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전) 경기도박물관장
(전) 한성백제박물관 전시기획과장·관장
(전) 경기대·고려대·공주대 · 서울교대·한국외대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사
저서
『21세기 한국고대사』,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백제와 근초고왕』 등
펼치기
노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부임하여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를 거쳐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2014년 8월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고대사학회 1~4대 회장, 백제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 전시기획실무위원회 위원장,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 백제문화사대계(25권) 편집위원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30권) 편집위원장, 경상북도 목판사업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정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백제정치사연구》(1988), 《백제부흥운동사》(2003), 《백제사회사상사》(2010),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2012), 《백제정치사》(2018), 《역사의 맞수: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2020),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2022), 《한국고대의 수전 농업과 수리시설》(공저, 2010),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1~5》(공역주, 2012),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14),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공저, 2016),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권오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박물관 관장 일도 하고 있습니다. 《백제를 왜 문화 강국이라고 하나요?》 등을 썼습니다.
펼치기
정재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영광 출신으로 서강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산박물관 관장과 독립기념관 전시·자료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공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백제학회 회장, 공주대학교 도서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공주 백제문화제 집행위원장이다. 지은 책으로는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공저로는 《백제와 섬진강》, 《한국사 속의 백제와 왜》,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河內》, 《초기 백제사의 제문제》,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