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91186596159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19-11-13
책 소개
목차
서문 서곡숙·정동섭
제1부 노동의 소외와 사회의 모순
1장 미카엘 하네케 ― 중산층 부르주아의 어두운 본성과 끝나지 않는 화두 서곡숙
2장 장-피에르 다르덴, 뤼크 다르덴 ― 보이는 세상, 안 보이는 가치 박태식
3장 켄 로치 ― 좌파 영화감독을 넘어 스타일이 되다 서성희
제2부 영화적 일탈과 예술의 경계
4장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 한 줌의 현실 타협도 용납지 않는, 영화적 혁명의 산 정신 남병수
5장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 장르영화의 대가 박태식
6장 페드로 알모도바르 ― 악동(惡童)에서 거장(巨匠)으로 정동섭
제3부 불안한 영혼과 이방인의 노래
7장 라스 폰 트리에 ― 영화 속에 육화(Incarnation)된 종교적 이미지 지승학
8장 루카 구아다니노 ― 감정을 착취하지 않는 감각 최재훈
9장 빔 벤더스 ― 분열과 좌초 너머에서 발굴한 존재의 서사 안치용
제4부 욕망의 현실과 환상의 매혹
10장 루이스 부뉴엘 ― 초현실주의, 그리고 은밀한 욕망(欲望) 정동섭
11장 미셸 공드리 ― 현실과 환상의 경계 넘기 조한기
12장 스탠리 큐브릭 ― 개인의 욕망·광기와 국가의 폭력 서곡숙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제 유일하게 남은 문제는, 그리고 어쩌면 다른 무엇들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그이의 작품들이 가진 현장성과 현재성을 따져보는 작업이 아닐까 싶다. 아마도 한 예술가의 작업이 다른 시대 다른 장소적 맥락 가운데서도 여전히 살아남아 나름의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진단과 평가보다, 그/녀에게 바쳐질 더 나은 헌사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허면 우리네 사회 현실에 대해 파스빈더의 영화적 사유와 실천이 말해줄 수 있는 함의란 과연 어떤 것이겠는가. 아울러, 어째서 그이의 시도가 물리적 제약을 아득히 뛰어넘어 지금-여기에까지 충분한 유익을 제공해준다고 말해볼 수가 있겠는가. 성급히 답을 내리기에 앞서, 우리네 현실을 진지하게 되돌아보는 자문(自問)의 과정이 먼저 필요할 성싶다. 어쩌면 그가 살았던 시대와 매한가지로, 아니 그 이상으로 혼탁하다고 말할 수 있을 법한 사회를 작금의 우리들이 살아내고 있는가?”
- 4장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한 줌의 현실 타협도 용납지 않는, 영화적 혁명의 산 정신 中
“공드리의 작품에서 ‘날것’의 무의식은 유아적인 세계와 나르시시즘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공드리는 그러한 등장인물의 복잡한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일관된 상징체계를 구축하기도 했다. 여기서 공드리의 궁극적인 주제의식은 공통된 질문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인간은 주관적 세계에 발을 딛고 온전히 타자와 교감할 수 있는가?’ 초현실주의적인 표현 방식은 이에 대한 중층적인 의미 접근을 가능케 한다. 미셸 공드리는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감독으로서 독특한 작가적 개성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 11장 미셸 공드리: 현실과 환상의 경계 넘기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