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제안서에서 논문과 프레젠테이션까지, 정확하게 명쾌하게 간결하게)

신형기, 정희모, 이재성, 김성수, 박권수, 유현재, 한경희, 박진영, 김현주 (지은이)
사이언스북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제안서에서 논문과 프레젠테이션까지, 정확하게 명쾌하게 간결하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8371177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6-03-31

책 소개

글쓰기가 두려운 이공계인들 뿐만 아니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사실을 글로 다뤄야 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과학적 글쓰기 지침서이다. 객관적 사실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써야 하는 과학 글쓰기 특유의 성격을 살려 글쓰기의 두려움과 막막함을 덜어준다. 실제 예문을 풍부하게 동원하여 제안서, 논문, 프레젠테이션 등 실제 용도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조언을 담았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왜 과학 글쓰기인가?
1. 오늘날의 과학 기술자
2. 과학 글쓰기는 시대의 요청이다
3. 과학 기술 활동과 글쓰기
4. 탐구와 도전, 상상의 언어

2장 협력 활동과 글쓰기
1. 협력의 기술
2. 협력적 글쓰기
3. 협력 기구로서의 회의

3장 과학 글쓰기의 전략
1. 과학 글쓰기의 과정
2. 화제 탐색과 문제 설정에서 시작하라
3. 주장과 논증: 당신의 주장은 근거가 있는가?
4. 개요 짜기: 글쓰기의 로드맵

4장 정보 탐색
1. 정보가 힘이다
2. 성공적인 정보 탐색을 위한 전략
3. 정보 탐색의 실제

5장 과학 글쓰기와 윤리
1. 과학과 윤리: 날조, 변조, 표절에 대하여
2. 인용과 출저 밝히기: 나의 것과 남의 것 구별하기
3. 표절 피하기: 남의 글을 탐내지 마라
4. 저작권법

6장 과학 글쓰기의 문장 표현
1. 과학 문장의 힘: 명확성, 일관성, 간결성, 객관성
2. 명확성
3. 일관성
4. 객관성
5. 객관성
6. 문장 고치기의 실제

7장 표와 그래프
1. 도표란 무엇인가?
2. 표와 그래프 활용하기

8장 보고서
1. 보고서란 무엇인가?
2. 실험 보고서란 어떻게 구성되는가?

9장 논문
1. 논문이란 무엇인가?
2. 학술 논문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3. 학위 논문의 구성

10장 제안서
1. 제안서는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문서
2. 제안서 작성의 전략
3. 제안서의 구성

11장 프레젠테이션
1. 프레젠테이션이란 무엇인가?
2. 프레젠테이션의 원칙과 전략
3. 프레젠테이션 만들기의 실제
4. 효과적인 발표 방법과 기술
5. 프레젠테이션의 실제

보론 - 과학 기술과 의사소통의 역사
1. 사회 발전의 원천: 과학과 기술 그리고 그 담당자들
2. 돌도끼에서 유비쿼터스까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신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신형기는 식민지시대와 해방 직후의 문학, 특히 문학논의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로 학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북한문학에 관심을 갖고 민족 이야기(nation narrative)를 문제시하면서, 한국 현대사를 통해 쓰인 이야기를 읽고 그 작용을 살피는 데 주력해 왔다. 저서로는, <해방직후의 문학운동론>(1988), <해방기 소설연구>(1992), <북한 소설의 이해>(1996), <변화와 운명>(1997), <북한 문학사>(공저, 2000), <민족 이야기를 넘어서>(2003), <이야기된 역사>(2005), <분열의 기록>(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정희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글쓰기 이론과 글쓰기 교육을 연구했으며 글쓰기에 관한 학술적, 대중적 저술 작업을 해왔다. 오랜 기간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꾸준히 가르쳐 왔고, 글쓰기 이론에 관한 세미나를 지속하고 있다. 관심을 가진 분야는 쓰기 과정에 관한 인지적 연구를 쓰기 학습에 적용하는 것이며, 아울러 이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한국작문학회, 대학작문학회, 한국리터러시학회 회장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탐색≫, ≪창의적 생각의 발견≫, ≪문장의 비결≫, ≪글쓰기의 전략≫(공저), ≪대학 글쓰기와 텍스트 해석≫(공저), ≪글쓰기 교육과 교수 방법≫(공저) 등이 있으며, 공저로 쓴 글쓰기 교재로 ≪글쓰기≫,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가 있다. 공역서로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장르: 역사・이론・연구・교육≫, ≪쓰기 평가≫가 있다.
펼치기
이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말과 우리글을 가르치고 있는 국어학 교수이자 누구나 쉽게 자기 생각을 글로 쓸 수 있기를 바라는 글쓰기 선생님이기도 하다. 2008년까지 연세대학교에서 글쓰기를 가르쳤으며 그 이후 지금까지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최고의 베스트셀러 《글쓰기의 전략》(공저)이 유명하다. 그 밖에 생물학자 장수철 교수와 함께 쓴 아주 특별한 생물학 수업》과 《아주 명쾌한 진화론 수업》이 있다.
펼치기
김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저서로 『이상 소설의 해석』, 『카토블레파스의 운명』, 『과학기술의 상상력과 소통의 글쓰기』(공저),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대학 글쓰기』(공저) 등이 있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미국 대학의 학문적 정직성 정책에 대한 연구」,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구성 방안 연구」등을 썼다. 『정신분석을 읽는다』, 『과학 글쓰기 핸드북』,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공역), 『21세기 글로벌 인재의 조건』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박권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에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석사 및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서울시립대.서울대 등에서 강의 중이며, 조선 후기 과학사에 관한 학위논문을 준비 중이다. 지은 책으로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가, 옮긴 책으로 <서운관지>(공역)가 있다.
펼치기
유현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한경대학교 컴퓨터정보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입자계의 깁스 측도, 디리클레 형식과 확산과정, 점과정 등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한경희 (감수)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사회학 이론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썼고 대덕연구단지 기술혁신 연결망 사례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데이비스) 박사후 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연세대 공학교육혁신센터 교수와 고등교육혁신원 사회참여센터장을 맡고 있다. 분과 학문 체계, 두 문화, 젠더의 경계에서 연구하고 교육하는 것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구별짓기보다 관계맺기의 덕목을 확장할 수 있는 재미있는 일을 기획하는 데 관심이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이공계 위기의 재해석과 엔지니어의 자기성찰”, “기술과 정치 사이에서 엔지니어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성의 변화”(공저), “A Crisis of Identity: the Kwa-hak-ki-sul-ja (scientist-engineer) in Contemporary Korea” 등이 있고 저서로 『엔지니어들의 한국사』(휴머니스트, 2016 공저), 22명의 공과대학 교수들과 함께 공학 전공에 대한 대중적 글쓰기를 실천한 교양서 『공학의 눈으로 미래를 설계하라』(해냄, 2019)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펼치기
한경희의 다른 책 >
박진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근대소설, 번역문학, 출판문화 연구를 통해 근대 한국의 시대정신과 상상력을 재조명해 왔다. 최근에 동아시아 번역 사상과 에스페란토 문학으로 시야를 넓히고 있다. 제37회 월봉저작상(2012), 한국출판학술상(2013)을 수상했다. 주요 논저로는 <한국의 번안소설>(전10권, 2007∼2008), <번안소설어 사전>(2008), <신문관 번역소설 전집>(2010), <번역과 번안의 시대>(2011), <책의 탄생과 이야기의 운명>(2013), <탐정의 탄생-한국 근대 추리소설의 기원과 역사>(2018)가 있다. www.bookgram.pe.kr
펼치기
김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근대문학을 전공했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근대문학을 지식사, 담론사와 연계하여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산문의 계보학>(2004), <이광수와 문화의 기획>(2005), <사회의 발견:식민지기 ‘사회’에 대한 이론과 상상, 그리고 실천(1910∼1925)>(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 글쓰기의 문장 표현 - 목적론적 표현은 피한다

목적론적 표현이란 어떠한 행동이나 과정의 결과를 마치 목적인 것처럼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과학 기술자들은 목적론적 표현을 써서는 안 된다. 목적론적 표현은 완전한 설명처럼 보이지만 현상과 원인을 혼동한 것이기 때문이다.

"나비는 천적을 위협하기 위해 날개에 눈 모양의 무늬를 가지고 있다."
"기린은 높은 나무의 잎을 먹기 위해 목이 길어졌다."

앞의 문장을 보면, 진화의 결과가 그 원인인 것처럼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론적 주장은 특히 생물에 대한 글을 쓸 때 흔히 나타난다. 위의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꿔 써야 한다.

"나비는 날개에 있는 눈 모양의 무늬로 적을 위협한다."
"기린은 긴 목 덕분에 높은 나무의 잎을 먹을 수 있다." - 본문 118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