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헬조선 인 앤 아웃

헬조선 인 앤 아웃

(떠나는 사람, 머무는 사람, 서성이는 사람, 한국 청년 글로벌 이동에 관한 인류학 보고서)

조문영, 이민영, 김수정, 우승현, 최희정, 정가영, 김주온 (지은이)
눌민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850원 -10% 2,500원
820원
16,530원 >
14,850원 -10% 2,500원
0원
17,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헬조선 인 앤 아웃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헬조선 인 앤 아웃 (떠나는 사람, 머무는 사람, 서성이는 사람, 한국 청년 글로벌 이동에 관한 인류학 보고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8775005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04-21

책 소개

생존이 화두가 된 시대에 대한민국 청년들은 어디에 있는가? 그들은 한국과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 한국 사회는 그들을 고투에 어떻게 화답할 것인가? 젊은 인류학자들이 현장 연구를 통해 그들의 고민을 진지하게 성찰한 책이다.

목차

서문 청년들의 글로벌 이동성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민낯과 희원 5

1. “헬조선 탈출”로서의 인도 장기여행 ― 이민영
뚜렷한 목적 없이 한국 바깥을 장기여행하는 청년들 21
인도 리시케시의 장기체류자들 24
“헬조선 탈출”로서의 장기여행 28
“탈조선 여행”의 이동 양상 37
인도에서의 “헬조선 해독” 활동 44
“탈조선 여행” 이후의 삶 51
자유로운 영혼과 얽매인 몸 55
참고 문헌 58

2. 글로벌 난민의 삶: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한국 유학생들의 표류기 ― 김수정
잠재적 해고자, 대국민 통치전략 64
해외 인력 모집 대행인 “코글로시안” 69
“루저”와 “잉여”, 비국민 콤플렉스 70
“현대화 완성” 프로젝트, 반교육적 배제 74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길을 잃다 88
표류하는 유학생들 91
마치며 94
참고 문헌 95

3. “글로벌”을 살아가는 청년들: 아일랜드로의 “임시 이주”와 글로벌 이동 ― 우승현
한국을 떠나는 청년들 99
선택이 아닌 필수로서 해외 경험 100
아일랜드로 떠나는 “임시 이주” 102
잠시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찾아서 105
불안정한 곳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움직임 114
“냉정하게 보면 실패했지만 후회는 없어요.” 124
“글로벌”과 “청년”을 다시 생각하기 132
참고 문헌 135

4. “대한사람 대한으로”: 피할 수 없는 영주권자 “자원” 입영 ― 최희정
영주권자의 군 복무: “글로벌”과 “내셔널”의 사이에서 139
영주권자의 병역: 법적 현실 141
영주권자 등 입영희망원 출원제도 142
글로벌 애국자: 의무가 아닌 의지로 자원입대 143
세 청년의 이야기: 영주권자 한국 군으로 146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자원”입대 162
“글로벌”과 “내셔널” 사이에서 165
참고 문헌 169

5. 강제 추방을 중단하라!: 미국의 한인 미등록 청년 운동과 이상적 시민상像의 함정 ― 정가영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이주 “신분”의 의미 173
닫힌 이동성 179
이민자 권익 운동에서 대학 교육권 운동으로 182
한국계 미등록 이민자로 살아간다는 것 191
이상적 시민상의 함정 198
초국적 이민/이주자 연대 운동의 가능성 202
참고 문헌 208

6. 국제개발의 문법을 넘어 사회의 빈곤과 대면하기 ― 조문영
국제개발, 빈곤 논의의 사라짐 혹은 과잉 213
수영의 이야기: 주민(빈민)운동의 글로벌라이제이션 218
세 청년의 이야기: “글로벌 빈곤” 패러다임의 포용성 혹은 도구성 228
“주민의 힘”, 그 불편한 성찰 238
“사회”의 빈곤과 대면하기 246
참고 문헌 251

7. “뻔뻔한” 직접행동: 나의 글로벌 기본소득 운동 이야기 ― 김주온
당연한 꿈의 공간이었던 글로벌 무대 255
2010년의 대학 풍경 259
가능한 꿈의 공간으로서 글로벌 262
글로벌 기본소득 장의 비균질성 266
지역에서 싸우며 다시 만나는 글로벌 273
마치며: 나는 왜 운동을 하는가? 277

이 책을 쓴 사람들 285

저자소개

조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빈곤이란 주제를 새롭게 등장시키는 작업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The Specter of “The People”, 『빈곤 과정』을 썼다. 엮은 책으로 『동자동, 당신이 살 권리』 『문턱의 청년들』 『민간중국』 『우리는 가난을 어떻게 외면해왔는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분배정치의 시대』가 있다.
펼치기
이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도의 길을 걷다가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지 의문을 품고 세계를 탐험했다. 하루종일 주문을 외우는 인도의 공동체, 모하비사막 한가운데의 불교 사찰, 사방에 지평선이 보이는 호주의 목화농장, 호흡마다 살아 있음을 느끼게 되는 바닷속 등 다양한 환경을 탐구했고, 인간의 문 화를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인류학자가 되었다. 달라이라마와 투투 대주교의 대담집 《JOY 기쁨의 발견》, 헝가리인 청안스님의 법문집 《꽃과 벌》 등을 번역했다. 《자전거로 세상을 건너는 법》 《코리안 탈무드》(공저) 《헬조선 인앤아웃》(공저) 등의 책을 썼고, 여러 방송을 진행했다. LG전자, 하나투어, 휴넷 등에서 일했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한국인의 해외관광문화’를 주제로 박사 논문을 쓰고 있다.
펼치기
김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하와이대학교에서 중산층 및 노동자 계층 한인 여성 이민자들의 네트워크가 자녀 교육을 위한 정보 획득에 미치는 영향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주립대학교 교육정책, 조직, 리더십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 교육 과정에 있는 한인 유학생들이 부유하는 삶을 살며 불안정한 사회계층으로 편입되는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우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문화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청년이 아일랜드에 체류하며 겪은 글로벌 이동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신자유주의를 추종하는 한국 사회에 서 분투하는 청년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생존 전략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청년 세대와 문화,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이동(성),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 등을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최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세계화, 이주, 시민권에 대해 인류학적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일리노이주립대학교에서 유학생 남성들의 한국 군복무에 관한 논문으로 문화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건국대학교 이주·사회통합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이주, 시민권, 계급, 병역, 교육(유학)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정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몽골 이주 청소년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대학교 교육정책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지금은 미국의 한인 미등록 이민자 청년과 액티비즘에 관해 박사 논문을 쓰며, 글로벌 이주, 시민권, 청(소)년, 소수자 권리, 액티비즘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우리 이야기 한번 들어볼래?: 이주청소년 열두 명의 생생한 목소리』(공저), Makeshift Multiculturalism(공저)을 썼다
펼치기
김주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좋은 질문은 우리를 변화시킨다는 믿음으로, 기후위기 시대에 필요한 질문은 무엇일까 고민하며 글을 쓴다. 서른이 넘어서도 하고 싶은 일이 자꾸 바뀌어서 고민이지만,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든 결국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걸 알고 있다. 조건 없는 기본소득을 받으면 아주 아주 긴 소설을 쓸 마음으로 BIYN(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에서 활동한다. 활동가-정치인-연구자로서 함께 쓴 책으로 《숨통이 트인다》, 《헬조선 인 앤 아웃》, 《기본소득 말하기 다시 기본소득 말하기》, 《이렇게 하루하루 살다 보면 세상도 바뀌겠지》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