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중의 시대

민중의 시대

(1980년대 한국 문화사 다시 쓰기)

김재용, 김창남, 루스 배러클러프, 박선영, 어경희, 이남희, 이솔, 이윤종, 이진경, 이혜령, 천정환, 황경문 (지은이), 박종우 (옮긴이)
빨간소금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중의 시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중의 시대 (1980년대 한국 문화사 다시 쓰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9138338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3-11-20

책 소개

우리에게 1980년대란 무엇일까? 이는 ‘지금 여기에서 80년대를 어떻게 기억할까?’와 같은 질문이다. 80년대를 기억하는 방식은 개인마다 기록자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광주항쟁이 싹을 틔우고 6월항쟁으로 열매를 맺은 ‘민주화’의 시대로 기억한다. 이 책은 노동자, 여성, 일반 시민, 비주류 예술가의 눈으로 1980년대 문화를 새롭게 보려는 적극적 시도이다.

목차

한국어판 감사의 말
들어가며 | 박선영

I부 1980년대 한국의 역사와 기억
1장 1980년대에 대한 사회적 기억: 불연속 체제의 해부 |이남희
2장 목적론을 부르는 시대: 역사 서술로 본 1980년대 | 황경문

2부 초국가주의
3장 반제국주의적 초근대로서의 1980년대 | 김재용
4장 냉전 말 정치 여행: 오스트레일리아와 남·북한의 국제 학생 교류 | 루스 배러클러프
5장 민중미술의 해외 전시: 냉전의 끝 무렵 도쿄, 뉴욕, 그리고 평양으로 | 이솔

3부. 신노동 문화
6장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1980-90년대 노동자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 천정환
7장 대중음악사의 맥락에서 본 민중가요 | 김창남

4부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8장 빛나는 성좌: 1980년대 남한에서 여성해방문학의 탄생과 의미 | 이혜령
9장 제3세계 연대체 퀴어링하기: 1980년대 초 한국문학과 영화 속 흑인 여성들 | 어경희

5부 대중문화
10장 진보와 퇴행 사이: 역진하는 영화, ‘에로방화’ | 이윤종
11장 호혜의 시너지: 1980년대 한국 SF와 민주화운동 | 박선영

나가며| 이진경

주+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자소개

김재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근대 이후의 한국문학 및 세계문학 전공이다. 《혁명 속의 여성, 여성 속의 혁명》 등 여러 책을 썼다.
펼치기
김창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80년대부터 문화평론가로 활동해왔으며 월간 ≪말≫, ≪사회평론≫, 계간 ≪민족예술≫ 등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서 한국민족음악인협회 이사, 우리만화연대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 :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대중문화의 이해> 편저 : <김민기>, <노래1>, <노래2>, <노래3>, <노래4>, <노래운동론>, <노래5>, <아름다운 인생의 승부사들> 공저 및 공역 :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문화, 일상, 대중>, <문화이론사전>
펼치기
천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성사와 현실의 문화정치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성과와 문화 비평을 발표해 왔다. 《근대의 책 읽기》, 《조선의 사나이거든 풋뽈을 차라》, 《근대를 다시 읽는다》(공저), 《1960년대를 묻다》(공저), 《대중지성의 시대》, 《자살론》, 《촛불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숭배 애도 적대》 등이 있다.
펼치기
천정환의 다른 책 >
루스 배러클러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에서 한국문학과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한역된 책으로 《여공문학》이 있고, 공저로 Red Love Across the Pacific(태평양을 횡단하는 붉은 사랑)과 Gender and Labour in Korea and Japan: Sexing Class(한국과 일본의 젠더와 노동)이 있다.
펼치기
이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 부교수로서 한국문학과 비교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역된 책으로 《서비스 이코노미》가 있고, 공동 번역 편집서로 Rat Fire: Korean Stories from the Japanese Empire(서화: 일제시대 조선 중・단편 선집)가 있다.
펼치기
황경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의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역사와 사회에 관해 가르친다. 한역되어 나온 책으로 《맥락으로 읽는 새로운 한국사》, 《출생을 넘어서》가 있으며, 최근 저서로 Fate and Freedom in Korean Historical Films(한국 역사 영화에서의 자유와 운명)이 있다.
펼치기
이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문리대 아시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연구 분야는 20세기 사회문화사, 근대와 민족주의, 사회운동, 사회적 기억과 역사의식, 역사와 문학이다. 한역된 책으로 《민중 만들기》가 있으며, The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A Sourcebook(한국의 민주화운동)(공저), Memory Construction and the Politics of Time in Neoliberal South Korea(신자유주의 한국에서의 기억 구성과 시간 정치)가 있다. 현재 Cambridge Modern History of Korea의 공동 편집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윤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전임연구원.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UCI)에서 1980년대 한국 영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간지 《문화과학》 및 KCI 등재지 《대중서사연구》(대중서사학회)와 《사이》(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영화연구》(한국영화학회)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1980년대 한국 대중 영화와 민중운동의 접점과 상호 연관성, 문제점 등에 관한 연구, 최근에는 아시아여성학센터의 한국연구재단 연구 과제인 ‘인종과 젠더’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공저로 《할리우드 프리즘》, 《1990년대의 증상들》,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 등이 있으며, 가장 최근 논문으로 <젠더와 계급 갈등 위에 교차된 인종화: <버닝>의 벤 캐릭터에 대한 재고찰>(《아시아영화연구》, 2023)과 <미국의 인종 갈등 속 한인 여성의 위치: 영화 <웨스턴 애비뉴>의 LA 폭동 재현과 강수연의 이미지>(《극예술연구》,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의 동아시아학과와 젠더학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역된 책으로 《프롤레타리아의 물결》이 있고, 번역 편집서로 On the Eve of the Uprising and Other Stories from Colonial Korea(만세전 외 근대 중·단편 선집), Readymade Bodhisattva: The Kaya Anthology of Science Fiction from South Korea(레디메이드 보살: 한국 SF 선집)과 김보영 중단편 선집 On the Origin of Species and Other Stories(<종의 기원> 외) 등이 있다. 현재 ‘한국 SF 문화사’를 집필 중이며,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도서관을 통해 디지털 전시회 Science Fiction in Korea: Between History, Genre, and Politics(한국 SF 소설)를 기획했다.
펼치기
어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 문화 속 소녀 감성에 관한 퀴어 리딩을 제시하는 연구서 Erotics of Purity: The Making of the South Korean Girl Aesthetic(순수의 성애학: 한국 소녀 감성의 형성)을 준비하고 있으며, 1세대 미주 이민 작가 전낙청의 작품을 영문 번역 중이다.
펼치기
이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의 미술학과 미술사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글로벌 근·현대미술을 연구한다. 한국의 민주화운동 시기에 어떻게 급진적 정치의 탈식민지적 미학이 출현했는지, 그 다면적인 과정을 살펴보는 Reimagining Democracy: The Minjung Art Movement and the Birth of Contemporary Korean Art(민주주의를 상상하다)라는 첫 저서를 곧 출판할 예정이다. 그 외 북한 시각 문화의 세계적인 유통, 근대 불교미술, 페다고지컬 큐레이팅(pedagogical curating), 생태계와 예술에 관한 연구 등을 통해 미술과 사회의 접점에 관한 이론화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박종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철학, 역사, 종교학을 전공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지역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근대 지성사를 연구하고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박사 학위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글로벌한국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외 다수의 학술지와 The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A Sourcebook(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같은 단행본의 번역에 참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에서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양분하는 이분법적 묘사는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여러 담론을 수반하는데 민중에서 시민으로, 집단에서 개인으로, 정치적인 것에서 문화적인 것으로 전환이라는 담론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담론들은 또한 신자유주의로 전환이라는 세계적인 변화의 맥락과 그 궤를 함께했다. 내가 여기서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담론들에서 1980년대 민중운동은 역사적으로 두 번 추방당한다는 점이다. 첫 번째는 이러한 담론들이 1980년대 전부를, 즉 모든 성취와 실패를 온전하게 평가하지 못하거나, 평가하려 하지 않거나, 심지어 평가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그래서 결과적으로 1980년대를 “골화(骨化)”하는 것이다. 뉴라이트의 단절 담론 또한 사회·경제·정치적 역학에 따라 추동되는 기억상실 형태로 실천되고 기능한다. 더욱이 앞서 언급한 권위주의 시대에 대한 기억의 확산은 한편으로는 역사의 파편화, 혹은 과거 주도권의 쇠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피에르 노라는 이를 “단일 설명 원리의 상실”이라 불렀다.) 하지만 이 기억의 재구성은 승리주의 담론과 밀착되어 있고 현재의 동향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동시대 권력 배열의 발화를 의미한다.


브리즈번을 떠나 한국에서의 정치적 모험을 시작하기 며칠 전, 나는 이웃인 진 필립스 이모와 대화를 나눴다. 진은 원주민의 권리를 주창하는 운동가이자 복음주의 기독교인이었다. 진은 퀸즐랜드주 남부의 셰르부르라는 원주민 보호구역에서 자랐고 옛 저택 안의 관리자 숙소에 살고 있었다. 저택은 호주연합교회의 소유였고 쓰러져 가는 중이었다. 진은 내가 SCM 국제 교류를 위해 곧 한국에 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나를 바라보며 말했다.
“왜 거기로 가? 관심과 힘이 필요한 문제라면 여기에도 충분히 많은데.”
이 말 직후 그녀가 덧붙인 한마디는 날 완전히 무너뜨렸다.
“우리 (원주민) 여자애들한테는 그런 기회가 절대 안 주어지지.”
그녀의 말이 옳았다. 나와 함께 초등학교에 다닌 원주민 여학생 중 그 누구도 내가 나온 선발제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했다. 원주민 남학생 중에는 진학생이 조금 있었지만, 여학생 중에는 없었다. 오늘날은 그런 현상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원주민 여성에 대한 인종차별적·성적 폭력이 항상 존재하던 퀸즐랜드주, 혹은 1970-80년대의 브리즈번 시내에서 학생으로서 정치 여행이나 아래로부터의 세계시민주의를 경험할 기회는 나 같은 백인 학생이 전부 독점했다.


지식인 문학판 내부의 역관계도 더 기울어 1980년대 말에는 사회주의리얼리즘론 내지 민중적민족문학론이 압도적 위세를 갖는 듯했다. 그러나 6월항쟁 이후 《창작과 비평》과 《문학과 사회》가 복귀했음도 지적해야 한다. 타매(唾罵)됐던 ‘프티부르주아 문학’은 곧 전면 복귀해 상황을 역전시키고 무너지고 깨졌던 ‘문단 질서’를 회복할 것이었다.
이 절에서 주로 거론한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는 노동자문학회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이며, 동시에 계급적 민족·민중문학운동의 의식적 이념과 운동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였다. 그리하여 이 고빗길의 정상에서 1970년대부터 대학생·지식인이 관여해 온 노동운동은 다기한 성과를 산출했지만, 급전직하와 반전이 목전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