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족주의와 가족의 경계들

가족주의와 가족의 경계들

박미선, 박경, 이새봄, 김경호, 가나즈 히데미, 마드후 쿠슈와하, 테. 부렝자르갈, 류도향, 김청우, 김은영, 강의혁 (지은이)
한국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가족주의와 가족의 경계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족주의와 가족의 경계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8178511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20-02-29

책 소개

전남대학교 HK+가족커뮤니티사업단이 2018년 제1회 국내학술대회 “가족패러다임의 대전환과 인문학적 지평”, 2019년 제1회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 가족주의와 가족의 경계들”, 2019년 공동학술대회 “근대 동아시아와 가족공동체”, 그리고 HK+교원 세미나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기반으로 삼아 기획된 책이다.

목차

1부 가족주의의 탄생과 명암
조선시대 ‘가족(家族)’의 등장과 성리학_박미선
Ⅰ. 머리말
Ⅱ. ‘가족’의 기원
Ⅲ. ‘가족’ 관련 용례의 검토
Ⅳ. 성리학의 심화와 ‘가족’의 부상
Ⅴ. 맺음말

19세기 서울, 욕망 투쟁과 가족 해체의 관계
-「布衣交集」을 중심으로_한의숭
Ⅰ. 머리말
Ⅱ. 조선의 법제도와 여성의 현실
Ⅲ. 「포의교집」에 나타난 19세기 서울의 욕망 투쟁의 양상
Ⅳ. 욕망 투쟁과 가족 해체의 관계와 그 의미
Ⅴ. 맺음말 ? 전근대 시기 가족과 고소설사의 관계

서얼의 관직 진출 관련법과 논의에 반영된 조선의 친족 질서_박경
Ⅰ. 머리말
Ⅱ. 15세기 서얼 관직 진출 제한법 제정과 그 배경
Ⅲ. 16세기 이후 서얼 허통론의 전개와 서얼 역사의 재창출
Ⅳ. 맺음말
메이지 일본의 ‘양처현모’론 탄생의 맥락:
도쿠가와 시대 여성담론으로부터의 연속과 단절_이새봄
Ⅰ. 머리말
Ⅱ. 도쿠가와 시대의 여성론
Ⅲ. 메이지 초기의 여성론
Ⅳ. 맺음말

2부 아시아 가족 담론의 궤적과 현재
가족주의는 야만인가?-한국사회의 가족담론에 대한 성찰_김경호
Ⅰ. 문제제기
Ⅱ. 유교와 일상화된 가족 이데올로기
Ⅲ. 조선의 유교적 가(家)와 가문(家門)
Ⅳ. 식민과 변형된 가족주의
Ⅴ. 결론을 대신하여 ? 새로운 가족감성을 위한 제언

근대 가족이 배제한 것 -「낙태」 · 영유아살해 · 인구억제_가나즈 히데미
Ⅰ. 시작하며
Ⅱ. 막말 시모우사(下?)에서의 「육아장려」책
Ⅲ. 초대 지바현령 시바하라 야와라의 ‘육아’정책
Ⅳ. 〈産〉의 신고와 의사 · 산파
Ⅴ. 마치며

젠더화 된 가족주의와 여성 권리 증진의 수사법:
인도의 초등입문서에 대한 연구_마드후 쿠슈와하
Ⅰ. 연구배경
Ⅱ.연구의 필요성
Ⅲ. 연구방법론
Ⅳ. 표본과 교과서 선택
Ⅴ. 결론
Ⅵ. 제안

사회주의 시대 및 사회주의 이후 몽골 가족 변화에 대한 고찰_테. 부렝자르갈
Ⅰ. 서론
Ⅱ. 몽골 가족 관련 법 · 제도적 측면의 변화
Ⅲ. 몽골 가족의 인구학적 변화
Ⅳ. 몽골 가족 구조의 변동
Ⅴ. 결론

3부 열린 가족의 가능성에 대한인문학적 탐구
가족적인 것의 확장: 유사성과 차이성_류도향
Ⅰ. 한국 근대가족담론의 변화
Ⅱ. 가족의 재구조화 원리로서 친밀성
Ⅲ. 가족적인 것 : 신체매개적 공동체성
Ⅳ. 태도로서 가족확장원리 : 유사성과 차이성의 변증법
Ⅴ. 나오는 말
기형도 시에 나타난 가족상과 관계성에 대한 시적 통찰_김청우
Ⅰ. 서론
Ⅱ. ‘흐름’과 ‘멈춤’ - 거리와 방
Ⅲ. ‘경악-정지’의 의미
Ⅳ. ‘식물’ 은유와 물성의 강조
Ⅴ. 결론

‘행복한’ 가족, 산산이 부서지다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_김은영
I. 들어가며
II. ‘행복한’ 빅토리아조 엄마 되기의 실패
III. ‘행복한’ 빅토리아조 가족 속의 타자와 왜상
IV. 나오며

가족-공동체의 도래를 기다리며:
이창동의 『밀양』과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 읽기_강의혁
I. 들어가며
II. 극영화 문법으로부터의 일탈
III. 리얼리즘을 통한 가족의 재정의: 『밀양』
IV. 리얼리즘을 통한 가족의 재정의: 『어느 가족』
V. 나가며: 『밀양』과 『어느 가족』의 가족-공동체 형식 제안

저자소개

가나즈 히데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오사카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일본학 전공 졸업(문학박사) 前 한국 신라대학교 일어교육과 전임강사 前 한국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現 일본 리쓰메이칸대학 문학부 준교수 저서 『사상전의 기록―조선의 방공운동』 (공저/공역), 학고방, 2014 외 다수 논문 「식민지 조선의 행려방사자와 종교단체」 『한국종교』 41집, 2017 「“여성”을 말하는 의학(醫學) 학지(學知) -제국 일본과 산과학(産科 學)-」 『일본역사연구』 28권, 2008
펼치기
김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호남학과·호남학연구원 교수 강원도 고성의 공현진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율곡 이이의 심 성론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철학과 지역지성사를 가르치면서 감성유학론과 한국인의 감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횡단적 보편학으로서 감성인문학과 호남학의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동양적 사유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리와 기의 조화와 충돌 그리고 탈출』,『감성유학의 지평』 등이 있으며,『공감장이란 무엇인가』,『우리시대의 사랑』,『한국유학사상대계』,『조선유학의 개념들』 등을 여러 사람과 함께 썼다.
펼치기
류도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분야는 사회철학, 미학, 가족커뮤니티인문학이며, 대표 논문으로 「가족하기-되기: 연결의 메타플라즘」(2023), 「열린 가족과 진보적 장소감」(2020)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국사회의 가족이데올로기, 가부장주의를 해체하고 다양한 친밀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규명하며 관계정치학, 커뮤니티 이론, 도시 커뮤니티에 대한 학제적 융합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펼치기
류도향의 다른 책 >
박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교수. 한국사(조선 전기사) 전공. 주요 논문으로 「원거리 소송을 통해 본 조선 시대 권리 보호 수준에 대하여 ?16세기 말~17세기 초 제주민 강언준과 서울민 이순달의 노비 소송을 중심으로」, 「義子의 養子 지정 사례를 통해 본 16세기 收養, 侍養 관행 - 「1584년 나주목 결급 입안」의 향리가 양자 사례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청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3년 광주광역시에서 출생, 2002년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으며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시를 전공했다. 2003년 『시현실』 시 부문 신인상, 2011년 박상순론으로 『시와세계』 평론 부문 신인상을 받으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했고, 이후 『빨간 두건의 배 속에 잠들어 배고픈 늑대의 꿈』(문학들, 2015), 『타이포토피아』(시와반시, 2020) 두 권의 시집을 출간했다. 2016년 『한국 전후시의 공간 인지 특성 연구 - 서정주, 신동문, 김구용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졸업 후 전남대학교 HK+ 가족커뮤니티사업단에 참여할 기회를 얻어 가족과 공동체에 관한 학제간연구를 진행, 몇 권의 공저를 출간하기도 했다. 현대시와 현대문학 이론 전반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지만, 현대시의 음악성, 한국 현대 시론에 관한 인지시학적 해석, 그리고 시적 담론을 통한 윤리 문제 탐색 등에 특히 매진하고 있다. 2021년부터 국립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함께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강의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부교수. 폭력비판 및 평화학에 대한 문화연구를 폭넓게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구조적 폭력비판과 새롭게 등장하는 커뮤니티 문화형식에 초점을 맞춘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커뮤니티와 면역성: 폭력에 대한 사유」(2020)와 「『유독한 신체』에 드러난 수전 안토네타의 신체의 정치학」(2023) 등이 있다.
펼치기
박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朝鮮時代 國婚儀禮 硏究」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저서로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함께하는 시간-가족커뮤니티의 개념들 관계편 3』 『양반과 왕실의 문화교류-조선시대 예제와 의례 문화의 확산』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조선 후기 호남 양반의 서행西行 경로와 여행 풍경」 「『충효록』의 편찬과 가문의식」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본 가족담론의 변화」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새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출생. 세이케이(成蹊)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도쿄대학에서 19세기 일본사상사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自由」を求めた儒者-中村正直の理想と現實』(中央公論新社, 2020)를 출간했다. 저역서로 『메이로쿠 잡지』(빈서재, 2021), 와타나베 히로시(渡邊浩)의 『동아시아의 왕권과 사상』 한국어 번역본(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3)이 있다.
펼치기
마드후 쿠슈와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바나라시 힌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30여 편을 상회하는 논문을 출판하였으며, 주로 인도의 여성 교육, 그리고 남성성과 민족주의, 계급 차이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치적 맥락에서의 교육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글을 써왔다. 주요 저서로 Gender and Education이 있다.
펼치기
테. 부렝자르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여성 문제와 사회적 계층화, 가족사회학, 사회구조의 사회학, 청소년 연구, 가족사회학 등의 분야 35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43개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현대 영미시 전공. 주요 논문 및 저서로 「공간의 기억과 가족서사의 와해 윌리엄 트레버의 『운명의 어릿광대들』」, 『초국가 시대의 역사, 인종, 젠더』(공저) 등이 있다. 아일랜드 문학 및 최근 영어권 문학이 주요 연구 관심사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8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