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과학철학
· ISBN : 9788946075566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목차
약어
편집자 서문
감사의 말씀
Chapter 1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전제가정들과 기원들
1.1 철학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 접근의 두드러진 특징│1.2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기원, 발전, 차이 그리고 책의 구성│1.3 존재론의 옹호가 사회이론에 대해 갖는 중요성│1.4 앞으로 나올 주장을 미리 제시한다
Chapter 2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철학
2.1 이중의 논증: 존재론의 옹호 그리고 새로운 존재론의 옹호│2.2 존재론을 옹호하는 논증의 함의│2.3 새로운 존재론을 옹호하는 논증의 함의│2.4 초월적 실재론의 결과를 추적한다│2.5 실재적인 것의 영역과 현실적인 것의 영역 사이의 분리에 관한 주석│2.6 초월적 실재론을 옹호하는 논증을 심화한다│2.7 현실주의의 난제들│2.8 초월적 실재론의 내재적 맥락과 초월적 필연성│2.9 비판적 실재론 안에서 존재론의 추가 발전│2.10 비실재론적 대안들과 인류중심성에 대한 비판
Chapter 3 비판적 자연주의와 사회과학철학
3.1 방법론적 예비│3.2 초월적 실재론, 사회과학철학과 자연주의의 문제│3.3 거시이원론의 초월과 사회이론 비판│3.4 미시이원론의 초월: 의도적 인과성과 인간 행위성의 형성│3.6 (주체적) 행위와 현실주의
Chapter 4 응용된 비판적 실재론과 학제성
4.1 일반적인 응용된 비판적 실재론│4.2 학제적 연구│4.3 응용된 비판적 실재론 연구에서 비판적 실재론의 추가적 발전을 활용하기
Chapter 5 윤리와 언어: 설명적 비판과 비판적 담론 분석
5.1 설명적 비판과 윤리│5.2 비판적 담론 분석과 언어
Chapter 6 비판적 실재론의 전개 I: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
6.1 존재론의 발전│6.2 부재와 변화│6.3 변증법과 2E 일반│6.4 1M 비동일성│6.5 3L 총체성│6.6 4D 변형적 실천│6.7 자유의 변증법│6.8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의 변증법적 제시
Chapter 7 비판적 실재론의 전개 II: 메타실재의 철학
7.1 초월적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과 메타실재의 철학: ‘영성적 전환’의 두 가지 국면│7.2 동일성과 통일성의 우위│7.3 메타실재에 대한 기본적인 논증│7.4 메타실재의 원리│7.5 자유의 논리의 확장│7.6 창의성, 배움과 교육, 그리고 담론적 지성에 대한 비판│7.7 사랑의 순환│7.8 영성│7.9 평화와 갈등 해결
Chapter 8 근대성의 철학적 담론과 서구 철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
8.1 근대성의 철학적 담론 비판│8.2 서구 철학 전통 비판│8.3 그래서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가?
Chapter 9 비판적 실재론과 좋은 사회의 존재론
9.1 비판적 실재론의 변증법적 발전과 지식의 아치 전통의 붕괴│9.2 비판적 실재론과 좋은 사회의 존재론│9.3 비판적 실재론의 장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철학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적 접근의 몇 가지 독특한 특징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1장 1절). 그 특징들은 (i) 인간의 안녕(well-being)을 지향하는 과학과 실천들을 위한 철학적 기초작업자가 되려는 의도, (ii) 진지함, 즉 이론과 실천의 통일에 대한 헌신, (iii) 내재적 비판의 방법, (iv) 철학에 관한 실재론의 입장, 즉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실천의 일반적으로 무성찰적인 전제가정들을 해명하려는 목표와 초월적 논증(일종의 역행추론으로 이해하는)에 대한 헌신, (v) 증대된 성찰성 그리고/또는 변형된 실천의 목표, (vi) 헤르메스의 원리(hermetic principle), 즉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그리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하고 모든 사람이 검증 가능해야 한다는 원칙에 대한 지지, 그리고 (vii) 비판성과 성향적 실재론에 대한 헌신이다. _ Chapter 1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전제가정들과 기원들
내가 DREI(C) 도식(schema)이라고 부르는 것은 특징적인 과학적 발견의 논리를 정의한다. 첫 번째 단계인 서술(description: D)은 사건들이나 현상들의 일부 유형에 대한 서술로 구성된다. 다음 단계는 역행추론(retroduction: R)을 포함한다. 이것은 존재한다면 문제의 현상이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는 가능한 기제들을 상상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천에서는 분명히 상상할 수 있는 기제들의 수가 많고 어쩌면 무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다음 단계는 이 사례에 적용되지 않는 기제들의 소거(elimination: E)일 것이다. 그런 다음 작동하고 있는 인과적으로 효력이 있는 발생기제나 구조의 판별(identification: I)로 구성되는 가장 흥미로운 단계가 이어진다. 마지막 단계 정정(correction: C)은 이러한 판별에 비추어 이전의 발견들에 대한 반복적 정정(iterative correction)을 나타낸다. _ Chapter 2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