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문학과 생태학

인문학과 생태학

양희규, 정병훈, 손병욱, 박준건, 이우봉, 장원철, 이영석, 김석봉, 황수영 (지은이)
백의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문학과 생태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문학과 생태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환경학
· ISBN : 978898026084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1-04-30

책 소개

경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가 내놓는 인문학총서 4번째 책. 김지하 시인의 강연 원고와 '철학과 생태학', '문학과 생태학', '동.서양의 자연관과 생태학'에 관한 7편의 연구논문, 그리고 '인간. 공동체. 환경'이라는 주제의 현장 보고서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1부 인문학과 생태학
1장 접화군생(接化群生): 인문학과 생태학 / 김지하

2부 철학과 생태학
2장 생태적 세계관, 생명의 철학 / 박준건
3장 새로운 환경관 / 이우붕
4장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베르그손의 자연관 / 황수영

3부 문학과 생태학
5장 자연, 생태 그리고 문학: 생태비평의 가능성 / 장원철
6장 독일의 환경교육과 녹색문학

4부 동·서양의 자연관과 생태학
7장 동양의 자연관 고찰 / 손병욱
8장 서양의 자연관은 반생태적인가? / 정병훈

5부 인간·공동체·환경
9장 현대문명과환경운동 / 김석봉
10장 새로운 문화를 향한 작은 노력, '간디학교 이야기' / 양희규

저자소개

양희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가 철학과로 편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캘리포니아 주립대 산타바바라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미국에 남아서 학자로 살아갈 것인지 한국으로 돌아와 행복한 학교를 설립할 것인지 고민하다가 한국으로 돌아와 ‘간디청소년학교’를 설립했다.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대안학교이다. 간디학교 설립 이후 지금까지 행복한 교육과 삶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치며 ‘행복한 학교 만들기 운동’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이 알려지며 2004년에는 ‘도산교육상’을, 2008년에는 제2회 국제포스코청암상 교육부문상을 수상했다. 2009년 필리핀 네그로스섬에 간디학교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필리핀 간디학교 책임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가정형편이 어려운 필리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지역의 여러 학교에 교실과 도서관 등의 시설 지원을 해왔다. 2020년 교육 현장에서 물러나서 피아노와 음악 만들기, 나무와 숲 가꾸기 등 또 다른 배움에 열중하고 있다. 인생을 되돌아보며 황홀한 배움의 여행을 하였노라고 고백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펼치기
정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 졸업(문학사) 일본 국제기독교대학 비교문화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문학석사)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철학박사) 한국과학철학회 회장 역임 경상대학교 교무처장, 교학부총장, 총장직무대리 역임 경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방법에 반대한다』(번역), 그린비, 2019. 『과학기술과 철학』, 경상대출판부, 2017. 『인간지성론』(공역), 한길사, 2014. 『비판적 사고』(공저), 경상대출판부, 2012. 『과학철학』(공저), 창비, 2011. 외 다수 논문 「마이클 프리드먼의 신칸트주의 과학철학」, 2017. 외 다수
펼치기
손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부설 청담사상연구소 연구위원이다. 1954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1976년에 경상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철학 전공으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부터 2018년까지 경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그 사이 (사)남명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한국윤리교육학회(KEEA)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서산, 조선을 뒤엎으려 하다』, 『한국선비문화연구원 탐구』(저서), 『기학(氣學)』(역서) 등의 저·역서와 「남명 경의사상의 기저로서의 정좌수련」, 「성공하는 삶과 인성교육」, 「청담조사(靑潭祖師)의 사상과 진주정신」(논문)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준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도 델리대학교에 방문교수로 다녀온 바 있다. 공역으로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논리학 입문』이 있고, 공저로 『KOREA and INDIA』·『사회생물학, 인간 본성을 말하다』·『인문학과 생태학』·『삶과 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우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 화학 교육과 교수.
펼치기
장원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전 및 역사 번역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고려대학교에서 한문학으로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일본 도쿄대학과 간사이대학의 외국인연구원을 지냈고,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편역서로 『논어고의』, 『노자와 도교』,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우아함의 탄생』, 『중국출판문화사』, 『도교사상』, 『스포츠로 보는 동아시아사』, 『동남아시아사』, 『한 무제』, 『공자전』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서울대 사범대 독어교육과 및 대학원 독문과, 동아대 대학원 독문과를 졸업하였고, 독일 에얼랑엔 대학,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연구하였다. "영화로 문화읽기"(박이정), "젠더를 말한다"(박이정) 등의 저서와 "기산, 한국의 옛 그림"(민속원), "유럽의 미래"(21세기 북스)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석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경남 하동 옥종 농가에서 태어났다. 민주화운동이 들불처럼 번지던 시기 교도관으로 유월항쟁을 맞이하였고, 1987년 진주교도소에서 문익환 목사를 만나 사회운동에 뛰어들었다. 진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공동의장을 거쳐 2009년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로 활동했다. 녹색당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고, 2012년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을 맡았다. 2007년 경남 함양군 지리산 기슭으로 귀농하여 적지 않은 농사를 일구고 있다. 아내와 아들내외와 손녀까지 3대 다섯 식구가 모여 산다. 경남작가회의 회원으로 틈틈이 시를 쓴다.
펼치기
황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교양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퇴직했다.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졸업 후 동 대학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고, 프랑스 파리4대학에서 1997년 “프랑스 유심론에서 습관의 문제: 멘 드 비랑, 라베송, 베르그손”이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한림대학교 인문한국(HK) 교수, 세종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쳤다. 프랑스 생명철학의 전통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역서로는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2005)와 시몽동의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2017), 저서로는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2006), 『베르그손, 생성으로 생명을 사유하기: 깡길렘, 시몽동, 들뢰즈와의 대화』(2014), 『시몽동, 개체화이론의 이해』(2017), 『질베르 시몽동』(2018), 『근현대 프랑스철학의 뿌리들』(2021)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