018년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동양철학회 회장과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횡설과 수설: 400년을 이어 온 성리 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유교 담론의 지형학』, 『유가 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e-mail을 주고받다』(공저), 『중국 철학』(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未發)의 의미」, 「성리학 기호 배치 방식으로 보는 조선 유학의 분기」 등이 있다.
펼치기
양운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학과에서 공부하고 헤겔 연구(『헤겔 철학에 나타난 개체와 공동체의 변증법』)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관심 주제는 호모 사케르의 정치철학과 비잠재성의 사고, (하이데거의) 존재 물음과 함께/다르게 사고하기, 시간적 생성과 수동적 종합을 탐구하는 ‘시간성’의 철학, 문학-예술이 창조한 존재자들을 해명하는 문학-예술적 존재론 등을 연구한다. 연구실 ‘필로소피아’에서 철학과 문학 중심의 강의를 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사랑의 인문학』, 『보르헤스의 지팡이』, 『미셸 푸코』 등이 있다. 그리고 『카프카의 미소』, 『보르헤스의 지팡이2』, 『하이데거 존재론에 맞서는 사고들』, 『프루스트의 문학적 시간의 존재론』, 『문학의 1001가지 질문들』 시리즈 등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김철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지금은 율곡연구원에 근무하고 있다. 주요 논문에는 「공자의 ‘앎’(知): 인도人道의 실현」, 「맹자의 용하변이설用夏變夷說」, 「農巖金昌協、三淵金昌翕人性與物性同論之研究」(中文) 등 다수가 있고, 저서에는 『공자와 유가』(2007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 『중국의 패권주의와 그 뿌리』 등이 있다. 공저에는 『처음 읽는 중국현대철학』, 역서에는 『일곱 주제로 만나는 동서 비교철학』(공역, 2002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임홍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철학, 사회학, 교육학 등을 연구하고 동 대학에서 철학 석사와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남대학교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Absoluter Unterschied und Begrif f in der Philsophie Hegels (Frankfurt, 1990), 『기술 문명과 철학』(1995), 『근대적 이성과 헤겔 철학』(1996), 『세계화의 철학적 담론』(2002) 등이 있으며 실천 철학, 기술 철학, 독일 고전 철학 등에 관한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공역서로 『정신분석 강의』(프로이트)가 있다.
펼치기
김종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포스트닥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연구 교수로 일했다.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다. 주요 저서로는 『논쟁을 통해 본 칸트 실천철학』, 『책임인가 자율인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기술공학 시대는 새로운 형이상학을 요구하는가?」, 「생태 윤리와 공적 책임」, “Golden Rule in Eastern Philosophy”, “Kants L?genverbot in sozialethischer Perspektive”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윤리학 사전』(공역), 『물질·정신·창조: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철학적 성찰』(공역)이 있다.
펼치기
김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호남학과·호남학연구원 교수 강원도 고성의 공현진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율곡 이이의 심 성론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철학과 지역지성사를 가르치면서 감성유학론과 한국인의 감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횡단적 보편학으로서 감성인문학과 호남학의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동양적 사유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리와 기의 조화와 충돌 그리고 탈출』,『감성유학의 지평』 등이 있으며,『공감장이란 무엇인가』,『우리시대의 사랑』,『한국유학사상대계』,『조선유학의 개념들』 등을 여러 사람과 함께 썼다.
펼치기
한명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길장吉藏의 삼론사상연구三論思想硏究 : 무득無得의 전오방식轉悟方式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길장吉藏의 관법觀法이 갖는 수행론적 의미에 대한 고찰」·「의적의 『무량수경술의기』와 경흥의 『무량수경연의술문찬』 찬술의 선후문제에 대한 연구 (1), (2)」·「元曉 『金光明經疏』 輯逸의 현황과 그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2)」·「淨土敎의 종지는 불교의 근본사상과 공존이 가능한 것인가?」 등이 있고, 역주서로 『유심안락도』·『무량수경연의술문찬』·『법구경』등이 있으며, 공저로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사상』·『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동서철학 심신관계론의 가치론적 조명』·『동서철학 심신수양론』·『동서철학 심신가치론과 현대사회』 등이 있다.
펼치기
최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칸트의 반성적 판단과 목적론적 세계」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대전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마이너리거를 위한 철학여행>(2012), <수행성과 매체성: 21세기 인문학의 쟁점>(공저, 2012)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데리다 이후의 칸트 미학」, 「Mimesis and Its Effect in Plato’s Philosophy of Art」, 「Naturschonheit und Kultur」, 「미의 가치: 미학에서 지각학으로의 전환과 관련하여」 등이 있다.
펼치기
손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리스 아테네 국립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해 연구했다. 하버드대학 철학과 객원교수를 거쳤으며, 국제 그리스 철학회 명예회원이다. ‘EBS 민주주의 특강’ 시리즈에서 ‘최초의 민주주의’에 관한 강연을 한 바 있으며,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연구: 플라톤과의 대화』, 『고대 희랍·로마의 분노론』, 『호모주리디쿠스: 정의로운 인간을 찾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소크라테스의 비밀』(공역)이 있다. 논문으로 「부동의 원동자로서의 신은 목적인이자 작용인이 될 수 있는가」, 「공적주의 정의론과 최선의 국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형기신: 심신대립을 넘어선 도가적 정신해방」,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등이 있고, 그 외 <조선시대 삶과 생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주희의 불교비판과 공부론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하였고, 이후 주자학 관련 다수의 논문 발표. 현재 <한국철학의 정체성 탐구>라는 책을 저술 중이다.
펼치기
장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조교수(2002~2008)를 역임했으며, 2001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 <메를로-뽕띠의 살의 기호학>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는 「왜 페미니스트가 신을 말하는가?-페미니스트의 키에르케고어되기와 키에르케고어의 여성되기」, 「어떻게 진리가 가능한가-라깡과 키에르케고어의 ‘말할 수 없는 것’의 말하기」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6841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