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8178511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20-02-29
책 소개
목차
1부 가족주의의 탄생과 명암
조선시대 ‘가족(家族)’의 등장과 성리학_박미선
Ⅰ. 머리말
Ⅱ. ‘가족’의 기원
Ⅲ. ‘가족’ 관련 용례의 검토
Ⅳ. 성리학의 심화와 ‘가족’의 부상
Ⅴ. 맺음말
19세기 서울, 욕망 투쟁과 가족 해체의 관계
-「布衣交集」을 중심으로_한의숭
Ⅰ. 머리말
Ⅱ. 조선의 법제도와 여성의 현실
Ⅲ. 「포의교집」에 나타난 19세기 서울의 욕망 투쟁의 양상
Ⅳ. 욕망 투쟁과 가족 해체의 관계와 그 의미
Ⅴ. 맺음말 ? 전근대 시기 가족과 고소설사의 관계
서얼의 관직 진출 관련법과 논의에 반영된 조선의 친족 질서_박경
Ⅰ. 머리말
Ⅱ. 15세기 서얼 관직 진출 제한법 제정과 그 배경
Ⅲ. 16세기 이후 서얼 허통론의 전개와 서얼 역사의 재창출
Ⅳ. 맺음말
메이지 일본의 ‘양처현모’론 탄생의 맥락:
도쿠가와 시대 여성담론으로부터의 연속과 단절_이새봄
Ⅰ. 머리말
Ⅱ. 도쿠가와 시대의 여성론
Ⅲ. 메이지 초기의 여성론
Ⅳ. 맺음말
2부 아시아 가족 담론의 궤적과 현재
가족주의는 야만인가?-한국사회의 가족담론에 대한 성찰_김경호
Ⅰ. 문제제기
Ⅱ. 유교와 일상화된 가족 이데올로기
Ⅲ. 조선의 유교적 가(家)와 가문(家門)
Ⅳ. 식민과 변형된 가족주의
Ⅴ. 결론을 대신하여 ? 새로운 가족감성을 위한 제언
근대 가족이 배제한 것 -「낙태」 · 영유아살해 · 인구억제_가나즈 히데미
Ⅰ. 시작하며
Ⅱ. 막말 시모우사(下?)에서의 「육아장려」책
Ⅲ. 초대 지바현령 시바하라 야와라의 ‘육아’정책
Ⅳ. 〈産〉의 신고와 의사 · 산파
Ⅴ. 마치며
젠더화 된 가족주의와 여성 권리 증진의 수사법:
인도의 초등입문서에 대한 연구_마드후 쿠슈와하
Ⅰ. 연구배경
Ⅱ.연구의 필요성
Ⅲ. 연구방법론
Ⅳ. 표본과 교과서 선택
Ⅴ. 결론
Ⅵ. 제안
사회주의 시대 및 사회주의 이후 몽골 가족 변화에 대한 고찰_테. 부렝자르갈
Ⅰ. 서론
Ⅱ. 몽골 가족 관련 법 · 제도적 측면의 변화
Ⅲ. 몽골 가족의 인구학적 변화
Ⅳ. 몽골 가족 구조의 변동
Ⅴ. 결론
3부 열린 가족의 가능성에 대한인문학적 탐구
가족적인 것의 확장: 유사성과 차이성_류도향
Ⅰ. 한국 근대가족담론의 변화
Ⅱ. 가족의 재구조화 원리로서 친밀성
Ⅲ. 가족적인 것 : 신체매개적 공동체성
Ⅳ. 태도로서 가족확장원리 : 유사성과 차이성의 변증법
Ⅴ. 나오는 말
기형도 시에 나타난 가족상과 관계성에 대한 시적 통찰_김청우
Ⅰ. 서론
Ⅱ. ‘흐름’과 ‘멈춤’ - 거리와 방
Ⅲ. ‘경악-정지’의 의미
Ⅳ. ‘식물’ 은유와 물성의 강조
Ⅴ. 결론
‘행복한’ 가족, 산산이 부서지다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_김은영
I. 들어가며
II. ‘행복한’ 빅토리아조 엄마 되기의 실패
III. ‘행복한’ 빅토리아조 가족 속의 타자와 왜상
IV. 나오며
가족-공동체의 도래를 기다리며:
이창동의 『밀양』과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 읽기_강의혁
I. 들어가며
II. 극영화 문법으로부터의 일탈
III. 리얼리즘을 통한 가족의 재정의: 『밀양』
IV. 리얼리즘을 통한 가족의 재정의: 『어느 가족』
V. 나가며: 『밀양』과 『어느 가족』의 가족-공동체 형식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