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에 경기도 개풍군에서 태어나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소학교 입학 전 어머니, 오빠와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 숙명여고를 거쳐 서울대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육이오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1953년 결혼해 평범한 주부로 살며 1남 4녀를 두었고, 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불혹의 나이로 문단에 데뷔했다. 사회를 바라보는 날카롭지만 따듯한 시선과 진실된 필체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던 1988년 하나뿐인 아들을 갑작스럽게 잃는 참척의 고통을 겪었고, 이를 일기로 써 내려간다. 그 일기를 엮은 『한 말씀만 하소서』는 자식을 잃은 애끓는 마음과 세상과 신을 향한 원망이 날것 그대로 표현되어 있어 같은 아픔을 겪은 사람들을 깊이 위로해 준다. 더 나아가 삶을 향해 다시 발을 내딛는 모습은 인간 존재의 의미까지 생각하도록 이끈다.
2011년 1월 담낭암으로 타계할 때까지 40여 년간 80여 편의 단편소설과 15편의 장편소설을 쓰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해왔으며, 이외에도 동화·산문집·콩트집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두루 남겼다. 특히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사랑을 무게로 안 느끼게』는 에세이스트로서의 박완서의 면모를 발견하도록 하는 작품이다.
한국문학의 거목으로서 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이산문학상(1991), 중앙문화대상(1993),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한무숙문학상(1995), 대산문학상(1997), 만해문학상(1999), 인촌문학상(2000), 황순원문학상(2001) 등을 수상했다. 2006년 호암예술상, 서울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타계 후 금관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펼치기
이문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향인 경북 영양, 밀양, 부산 등지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하곡」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이후「그해 겨울」, 「황제를 위하여」,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여러 작품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독보적인 문체로 풀어내어 폭넓은 대중적 호응을 얻었다. 특히 장편소설 『사람의 아들』은 문단의 주목을 이끈 초기 대표작이다.
작품으로 장편소설 『젊은 날의 초상』, 『영웅시대』, 『금시조』, 『시인』, 『오디세이아 서울』, 『선택』, 『호모 엑세쿠탄스』 등 다수가 있고, 『이문열 중단편 전집』(전 6권), 산문집 『사색』, 『시대와의 불화』, 『신들메를 고쳐매며』, 대하소설 『변경』(전 12권), 『대륙의 한』(전 5권) 등이 있으며, 평역소설로 『삼국지』, 『수호지』, 『초한지』가 있다.
오늘의 작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호암예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2015년 은관문화훈장, 2024년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전 세계 31여 개국 24개 언어로 번역, 출간되고 있다.
펼치기
이은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다.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 『녹슨 線』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면서 주로 사극을 많이 썼다. 1969년 제15회 아시아영화제에서 <당신>으로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하고, 1973년 <세종대왕>(KBS 방영)으로 대한민국예술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1975년 <충의(忠義)>(KBS)로 대한민국연극영화 TV예술상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하고, 1976년 <집념>(MBC)으로 제12회 한국연극영화 TV예술상 최우수 시나리오상을 수상했다. 1977년 <집념>으로 제16회 대종상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하고, 1984년 <개국(開國)>(KBS)으로 한국연극영화 TV예술상 TV각본상을 수상하였으며, 1989년 <두 석양(夕陽)>으로 제25회 백상예술대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그 외의 작품으로 <대원군>(1972, MBC), <예성강>(1976년, MBC), <거상 임상옥(巨商 林尙沃)>(1977, MBC), <등신불(等身佛)>(1981, KBS), <정선아라리>(1985, KBS), <여심(女心)>(1986, KBS) 등이 있다. 1988년 작고했다. 『소설 동의보감』은 그의 유작이다. 이 책은 1990년 출판기자단 선정 올해의 책, 문화부 추천 도서, YWCA 선정 청소년 도서이기도 하다.
1936년 일본 동경 출생 (대한민국 호적상으로는 경상북도 예천)
1966년 공보처 주최 시나리오 공모에서 ‘칼 맑스의 제자들’ 당선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 ‘녹슨 線’ 당선
1969년 제 15회 아시아 영화제에서 ‘당신’으로 최우수 각본상 수상
1972년 ‘大院’(MBC) 집필
1973년 ‘名人百選’(KBS) 집필, ‘世宗大王’(KBS)으로 대한민국 예술제 각본상 수상
1974년 ‘姜邯瓚’(KBS) 집필
1975년 ‘忠義’(KBS)로 대한민국 연극영화 TV예술상 최우수 각본상 수상
1976년 ‘예성강’(MBC) 집필, ‘執念’(MBC)으로 제12회 한국연극영화 TV예술상 최우수 시나리오상 수상
1977년 ‘巨商 林尙沃’(MBC) 집필, 충무공 탄신 기념 특집 드라마 ‘海龍 뭍에서 바다로’ 집필, ‘執念’으로 제 16회 대종상 최우수 각본상 수상
1978년 6·25 특집극 ‘소나기’(MBC) 집필
1979년 3·1절 특집극 ‘땅과 하늘사이’(TBC) 집필
1980년 ‘義親王’(MBC) 집필
1981년 ‘等身佛’(KBS) 집필
1983년 5월 ‘廣大歌’(MBC), 10월 ‘古山子 金正浩’(MBC) 집필
1984년 신춘 특집극 ‘土亭 李之’(MBC) 집필, ‘桐里 申在孝’(MBC) 집필,
‘開國’(KBS)으로 한국연극영화 TV예술상 각본상 수상
1985년 ‘旌善 아라리’(KBS) 집필
1986년 ‘女心’(KBS) 집필
1988년 서울올림픽 기념 특집극 ‘아리랑’(가제) 집필 중 과로로 인한 고혈압으로 1월 30일 사망
1989년 ‘두 夕陽’으로 제 25회 백상예술대상 특별상 수상
1990년 ≪일요건강≫에 연재하던 ‘小說 東醫寶鑑’을 미완인 채 상·중·하 세 권으로 ‘창작과 비평사’에서 간행
그 외 ‘얼어붙은 바다’, ‘인간의 벽’,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독짓는 늙은이’, ‘소망’, ‘행복의 문’, ‘사랑하는 사람들’ 등 다수
펼치기
하근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전주사범학교와 동아대학교 토목과를 중퇴했다. 195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수난이대」가 당선되었다. 6.25를 전후로 전북 장수와 경북 영천에서 4년간의 교사생활, 1959년부터 서울에서 10여 년간의 잡지사 기자생활 후 전업 작가로 돌아섰다. 단편집으로 『수난이대』 『흰 종이수염』 『일본도』 『서울 개구리』 『화가 남궁 씨의 수염』과 중편집 『여제자』, 장편소설 『야호』 『달섬 이야기』 『월례소전』 『제복의 상처』 『사랑은 풍선처럼』 『산에 들에』 『작은 용』 『징깽맨이』 『검은 자화상』 『제국의 칼』 등이 있다. 한국문학상, 조연현문학상, 요산문학상, 유주현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98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7년 11월 25일 타계, 충청북도 음성군 진달래공원에 안장되었다.
펼치기
최지훈 (그림)
정보 더보기
1941년(호적 기록 1942년생) 일본에서 태어나, 다섯 살 때 광복과 함께 귀국하여 대구에서 성장했다. 그곳에서 대학까지 마치고, 대구와 경북 일원에서 초ㆍ중ㆍ고 교단을 지키다가(20년간), 상경하여 출판사에서 <국어사전>을 만들고(9년) 생업으로서의 독서 운동(10년)을 했다.
계간 ≪아동문학평론≫지를 통하여 1976~1977년 신동한ㆍ문덕수ㆍ이재철 등 세 분 선생으로부터 두 차례의 추천을 받아 평론가로 등단한 이래, 아동문학만을 대상으로 비평적인 글을 써서 올해(2016년) 40년을 채웠다. 그사이 20여 년간 계간 ≪아동문학평론≫지 편집 일을 곁에서 돕기도 하고, 책임을 맡기도 했다. 글쓰기 40년을 계기로 최근(2016년 2월), 소장하던 아동문학 관련 도서와 자료 일체(3,300여 점)를 모교인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에 기증했다.
<한국현대아동문학론>(1991년, 아동문예사) <동시란 무엇인가>(1992년 초판, 민음사) <어린이를 위한 문학>(2001년, 비룡소) <독서교육 이론과 실제>(1995년, 서울독서교육) 등을 펴냈으며, 제1회 방정환문학상(1991년)을 받았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