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왜 대의민주주의인가

왜 대의민주주의인가

강정인, 서병훈, 오향미, 홍태영, 김주성, 이화용, 김남국, 임혁백, 정호원 (지은이)
이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왜 대의민주주의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왜 대의민주주의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6147155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1-12-30

책 소개

정치사상총서 두 번째 책. 첫 번째 책인 <인권의 정치사상>은 '2011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와 '2011 올해의 인권 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책, <왜 대의민주주의인가>는 심의와 참여, 대표와 대리, 대의성 등 대의민주주의의 철학적 의의, 역사적 기원, 대의제 정치사상 등을 살펴봄으로써 SNS 정치 시대의 대의민주주의의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총론

대의민주주의의 꿈과 포부, 그리고 과제_서병훈

제2부 대의민주주의의 철학적 기초

1장 심의민주주의인가, 참여민주주의인가?_김주성
2장 대의제 민주주의의 대의성: 일반의사, 부분의사 그리고 더 나은 대의를 위한 제도 디자인_임혁백
3장 루소의 『사회계약론』에 나타난 정치 참여와 대의제_강정인

제3부 대표와 대리, 그 철학적 간격

4장 서양 중세의 대의 사상: 대표성의 실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_이화용
5장 '국민에 대한 거역'?: 존 스튜어트 밀의 '민주적 플라톤주의'_서병훈
6장 칸트와 대의_정호원

제4부 대의민주주의의 역사적 전개

7장 프랑스 대의제 민주주의의 정치철학과 역사_홍태영
8장 정치적 '대표' 개념과 대의제: 독일 입헌군주정의 '대표' 개념을 둘러싼 논쟁_오향미
9장 한국 정치의 대안 모델로서 합의제 민주주의_김남국

각 장에 대한 안내 및 각 장이 처음 게재된 학술지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강정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펼치기
서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2020년까지 숭실대학교에서 ‘서양정치사상’, ‘문명론’, ‘문학과 정치’ 등을 가르쳤다. 존 스튜어트 밀의 정치사상을 집중 연구하면서 그에 관해 네 권의 책을 썼다. 밀의 사회주의사상을 음미한 《자유의 본질과 유토피아》(1995), 밀과 플라톤의 자유론을 비교 분석한 《자유의 미학》(2000), 그리고 밀과 토크빌의 삶과 민주주의 이론을 총체적으로 구명한 《위대한 정치》(2017)와 《민주주의》(2020)가 그 책들이다. 이 밖에 ‘칠레식 사회주의’를 따뜻하게 소개한 《다시 시작하는 혁명》(1991)과 포퓰리즘 현상을 비판적으로 논구한 《포퓰리즘》(2008)도 출간했다. 밀의 저작에 앞서 하이에크의 《법, 입법 그리고 자유 III》(1997)과 토머스 힐 그린의 《윤리학 서설》(2004)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오향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카시러를 만난 것은 1992년'정치적 상징'에 대한 세미나에서였다. 신화와 상징에 대한 그의 글을 처음 읽고 이성과 합리만 이야기할 것 같은 서구에서 이런 주제로 무엇을 말할 수 있을지 궁금했다. 이후 카시러를 석사와 박사 학위논문 주제로 삼아 오랜 시간을 함께했다. 카시러를 우리말로 옮기는 것과 카시러에 관한 논문 쓰기를 병행하고 싶은 것이 가시적인 계획이고, 장기적으로는 한국, 서양, 동양의 구분이 없는 정치사상을 찾아가는 것이다. 카시러에 관련된 논문으로는 <카시러의 문화철학적 전체주의 비판>을 썼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홍태영 (감수)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이자 현 안보대학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1-22년 한국정치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유주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국민국가의 정치학』(2008), 『정체성의 정치학』(2011), 『국민국가를 넘어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화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이며, 한국정치학회 편집이사, 한국정치사상학회 이사와 편집위원장, 한국서양중세사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Political Representation in the Later Middle Ages: Marsilius in Context》등이 있다.
펼치기
김남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대학을 거쳐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시아와 유럽에서 다문화의 도전과 이러한 도전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적 다수와 소수가 합의 가능한 공정한 사회 구성의 원칙을 찾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로 현대 정치철학, 인권, 유럽 정치, 법과 정치사상을 강의하며 프랑스 인간과학재단과 파리고등사회과학원의 초빙교수, 피렌체 유럽대학(EUI)의 아셈듀오 펠로우를 지냈다. 한국정치학회 회장, 한국유럽학회 회장, 한국정치사상학회 연구위원장, 한국정치세계학술대회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한국정치학회보』와 『유럽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유럽연합으로부터 장 모네(Jean Monn?t) 석좌교수를 수여받았고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한국유럽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2014년 이후 마르퀴즈 후스 후(Marquis Who's Who) 세계인명사전에 연속 등재되었다. 저서로 『문화와 민주주의』(2019), Deliberative Multiculturalism in Britain(2011), 편저서로 Routledge Handbook of Europe-Korea Relations(2022), 『유럽의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2019),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Sustainable Democracy in Europe and East Asia(201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Asia of Citizens beyond Asia of States"(2018),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의 성공요인」(2018), 「다문화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임혁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다. 서울대에서 정치학 학사,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석사, 박사를 받았다. 그는 광주과학?술원 (GIST)에서 석좌교수, 세계정치학회 (IPSA) 집행위원, 고려대 정책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대, 조지타운대, 듀크대, 스탠퍼드대에서 강의를 했고 존스 홉킨스대 SAIS와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에서 연구를 했다. 그는 김대중대통령과 노무현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이었고, 통일 부, 국방부,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자문을 하였다. 임혁백 교수는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원상 (2015),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2010), ICAS (아시아학자세 계총회) 우수학술도서상 (2017)을 수상하였고, 홍조근정훈장(2003)을 받았다. 최근에 출판된 임교수의 저서는 『Democratization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1960-Present』(Palgrave Macmillan, 2020), 민주주의의 발전과 위?』(김영사,2021), 『비동시성의 동시성: 한국 근대정치의 다중적 시간』(고려대 출판부, 2014), 『The Possibility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NU Press,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정호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서구 정치사상사와 공화주의 정치사상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칸트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정치와 도덕 및 법의 관계, 공화주의 정치사상 그리고 정치사상사 연구에서의 통시적 접근 등이다. 저서로 Volkssouveranitat, Reprasentation und Republik(2006)이, 논문으로 「칸트의 두 가지 주권자 개념에 관한 연구」(2004), 「칸트의 민주주의 비판에 관한 연구」(2007), 「칸트에게 있어서의 자유와 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472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