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895846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6-07-25
책 소개
목차
제1부 권력이동 : 논리·전망·비교
1장 권력이동의 실제와 전망 /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1. 권력의 관전 포인트
2. 권력이동에 관한 두 가지 담론
3. 권력이동의 축
4. 참여정부 권력이동의 빛과 그림자
5. 미래의 권력 트렌드
6. 맺음말: 한국사회 권력이동, 그 미래를 위해
2장 한국에서의 권력이동 /한준 (연세대 사회학과)
1. 문제제기: 권력이동의 등장
2. 권력이동의 배경과 조건
3. 권력이동의 과정 및 양상
4. 향후 시나리오와 전망
3장 권력이동의 국제비교 /김선혁 (고려대 행정학과)
1. 문제제기: 우리의 현재를 위한 국제비교
2. 신보수주의자들로의 권력이동, 미국
3. 개혁·개방주의자들로의 권력이동, 중국
4. 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례
5. 맺음말: 권력이동의 성패
제2부_한국사회 권력이동의 역동성
4장 지식권력의 이동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1. 지식권력론
2. 지식과 사회
3. 한국의 지식권력 1: ‘냉전·산업화 레짐’
4. 한국의 지식권력 2: ‘광주·민주화 레짐’
5. 맺음말: 지식권력의 현주소
5장 상징권력의 이동 /이남호 (고려대 국어교육과)
1. 상징권력이란 무엇인가?
2. 동아리 / 싸이월드(Cyworld)
3. 백과사전 / 지식거래소
4. 주택(복권) / 로또
5. 부자 / 웰빙
6. 워크맨 / 애니콜(Anycall)
7. 킹카 / 얼짱
8. 사장 / CEO
9. 칼럼 / 인터넷투표
10. 우리에게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6장 NGO의 권력이동 /이선미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1. 문제제기: 증가된 NGO의 사회적 영향력
2. NGO와 권력 문제
3. 한국 시민사회 담론의 변화
4. 한국 NGO 영향력의 원천과 변화: 자원을 중심으로
5. NGO와 국가, 언론 권력
6. 맺음말: 참여 거버넌스의 청사진을 위해
7장 미디어의 권력이동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1. 문제제기: 왜 미디어 권력에 주목하는가?
2. 미디어 권력의 분산
3. 미디어 권력의 침투
4. 맺음말: 미디어 권력의 과제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장'에서 'CEO'로
과거 사람들은 어느 조직이나 공동체의 부와 번영 이면에는 덕망과 학식을 갖춘 '지도자'의 역량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곤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사람들은 그러한 조직이나 공동체의 부와 번영의 배면에는 무엇보다도 'CEO'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흔히 '장'으로 대변되는 지도자란 용기와 숭고함, 덕망과 학식, 특별한 업적 등으로 사람들에게서 존경을 한 몸에 받는 사람이다. 우리는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그렇듯 지도자라고 하면 흔히 덕망과 학식을 갖춘 위대한 사람, 아니면 최소한 특별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그러한 생각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것 같다. 사장도, 의장도, 회장도, 총장도, 대통령도, 모두 'CEO'와 '경영마인드'라는 잣대에 비추어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본문 177~178쪽에서
시민단체의 권력화 논쟁
원칙적으로 NGO 활동은 동의와 함께 강제를 전제하고 있는 정치권력과는 달리, 합리적 자원주의에 기반한 영향력 행사를 지향한다. 그러나 동의기반의 유동적 성격 때문에, NGO는 조직의 생존과 영향력 증대를 위해 국가 및 자본권력에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대중매체의 역할이 결정적인 오늘날에는 국가 및 경제권력 외에 언론권력도 크게 의존한다. 시민단체의 권력화 가능성은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제도적으로 보증된 권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 자본, 언론에의 의존은 시민단체 활동의 자율성을 약화시키며 동시에 권력화의 의심을 살 수 있다. - 본문 21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