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계몽된 상식

계몽된 상식

(비판적 실재론의 철학)

로이 바스카 (지은이), 머빈 하트윅 (엮은이), 김명희, 서덕희, 서민규, 이기홍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800원 -0% 0원
490원
49,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계몽된 상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계몽된 상식 (비판적 실재론의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과학철학
· ISBN : 9788946075566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1970년대 이래 비판적 실재론은 경제학, 철학, 과학, 종교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들을 다루며 발전해 왔고, 이제는 복잡하고 성숙한 철학이 되었다. 『계몽된 상식: 비판적 실재론의 철학』은 이러한 발전을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고 있다. 2014년 작고한 로이 바스카는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창시자이자 대표자였다. 이 책에서 그는 평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향력을 증대하고 있는 국제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목차

약어
편집자 서문
감사의 말씀

Chapter 1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전제가정들과 기원들
1.1 철학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 접근의 두드러진 특징│1.2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기원, 발전, 차이 그리고 책의 구성│1.3 존재론의 옹호가 사회이론에 대해 갖는 중요성│1.4 앞으로 나올 주장을 미리 제시한다

Chapter 2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철학
2.1 이중의 논증: 존재론의 옹호 그리고 새로운 존재론의 옹호│2.2 존재론을 옹호하는 논증의 함의│2.3 새로운 존재론을 옹호하는 논증의 함의│2.4 초월적 실재론의 결과를 추적한다│2.5 실재적인 것의 영역과 현실적인 것의 영역 사이의 분리에 관한 주석│2.6 초월적 실재론을 옹호하는 논증을 심화한다│2.7 현실주의의 난제들│2.8 초월적 실재론의 내재적 맥락과 초월적 필연성│2.9 비판적 실재론 안에서 존재론의 추가 발전│2.10 비실재론적 대안들과 인류중심성에 대한 비판

Chapter 3 비판적 자연주의와 사회과학철학
3.1 방법론적 예비│3.2 초월적 실재론, 사회과학철학과 자연주의의 문제│3.3 거시이원론의 초월과 사회이론 비판│3.4 미시이원론의 초월: 의도적 인과성과 인간 행위성의 형성│3.6 (주체적) 행위와 현실주의

Chapter 4 응용된 비판적 실재론과 학제성
4.1 일반적인 응용된 비판적 실재론│4.2 학제적 연구│4.3 응용된 비판적 실재론 연구에서 비판적 실재론의 추가적 발전을 활용하기

Chapter 5 윤리와 언어: 설명적 비판과 비판적 담론 분석
5.1 설명적 비판과 윤리│5.2 비판적 담론 분석과 언어

Chapter 6 비판적 실재론의 전개 I: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
6.1 존재론의 발전│6.2 부재와 변화│6.3 변증법과 2E 일반│6.4 1M 비동일성│6.5 3L 총체성│6.6 4D 변형적 실천│6.7 자유의 변증법│6.8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의 변증법적 제시

Chapter 7 비판적 실재론의 전개 II: 메타실재의 철학
7.1 초월적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과 메타실재의 철학: ‘영성적 전환’의 두 가지 국면│7.2 동일성과 통일성의 우위│7.3 메타실재에 대한 기본적인 논증│7.4 메타실재의 원리│7.5 자유의 논리의 확장│7.6 창의성, 배움과 교육, 그리고 담론적 지성에 대한 비판│7.7 사랑의 순환│7.8 영성│7.9 평화와 갈등 해결

Chapter 8 근대성의 철학적 담론과 서구 철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
8.1 근대성의 철학적 담론 비판│8.2 서구 철학 전통 비판│8.3 그래서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가?

Chapter 9 비판적 실재론과 좋은 사회의 존재론
9.1 비판적 실재론의 변증법적 발전과 지식의 아치 전통의 붕괴│9.2 비판적 실재론과 좋은 사회의 존재론│9.3 비판적 실재론의 장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로이 바스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창시자이며 호평 받고 영향력 있는 다수 저서를 펴낸 대표자이다. 그의 저작은 『실재론적 과학론(A Realist Theory of Science)』, 『자연주의의 가능성(The Possibility of Naturalism)』, 『과학적 실재론과 인간 해방(Scientific Realism and Human Emancipation)』, 『변증법: 자유의 맥박(Dialectic: The Pulse of Freedom)』, 『플라톤 등(Plato Etc.)』, 『메타실재에 대한 고찰(Reflections on MetaReality)』, 『과학에서 해방으로(From Science to Emancipation)』 그리고 (머빈 하트윅과 함께 저술한) 『비판적 실재론의 형성(The Formation of Critical Realism)』 등이 있다. 그는 『비판적 실재론: 핵심적 읽을거리(Critical Realism: Essential Readings)』, 『학제성과 기후변화(Interdisciplinarity and Climate Change)』, 『위기의 세계에서 생태철학(Ecophilosophy in a World of Crisis)』의 편집자이자 주요 필자이다. 그는 비판적 실재론 연구중심(Center for Critical Realism)의 창립 의장이었다. 그는 또한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의 비판적 실재론 국제 연구중심(International Centre of Critical Realism at the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의 소장이자 세계 학자(World Scholar)였다.
펼치기
이기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92년부터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공부했다. 사회과학철학, 사회과학방법론, 사회이론을 전공한다. “사회과학에서 법칙과 설명”(2016), “양적 방법의 지배와 그 결과: 식민지근대화론의 방법론적 검토”(2016), “사회과학에서 가치와 객관성”(2015), “한국사회학에서 마르크스와 과학적 방법”(2013), “양?질 구분을 다시 생각한다”(2012), “양적 방법의 사회학”(2010), “과학과 정치 또는 과학의 정치화”(2008),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2006), “추상화?비판적 실재론의 해석”(2003), “사회현실과 사회이론”(2003), “사회구조는 무엇을 가리키는가”(2002), “실재론적 과학관과 사회과학의 연구방법”(1998), “행위, 행위주체 그리고 구조”(1994), “철학의 빈곤, 과학의 빈곤”(1988)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번역서로 『사회연구의 방법론』(2015), 『사회과학의 철학』(2014), 『비판적 실재론: 로이 바스카의 과학철학』(2010), 『비판적 실재론과 해방의 사회과학』(2007), 『비판적 자연주의와 사회과학』(2005),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2005), 『새로운 사회과학방법론: 비판적 실재론의 접근』(2005), 『사회연구의 철학』(2000), 『사회과학방법론: 실재론적 접근』(1999), 『과학으로서의 사회이론』(1997), 『새로운 사회과학철학』(1995), 『마르크스의 방법론』(1989, 까치) 등이 있다. 저서는 『사회과학의 철학적 기초』(2015)가 있다.
펼치기
서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홈스쿨링을 만나다』, 『다문화사회와 교육』, 『내 안의 디아스포라』 등의 저서와 「교육인류학의 미래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서 바스카의 비판적 실재론」, 「“이게 학교야?”: 코로나 팬데믹 상황, 온라인학교 체험을 통해 본 학교의 의미」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서민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양대학교 인문융합학부 교수. 『마우리치오 페라리스』, Reality and Self-Realisation, Critical Realism and Spirituality 등의 저서와 「‘인간다움’에 대한 반인간주의적 접근 – 포스트휴먼 시대의 실재론」, 「반인간주의 실재론의 가능성: 로이 바스카의 메타실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통합적 인간과학의 가능성: 맑스와 뒤르케임의 실재론적 귀환』,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공저) 등의 저서와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과학의 유기적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과학과 도덕의 재통합」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명희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철학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적 접근의 몇 가지 독특한 특징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1장 1절). 그 특징들은 (i) 인간의 안녕(well-being)을 지향하는 과학과 실천들을 위한 철학적 기초작업자가 되려는 의도, (ii) 진지함, 즉 이론과 실천의 통일에 대한 헌신, (iii) 내재적 비판의 방법, (iv) 철학에 관한 실재론의 입장, 즉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실천의 일반적으로 무성찰적인 전제가정들을 해명하려는 목표와 초월적 논증(일종의 역행추론으로 이해하는)에 대한 헌신, (v) 증대된 성찰성 그리고/또는 변형된 실천의 목표, (vi) 헤르메스의 원리(hermetic principle), 즉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그리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하고 모든 사람이 검증 가능해야 한다는 원칙에 대한 지지, 그리고 (vii) 비판성과 성향적 실재론에 대한 헌신이다. _ Chapter 1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전제가정들과 기원들


내가 DREI(C) 도식(schema)이라고 부르는 것은 특징적인 과학적 발견의 논리를 정의한다. 첫 번째 단계인 서술(description: D)은 사건들이나 현상들의 일부 유형에 대한 서술로 구성된다. 다음 단계는 역행추론(retroduction: R)을 포함한다. 이것은 존재한다면 문제의 현상이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는 가능한 기제들을 상상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천에서는 분명히 상상할 수 있는 기제들의 수가 많고 어쩌면 무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다음 단계는 이 사례에 적용되지 않는 기제들의 소거(elimination: E)일 것이다. 그런 다음 작동하고 있는 인과적으로 효력이 있는 발생기제나 구조의 판별(identification: I)로 구성되는 가장 흥미로운 단계가 이어진다. 마지막 단계 정정(correction: C)은 이러한 판별에 비추어 이전의 발견들에 대한 반복적 정정(iterative correction)을 나타낸다. _ Chapter 2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철학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