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의 꿈은 글로벌 CEO

나의 꿈은 글로벌 CEO

(개정판)

박무익, 전성철, 김해동, 박인순, 이강호, 윤영학, 최정아, 차윤, 김동성, 강영석, 김국길, 김효준, 이채욱, 조원장, 박세준, 김용호, 하태우, 승수언, 이승일, 고강식, 박일진, 장은구, 정수진, 김범식, 조한형, 정영달, 김용한, 윤경희 (지은이)
월간조선사
13,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의 꿈은 글로벌 CEO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의 꿈은 글로벌 CEO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89599944
· 쪽수 : 566쪽
· 출판일 : 2004-03-09

책 소개

이 책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의해 기업 경영을 하는 다국적 기업 경영자 입장에서 한국의 풍토에 맞춰가며 기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겪은 애환, 다국적 CEO가 되기까지 파란만장했던 비즈니스맨으로서의 성공스토리, 다국적 기업 경영자로서 전하고 싶은 메세지를 담았다.

저자소개

박무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나 포항과 대구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경북대 사대부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70년 금성사(현 LG전자)에 입사해 카피라이터로 인정받았다. 이후 한동안 광고업계 프리랜서로 활동하다가 1974년 6월 국내 최초의 전문 조사회사 KSP(Korea Survey Polls)를 설립했다. 1979년 갤럽 인터내셔널(Gallup International Association) 회원사가 되면서 사명을 한국갤럽조사연구소(Gallup Korea)로 개칭해 오늘에 이른다. 일찍이 다국적 기업 프로젝트를 주로 하며 국내 마케팅 조사 분야의 지평을 넓혔고, AD-Score(광고 테스트), POS Store Index, 자체 개발 TV 시청률 측정 시스템 등을 선보이며 기술적 진보도 이끌었다. 1987년 국내 최초로 대통령 선거 결과를 예측, 적중하면서 한국인들을 경악게 했다. 특히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 예측에서는 당선자 기준 오차 0.4%포인트를 기록, 당시 여론조사의 정확성이 세계 조사업계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시대상을 반영하는 여론조사 결과가 훗날 여러 분야를 연구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는 믿음하에 1980년대부터 자체 조사 결과로 단행본, 정기간행물 등 50여 권의 책을 펴냈다. 1990년대에는 국내 최초로 조사 결과 전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고, 2012년부터는 ‘한국갤럽 데일리 오피니언’이라는 자체 조사 프로그램을 통해 매주 새로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누구나 무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왔다. 조사업계와 학계 발전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992년 8월 한국조사협회 설립에 주축 역할을 했고 1997~1998년 3대 회장을 역임했다. 2003년에는 한국조사연구학회와 함께 한국갤럽논문상을, 2006년에는 한국통계학회와 함께 한국갤럽학술상을 제정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2013년 통계의 날 동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2017년 2월 병상에서 마지막 저서 《조사인으로 살다: 박무익 회고록》을 탈고했고, 그해 4월 19일 작고했다.
펼치기
전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로벌스탠다드연구원(IGS)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MBA와 로스쿨을 마치고 맨해튼의 대형 로펌 ‘리드&프리스트’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외국인, 동양인이라는 약점을 극복하고 4년 만에 파트너로 승진함으로써 맨해튼 대형 로펌 최단 기간 내 파트너 승진 기록을 세웠다. 미국에서 한국 정부 고문 변호사로 슈퍼 301조 등 메가톤급 통상 이슈들을 맡아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14년간의 미국 생활을 끝내고 귀국 후에는 김앤장 국제변호사를 거쳐 청와대 정책기획비서관과 산업자원부 무역위원장, 신한국당 대표 상임 특보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총선에 출마하여 낙선한 후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장, 부총장 등을 역임하고 2003년 한국 최초의 CEO 교육기관인 IGM세계경영연구원을 설립하여 15년 동안 전국적으로 1만 명 이상의 CEO 및 임원에게 경영의 다양한 기법을 전수했다. 언론 분야에서는 30여 년 동안 《워싱턴포스트》, 《조선일보》를 포함한 여러 국내외 매체에 총 200편이 넘는 다양한 주제의 칼럼을 기고했고, 1998년 IMF 위기가 한창일 때는 MBC에서 〈전성철의 경제를 푼다〉, 〈경제 매거진〉 등을 진행하며 한국 최초로 ‘경제 칼럼니스트’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조선일보》 비상임 논설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꿈꾸는 자는 멈추지 않는다』, 『변화의 코드를 읽어라』, 『4차 산업혁명 시대, 어떻게 일할 것인가』, 『세상 모든 CEO가 묻고 싶은 질문들』, 『가치관 경영』, 『위기관리 10계명』, 『협상의 10계명』 등 총 13권이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 글로벌 스탠다드를 전파한다는 목적을 가진 ‘글로벌스탠다드연구원’을 운영하면서 유튜브 채널 ‘디지틀조선TV’에서 〈전성철의 글로벌 아이〉라는 주간 영상 칼럼을 진행하고 있으며, 개인 유튜브 채널인 ‘전성철의 핵콕TV’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김해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서울 출생. 서울사대부고, 홍익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슈로스 그라츠 비 브라운 국제경영자 과정, 헬싱키 경영대학원 MBA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비 브라운 코리아 대표이사이자 비 브라운 아시아태평양 Extended Board Member이다. 또한 의료기산업협회 보험위원장이자 사단법인 다국적 기업 최고경영자협회(KCMC) 부회장이다.
펼치기
박인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서울 출생. 용산고, 연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미국 신시내티 공대 재료공학 석사, 미국 브리지포트 경영대학원 MBA, 미국 하버드 대학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서위스 IMD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미국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성장기업 CEO 과정, 미국 미시간 경영대학원 마케팅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 경제분석 연구원, 스파이렉스 사코 한국 지사장, 한국 스파이렉스 사코(주)기술영업본부장, 한국화학공학회 부회장, 대한설비공학회 부회장, 정부 출연 산업기술연구회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 스파이렉스 사코(주) 대표이사이다.
펼치기
이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PMG(Predictive Management Group), 프런티어 코리아(Frontier Korea) 회장. 37년 동안 글로벌 기업, 한국 기업, 뉴욕 현지 법인 등의 CEO로 활동해왔다. 2014년, PI 인성경영 및 HR 컨설팅 회사인 PMG를 창업하였다. ‘사람 생각(Think People)’이라는 미션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인성경영’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전파하고 있다. 37년간 경영자로 일하면서 개인과 기업이 지속가능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람의 가치를 알고 중요시해야 함을 깨달았다. 이 책에는 그 깨달음이 있기까지의 인생 경험, 글로벌 무대에서 체득한 것들, 저자에게 울림을 준 사람이나 기업의 사례, 고대 선인들의 지혜를 담았다. 연세대학교와 동국대학교의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다수의 기업체, 2세 경영자 및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영과 리더십에 대한 강의와 코칭을 하고 있다. 은탑산업훈장, 대통령표창, 덴마크 왕실 훈장을 수훈하였다. 공저한 책으로 《젊은 심장, 세계를 꿈꿔라》, 《나의 꿈은 글로벌 CEO》, 《아름다운 유산Beautiful Legacy》 등이 있다.
펼치기
이강호의 다른 책 >
윤영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충남 당진 출생. 서강대 화학과를 졸업한 후 연세대 공업경영학 석사과정을 수료하고 (주)유공에서 근무했다. 엑손케미칼 한국 지점에 입사해 한국 퍼켐(주) 공동 대표이사 부사장, 코손화학(주) 공동 대표이사 부사장, 엑손케미칼코리아(주)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엑손모빌케미칼코리아 대표이사 겸 에쏘석유코리아(주) 대표이사이다.
펼치기
차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CPR의 창립자이자 회장이다. 해군사관학교 6기 졸업생이다. 플로리다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 워싱턴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피츠버그 대학에서 조교로 일했다. 해군사관학교, 해군대학교, 국방대학원의 교수로 있었으며 메릴랜드 대학과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도 교수로 일했다. 주한UN군사령부에서도 일한 바 있다. 국토통일원 정치외교정책담당관, 한국홍보협회 홍보국장, 문화공보부 소속의 해외공보관(駐 이집트공보관, 駐 일본수석공보관)을 역임했다. 《월간조선》 에 칼럼 ‘차윤의 글로벌 컬처’를 연재했다.
펼치기
김동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 서울 출생. 경기고, 미국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 전기전자과를 졸업하고 남캘리포니아 대학 공과대학원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유니시스 이사, 삼성전자 전무, 램리서치 코리아(주)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어드밴스 에너지 코리아(주) 대표이사이다.
펼치기
강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경북 상주 출생. 한양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극동 쉘, 엑손케미칼 코리아 상무를 역임했다. 현재 인피니움 코리아(주) 대표이사이다.
펼치기
김국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 광주 출생.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무역대학원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사무국장, 제너럴 다이내믹스(GD) 부소장, 이마 인터내셔널 수석 부사장, 제너럴 일렉트릭(GEISCO) 합작회사 대표이사, 워드 하우웰(Ward Howell Int'l) 한국 대표, 한국헤드헌터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KK컨설팅 및 서치 포 리더스 사장 및 이화여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이다.
펼치기
김효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서울 출생. 덕수상고, 한국방송통신대를 졸업하고 연세대 경영대학원 국제경영학 석사, 서울대 경제연구소 세계경제최고전략 과정(제1기)를 수료했다. 하트포드 화재보험 경리과장, 한국 신텍스 이사 및 대표이사 부사장, BMW 코리아 상무,전무, 부사장을 역임했다. 21세기 이그제큐티브 포럼 회장,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자동차위원회 회장, 사단법인 서울클럽 이사회 멤버, 한국사이버대학 경영정보학과 겸임교수, 산업자원부 국제협력투자정책평가위원회 회원, BMW 본사 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BMW 코리사 사장이다. 2001년 연세경영자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채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공항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세계최고공항상(ASQ) 7연패로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인 인천공항의 CEO. 한국인 최초로 유엔 자문기구 ACI(국제공항협의회) 세계총회 이사로 선임된 글로벌 경영인. 국내 공기업 사장 최초로 하버드 아시아 비즈니스 콘퍼런스의 초청을 받아 리더십 특별 강연을 하기도 했다. 전 GE코리아 회장. GE와 삼성이 동시에 프러포즈할 만큼 떡잎이 남달랐던 샐러리맨. 민간기업(삼성물산), 합작회사(삼성GE의료기기), 외국계 기업(GE), 공기업(인천공항) 등 몸담은 조직마다 최고의 성과를 올린 행운아. 전 세계에서 리더십을 인정받은 그는 2006년 한국경영자대상(한국능률협회 선정), 2011년 제10회 GWP 최고경영자상, 제11회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글로벌서비스 부문), 2011 무디리포트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으며, 2012년 국제항공콘퍼런스 카파(CAPA) 레전드상 등 CEO로서의 역량과 리더십을 국내외에서 인정받았다. [주요 프로필] 1946년 경북 상주 출생. 영남대 법학과 졸업. 1972년 삼성물산 입사. 30대 초반 과장이 되는 등 고속 승진했으나 고선박 수입 과정에서 태풍으로 회사 자본금의 3분의 1을 잃는 최악의 실패를 경험했다. 그러나 실패에서 도망치지 않고 ‘감천고해’라는 자신만의 뼈아픈 교훈을 얻었다. 1년 뒤 사고를 수습한 날, 사표를 제출했지만 회사는 그의 책임감과 열정을 높이 샀고 두바이 합작회사에서 4년간의 숨고르기를 하게 했다. 이후 삼성의 57개 해외지점을 총괄하는 해외사업 본부장으로 일했다. 1989년 삼성GE의료기기의 대표이사를 맡으면서 CEO로서의 첫 발걸음을 내딛었고, 이것이 GE와의 첫 인연이 되었다. 창립 이래 늘 손실만 낸 탓에 정리 대상에 오른 회사였으나 직원들과 함께 회사 살리기에 앞장섰고, 그 결과 6년간 연평균 45퍼센트의 매출 성장 실적을 올리며 우량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삼성GE의료기기의 경이로운 성장을 지켜본 GE의 파울로 프레스코 부회장이 직접 삼성 회장에게 편지를 써서 그를 스카우트했다. 그리하여 1996년 GE메디컬 사업부문 동남아ㆍ태평양 지역 사장으로 부임하게 된다. GE의 적극적인 권유로 삼성에 적을 둔 채 GE에서 일하기 시작했는데, 이처럼 다른 회사의 사람을 ‘빌려 쓰는’ 일은 GE에서도 처음 있는 일이었다. 1998년 GE로 완전히 적을 옮겨 GE초음파부문 아시아 총괄사장으로 취임. 시장점유율 6위 기업을 2년 만에 1위로 끌어올리며 세계적인 리더로 성장했다. 2002년 가족과의 시간을 갖기 위해 사의를 표했으나 GE의 제프리 이멜트 회장은 그를 GE코리아의 사장으로, 2005년에는 회장으로 승진시켰다. 2005년 GE의 인재사관학교인 크로톤빌연수원의 최고위급 경영진 프로그램(executive development course)에 참여. 2007년 GE헬스케어 아시아 성장시장 총괄사장으로 승진했다. 2008년 9월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취임. 이후 연임을 계속하면서 책임경영제 정착을 위해 쓰는 사람이 직접 부하 직원을 채용하는 ‘잡 포스팅(job posting)’ 제도, 원 스트라이크 아웃(one strike out) 제도, 신임 리더에게 궁금한 것을 직접 묻고 대답하는 인사청문회(new leader assimilation) 등 효율과 윤리경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2012년 인천공항을 ‘7년 연속 세계 1등’, 공기업 최초의 ‘존경받는 톱 텐(top 10) 기업’ 반열에 올려놓았다. 개항 당시 경영 노하우를 가르쳐주지 않던 콧대 높은 세계 최고 공항들이 이제는 앞다투어 인천공항의 모든 것을 벤치마킹하러 달려오고 있다.
펼치기
조원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고와 연세대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헬싱키 경영대학원 MBA 과정을 마쳤다. 세계 최대 식품소재 회사 다니스코의 한국 지사장이면서 음식평론가와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를 맡는 등 넘치는 활동력을 가지고 있다.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마실 수 있는 '식이섬유', 당뇨 쓰나미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달콤함을 즐기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낸 '결정과당', 그리고 OECD 국가 중 충치보유율 1위의 불명예를 해소하기 위해 충치예방 소재인 '자일리톨' 등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소재를 국내에 소개해 왔다. 또한 자일리톨을 통해 대한민국에 최초로 국가브랜딩(Country Branding : Place Marketing)을 기획하여 성공한 전문가다. 한편 산악자전거로 안나푸르나와 몽블랑을 등정한 한국인 최초 CEO이기도 하다. 저서로 『나는 지금 다이어트 중입니다』, 공저로 『나의 꿈은 글로벌 CEO』가 있다.
펼치기
김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서울 출생. 경기고,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원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제너럴 다이내믹스(GD) 재료연구실 선임연구원 및 한구 지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록히드 마틴 한국 지사장이다.
펼치기
하태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경남 합천 출생. 미국 노스이스턴 일리노이 대학을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노스웨스트 수익예측부 부장 및 항공노선수익분석팀 부장을 역임했으며 1991년 '월스트리트 저널' 올해의 우등생상을 수상했다. 주한미연합공사기구(USO KOREA) 수석 이사, 한국항공사대표자협회(Board of Airline Representatives) 부회장, 국제관광협회(SKAL Club) 한국 지부 부사장 및 노스웨스트 항공 한국 지사장이다.
펼치기
승수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 승영순. 1956년 서울 출생. 캐나다 토론토 대학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경영학 석사를 취득한 후 경희대 국제경영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토론토 대학 한인 학생회 회장 및 연세대 경영대학원 총원우회 회장을역임했다. 미국 열역학엔지니어협회(ASHRAE), 미국 골프지도자협회(USFTF), 주한캐나다상공회의소 회원이며 이소라이트 코리아 대표이다.
펼치기
이승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대구 출생. 연세대 경영학과, 미국 캔자스 대학 마케팅 & 회계학과, 미국 미시간 대학 경영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오하이오 주 P&G, 한국 씨티은행, 펩시콜라 인터내셔널에서 근무했고 브리스톨메이어 스퀴브 사장, 아시아 온라인 전체 총괄 부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야후 코리아 대표이사 및 야후 남아시아 총괄 사장이다.
펼치기
고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출생. 한국외국어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무역대학원 경영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상업은행 국제영업부에서 근무했으며 (주)한국 디놀 지사장을 역임하고 세계 200대 헤드헌터에 선정되었다. 세계 10대 헤드헌터사 워드하우웰 국제업무 담당 임원, 국제인사관리전문가협회(IACPR) 회원, 한국 전문경영인학회 부회장, 21세기 이그제큐티브 포럼 부회장, (주)탑 경영컨설팅 대표 및 설립자이다.
펼치기
박일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충복 옥천 출생. 대전고, 고려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콜롬비아 대학 최고경영자 과정을 수료했다. 호남정유 영업부에 근무했으며 한국 다우케미칼 대표이사, 울산 퍼시픽화학 대표이사, 퍼시픽에폭시 대표이사, 한국 다우케미칼 사장이다.
펼치기
장은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대전 출생. 남대전고,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사 및 회전체동력학 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방과학연구소에 근무했으며 한국 벤틀리 네바다(주) 진동분석 전문역, 미국 벤틀리 회전체역학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연세대 경영대학원 MBA 과정에 재학 중이며 국립기술품질원 위촉, 국제표준화기구(ISO) 기계·설비 감시 및 운용(TC108 SC5) 분과 전문위원이다. 현재 한국 벤틀리 네바다(주) 대표이사이다.
펼치기
정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서울 출생. 미국 조지아 공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조지아 공대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 코넬 대학 경영자 과정을 수료했다. 삼성전자 기획실, 레이켐(Raychem Far East Inc.) 한국 지사에서 근무했으며 레이켐 코리아 사장 겸 레이켐 아시아 사업본부장을 역임했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주한캐나다상공회의소(CCCK) 상임위원, 한강로타리클럽 회원, 조지아 공대 동창회 회장이며 노텔 네트웍스 코리아 사장이다.
펼치기
조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경기 용인 출생. 연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을 수료했다. 원자력연구소 연구원, 롬엔드하스, GE 플라스틱 상무이사를 역임했다. 한국 에어 프로덕트(주) 대표이사 사장, 한국산업가스(주) 공동 대표이사, 에어 프로덕ㅌ으 앤 케미칼 코리아 대표이사, 에어 프로덕트 폴리머 아시아 담당 사업이사, 한국 접착제·계면활성제 공업협동조합 이사장, 한국정밀화학진흥회 이사이다.
펼치기
정영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경남 함양 출생. 서울 보성고, 미국 조지아 주립대를 졸업하고 한국 애보트 래보라토리스(주) 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비 브라운 코리아 고문이다.
펼치기
김용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서울 출생. 휘문고, 미국 필립스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콜롬비아 대학 사회심리학 과정을 이수했다. 유한양행 시장조사과장, 유신시장조사기획회사 이사, SK 마케팅 리서치 대표, ASI 마케팅 리서치 한국 지사장, 한국 화이자 마케팅 부장, AC 닐슨 코리아 사장을 역임했다. 링크 아즈텍 코리아 고문, 한국 마케팅클럽 2대 회장, 한국 마케팅여론조사협회 명예회장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