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8 제16회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2018 제16회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고형렬, 박방희, 송준영, 천양희 (지은이),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엮은이)
인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18 제16회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8 제16회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89449645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8-08-01

책 소개

유심작품상은 독립운동가이자 불교사상가이며 <님의 침묵>을 쓴 탁월한 시인인 만해 한용운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그 정신을 계승하고자 만해사상실천선양회가 제정한 문학상이다. '유심작품상'이라는 명칭은 만해가 1918년 9월에 창간했던 잡지 「유심」에서 따온 것이다.

목차

● 시부문 고형렬
수상작 · 어디서 사슴의 눈도 늙어가나_15
심사평_17
수상소감_20
근작 · 노크_22 흰 구름의 학이 되어_24 스티코푸스과의 해삼_26 그는 작은 사진 속에서_28 나뭇가지와 별을 쳐다보며 1_29 또 공항으로 갈 때가 되었나_30 아로니아의 엄마가 될 수 있나_32 내가 사는 먼 곳 지상 전철이 지나갈 때_34 서울, 어느 평론가와 시인과_36 멸치_38
자선대표작 · 우리나라 새_39 수풀 속에는_40 사리원 길_42 문산 84_44 거미의 생에 가보았는가_46 림프강의 저녁_49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_50 바늘구멍 속의 낙타_52 멜라토닌이 찾아오는 저녁_54 미토콘드리아에 사무치다_56 나는 엘리베이터인 적이 없다_57 꽃이 올라오는 나이테_58 악어에 대한 상상_59 지구, 한 컵의 물_60 통어(通語)_61
등단작 · 장자(莊子)_62
자술연보_64
연구서지_68
수상자론 · 분리와 교착으로 실천적 타성태의 풍자 / 심은섭_71

● 시조부문 박방희 
수상작 · 삼릉 숲에서_103
심사평_104
수상소감_106
근작 · 세상의 벼랑 끝에서_108 늙은 코끼리의 죽음_110 조로(早老)하는 세상_111 남산에서 볼일 보기_112 낙화(落花)_113 죽법(竹法)_114 징검돌 _115 운부암 나무의자_116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_117 노인정에서_118
자선대표작 · 신의 계단_119 낮달 ? 1_120 이사_121 감자 캐는 날_122 너무 큰 의자_123 감나무는 추억으로 환하다_124사람의 생가(生家)_125 그대에게 가는 먼 길_126 그대에게 가는 먼 길 _127 시옷 씨 이야기_128 시옷 씨 이야기_129 시옷 씨 이야기_130 시옷 씨 이야기_131 시옷 씨 이야기_132 잘 익은 호박_133
등단작 · 살구꽃_134
자술연보_135
연구서지_140
수상자론 · 공동체적 기율과 시간 탐구를 통한 사유의 깊이 / 유성호_142

● 학술부문 송준영 
수상저술 · 《선(禪), 발가숭이 어록》_167
심사평_171
수상소감_175
대표 평론 · 현대선시의 발흥과 확장을 위한 제언_178
자술연보_196
주요 저서 목록_202
연구서지_204
수상자론 · 선시 이론 정립에 힘써온 선시론가 / 이덕주_208

● 특별상 천양희 
심사평_233
수상소감_236
근작 · 빈자리_237 한 편의 흰옷_238 사소한 말 한마디_240 우리 같은 사람들_241 바람길_242 나를 살게 하는 말들_244 짧은 심사평_245 몽돌_246 시인 지망생에게_249 성직(聖職)_250 경례! 붙이고 싶다_251
자선대표작 · 직소포에 들다_252 마음의 수수밭_254 그믐달_256 여름 한때_257 어떤 하루_258 그 사람의 손을 보면_260산행(山行)_262 몽산포_265 풀 베는 날_266 뒤편_268 마음의 달_269 벌새가 사는 법_270 들_271 참 좋은 말_272 어제 _274 오래된 나무_275 불멸의 명작_276 다행이라는 말_278 바다 보아라_279 새벽에 생각하다_280생각이 달라졌다_281 50년_282 단 두 줄_283 일흔 살의 인터뷰_284 그때가 절정이다_286
자술연보_288
연구서지_292
수상자론 · 우리 한국시의 자존(自尊)이며 지존(至尊)인 시의 꾼 / 이경철_294

저자소개

고형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11월 속초 사진리에서 출생했다. 2000년에 아시아 시인들이 함께 만드는 계간 『시평(詩評, SIPYUNG)』을 창간하면서 25년 동안 900여 편의 아시아 시를 한국에 소개했다. 1979년에 시 「장자(莊子)」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유리체를 통과하다』 장시 『리틀 보이』 장편 산문 『은빛 물고기』 ‘고형렬 에세이 장자’(전7권) 등을 출간했다. 등단 44년 만에 첫 시선집『바람이 와서 몸이 되다』(2023, 창비)를 출간하면서 소리 시집(https://play.google.com/store/audiobooks/details?id=AQAAAEAivi7-HM)’(내레이터: 김성천, 1시간 48분)을 동시에 출시했다. 최근에 세 번째 장시 『칠일이혼돈사(七日而渾沌死)』(달아실)를 상자했으며 두 번째 장시 『대붕조(大鵬鳥)』를 중국 베이웨문예출판사(北岳文藝出版社)에서 출간할 예정이다.
펼치기
천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6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신이 우리에게 묻는다면』 『사람 그리운 도시』 『하루치의 희망』 『마음의 수수밭』 『오래된 골목』 『너무 많은 입』 『나는 가끔 우두커니가 된다』 『새벽에 생각하다』 『지독히 다행한』, 산문집 『시의 숲을 거닐다』 『직소포에 들다』 『내일을 사는 마음에게』 『나는 울지 않는 바람이다』 등이 있다. 만해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소월시문학상, 현대문학상, 공초문학상, 박두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송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영주 출생. 법명 취현(醉玄). 당호 월조(越祖). 18세에 선문에 든 이후 동암성수, 탄허택성, 고송종협, 퇴옹성철, 서옹상순, 설악무산 등 제조사를 참문하다. 임신년 8월 서옹선사에게 7년간 일곱 차례 서래밀지(西來密旨)를 묻고 수법건당(受法建幢)하다. 임진년 2월 설악선사로부터 전법게(傳法偈)를 받다. 저서로 시집 『눈 속에 핀 하늘 보았니』 『조실』 『물 흐르고 꽃피고』, 수상시집 『습득』, 논저 『취현반야심경강론』 『표현방법론으로 본 선시연구』 『선(禪)의 시각으로 읽는 반야심경』 『반야는 반야를 완성하고』, 선서·선문염송 강의록 『현대언어로 읽는 선시의 세계』 『선(禪), 빈거울의 언어』 『선(禪), 발가숭이 어록』, 대담집 『선(禪), 초기불교와 포스트모더니즘 너머』, 한국 현대 선사의 열전 『황금털사자의 미미소』, 선시론 『선(禪), 언어로 읽다』 『현대시의 이론과 실제』, 편저 『빈거울을 절간과 세간 사이에 놓기』 『이승훈 문학의 탐색』 『지혜의 언덕 너머 춤추는 기호』와 『무엇이 움직이는가』(이승훈 유고시집) 등이 있다. 제6회 박인환문학상, 제17회 현대불교문학상, 제16회 유심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시와세계』와 『현대선시』 발행인 및 주간으로 있다.
펼치기
박방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5년부터 무크지 《일꾼의 땅》 《민의》와 1987년 《실천문학》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달빵』과 『참새의 한자 공부』 등 10여 권의 동시집과 『누란의 미녀』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등 10여 권의 시집이 있습니다. 그 밖에 동시조집 『나무가 의자로 앉아 있다』와 『우리 속에 울이 있다』, 우화동시집 『가장 좋은 일은 누가 하나요?』, 청소년시집 『우리는 모두 무엇을 하고 싶다』, 시그림책 『보름달』 등을 펴냈습니다. 한국동시문학회 부회장, 한국아동문학학회 부회장, 대구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푸른문학상, 새벗문학상, 불교아동문학작가상, 방정환문학상, 우리나라좋은동시문학상, 금복문화상, 유심작품상 등을 수상했습니다. 2022년 12월 6일 향년 76세로 별세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