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니에르 드 부아르 9호 Maniere de voir 2022

마니에르 드 부아르 9호 Maniere de voir 2022

(맛의 쾌락)

리크 판타지아, 장바티스트 말레, 세바스티앙 라파크, 파스칼 라르들리에, 조너선 노시터, 알랭 가리구, 마크 페레누, 피에르 이브 롬멜래르, 가티앵 엘리, 세드릭 구베르뇌르, 브누아 브레빌, 클레르 르쾨브르, 카를로 페트리니, 아녜 스티엔, 마엘 마리에트, 레미 카라욜, 필리프 바케, 아크람 벨카이드, 피에르 돔, 김지연 (지은이)
르몽드디플로마티크(잡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마니에르 드 부아르 9호 Maniere de voir 202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니에르 드 부아르 9호 Maniere de voir 2022 (맛의 쾌락)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91192618043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2-10-13

책 소개

르몽드코리아가 펴내는 계간 무크지《마니에르 드 부아르》. 9번째로 펴내는 『맛의 쾌락』은 모두 4부 22편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서문 - 먹거리 속의 ‘불편한 진실’ ― 브누아 브레빌
#책을 내며 - 혀끝 쾌락에 집착하는 당신의 영혼 ― 김지연

#1부 식탁의 예술

고급 요리의 사회학 ― 리크 판타지아
ㄴ 레스토랑 등급의 표준이 된 ‘미슐랭’
ㄴ 레스토랑 탄생의 역사
볼로냐의 화려한 식도락 파크 ― 장바티스트 말레
호모 페스티부스, 식탁으로 가다 ― 세바스티앙 라파크
그것은 와인이 아니다! ― 조너선 노시터
ㄴ 시장을 통해 본 와인의 혁명
포도주에 역사와 기억이 있다 ― 세바스티앙 라파크
채식, 부르주아의 전유물인가? ― 브누아 브레빌
ㄴ 8개 나라가 얽힌 ‘허머스’ 음식 전쟁
ㄴ 역사가 암시한 식량위기
ㄴ 미식 평론가의 칼럼들

#2부 마법사의 제자들

좋은 음식을 먹는 것은 우리 모두의 권리 ― 카를로 페트리니
토마토는 그래서 붉었다 ― 피에르 돔
ㄴ 18세기의 '데자뷔'
초가공식품 위생논란, 유기농식품 수요폭증 ― 가티앵 엘리
고급식품에서 생태재앙이 된 연어 ― 세드릭 구베르뇌르
투쟁의 대상이 된 학교 급식 ― 마크 페레누 외
토마토 통조림에 얽힌 자본주의의 역사 ― 장바티스트 말레

#3부 누가 우리의 접시를 채우나?

패스트푸드점의 탈육체화된 고기 흉내 ― 파스칼 라르들리에
스타벅스와 서브웨이의 불편한 '소셜 워싱’ ― 브누아 브레빌
로봇 착유기에 거액 투자한 낙농업자들의 비극 ― 마엘 마리에트
‘친환경’ 바이오 농업의 성장 촉진법 ― 필리프 바케
ㄴ 강대국 경작지 된 나라들

#4부 식량이 불안하다!

기아 공포 ― 아크람 벨카이드
식량, 마지막 투기 은신처 ― 장 지글러
빌 게이츠 재단의 수상한 농사법 ― 크리스텔 제랑드

저자소개

카를로 페트리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세계 150개국에 1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국제운동단체 ‘슬로푸드’를 설립한 인물이자, ‘테라마드레’, ‘살로네 델 구스토’ 등 슬로푸드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카를로 페트리니는 1980년대 중반 로마에 맥도날드 매장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데 앞장선 일로 유명해졌다. 과거에 공산주의 운동에 적극 참여했으나 현재는 이탈리아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민주당 당원이다. 2004년에는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를 뒷받침할 새로운 미식가와 먹거리 혁신자를 양성하기 위해 미식과학대학을 설립했다. 그해에 《타임》은 그를 ‘올해의 영웅’ 중 한 명으로 선정했고, 유엔은 그를 ‘지구의 전사’라고 불렀다. 2016년 5월, 유엔은 그를 ‘FAO 기아퇴치 유럽 특별대사’로 임명했다. 지은 책으로 《슬로푸드Slow Food》, 《슬로푸드 제국Slow Food Nation》(한국에는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으로 소개되었다), 《슬로푸드 혁명Slow Food Revolution》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비평가. 예술학과 법학을 공부했다. 예술과 사람을 관찰하며 목격한 아름다운 장면의 다음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쓴다. 현재 문화예술비평지 『크리티크M』의 편집위원이며, 『조선일보』, 『월간미술』,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맨 노블레스』 등 다수 매체에 미술과 문화에 관한 글을 발표해왔다. 그 외에 라디오와 강의 등 동시대 미술과 대중을 잇는 활동을 지속한다. 쓴 책으로 『필연으로 향하는 우연』, 『반짝이는 어떤 것』, 『마리나의 눈』, 『보통의 감상』 등이 있다. 2016년 그래비티이펙트 미술비평공모에 입상, 202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부문에 당선되었다.
펼치기
김지연의 다른 책 >
브누아 브레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부편집장. 역사학 박사, 파리 1대학 20세기 사회사연구소 연구원, 몬트리올 퀘백대 교수 역임. 저서에 『Les mondes insurges. Altermanuel d'histoire contemporaine 반 란의 세계, 현대사의 대안 편람』(공저, 2014), 『Manuel d'histoire critique 비평 역사 편람』(2014) 이 있다.
펼치기
아크람 벨카이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프랑스어판 편집장. 알제리 출신의 언론인이자 작가이며 저서로는 『L'Algerie, un pays empeche (en 100 questions) 알제리, 어려운 처지의 나라(질문 100가지)』(2019), 『Pleine Lune sur Bagdad 바그다드의 보름달』(2017) 『Un regard calme sur l'Algerie 알제리를 향한 조용한 시선』(2005), 『Etre Arabe aujourd'hui 오늘날 아랍인이라는 것』(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아크람 벨카이드의 다른 책 >
리크 판타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자. 『Gastronomie francaise a la sauce americaine. Enquete sur l'industrialisation de pratiques artisanales 미국식 소스를 더한 프랑스 음식 : 수공업 방식의 산업화에 관한 연구』(Seuil, ‘Liber’ 컬렉션, Paris, 2021)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장바티스트 말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자. 『L’Empire de l’or rouge. Enquete mondiale sur la tomate d’industrie 붉은 황금의 제국. 전 세계 토마토 산업 조사보고서』(Fayard, 2017년)의 저자.
펼치기
세바스티앙 라파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자 겸 문학평론가. 『그는 떠나야만 한다』(스톡·파리·2008)의 저자.
펼치기
파스칼 라르들리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르고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교수. 주요 저서로 『음식의 위험, 의식, 그리고 기쁨』(EMS, 코르멜-르-로얄, 2013년) 등이 있다.
펼치기
조너선 노시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감독,《Sunday》(1997), 《Signs & Wonders》(2000), 《Rio Sex Comedy》(2010) 등의 영화와 《Resident Alien》(1990), 《Mondovino》(2004), 《Resistance naturelle》(2014) 등의 다큐멘터리를 제작. 2015년 10월 Stock 출판사에서 출간된 『Insurrection culturelle 문화 반란』의 저자.
펼치기
마크 페레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잔대학교 사회학 부교수. 레지냥 코르비에르 칼리지의 셰프. 이들의 공저서로 『Une Autre Cantine Est Possible 구내식당의 변신은 가능하다』(Editions du Croquant, Vulaines-sur-Seine, 2021년)가 있다.
펼치기
피에르 이브 롬멜래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잔대학교 사회학 부교수. 레지냥 코르비에르 칼리지의 셰프. 이들의 공저서로 『Une Autre Cantine Est Possible 구내식당의 변신은 가능하다』(Editions du Croquant, Vulaines-sur-Seine, 2021년)가 있다.
펼치기
가티앵 엘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리·역사학 교사. 저서에 『신세계. 신자유주의 프랑스 개관(Le Nouveau Monde. Tableau de la France neoliberale)』(2021, Editions Amsterdam, 공저)이 있다.
펼치기
세드릭 구베르뇌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특파원. 기자. 어메이징 아메지안과 공동 작업한 『Legal. La fin de la prohibition 법적인 것. 금지의 종식』(Casterman, Paris, 2014)의 시나리오를 썼다.
펼치기
세드릭 구베르뇌르의 다른 책 >
클레르 르쾨브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널리스트 겸 작가. 생태계 전문 과학기자로 언론계 생활을 시작해 과학의 대중화를 지향하며 언론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저서로는 『La Vie, C’est mortel! 인생은 죽음!』(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아녜 스티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래픽 디자이너.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으며, 저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마엘 마리에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기자
펼치기
레미 카라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 변호사회 소속 변호사
펼치기
필리프 바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널리스트 겸 도규멘터리 필름 제작자. 농업 기술의 산업화, 특히 바이오산업의 산업화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쓰고 있다. 저서에 『대안으로의 바이오에서 바이오 비즈니스로: 바이오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2011) 등이 있다.
펼치기
피에르 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문학 전공 교수를 지낸 뒤, 1999년부터 오스트리아 주재《르몽드》특파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리베라시옹》,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등에 기고하고 있다. 프랑스의 과거 식민지인 베트남과 알제리를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의 발굴 기사를 보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식의 주요 이론가이자 『미식예찬』의 저자인 앙텔므 브리야 샤바랭에 의하면, 미식이란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을 아우르는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인식”이다. 이 간단한 정의에서 비롯된 지적 노력 덕분에, 우리는 미식이 모두의 이익을 중심으로 먹을거리를 되돌려 놓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리야 샤바랭은 음식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부터 원인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요리예술을 일종의 확고한 과학으로 만들고자 했다.”
- 카를로 페트리니


“네덜란드나 벨기에는 아예 온실 ‘수경재배’에만 의존하는 형편이다. 이제 최후의 방법은 프랑스 최고의 요리사 자크 푸르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인지도 모른다. 몽펠리에에서 ‘자르댕 데 상스’ 레스토랑(세계적 권위의 레스토랑 평가지 <미슐랭 가이드>로부터 별 2개 등급을 받은 레스토랑)을 경영하는 이 요리사는 “나는 여름에만 토마토 요리를 한다”고 얘기한다. 그는 “여름이면 밭에 햇살 가득 흙을 품고 토마토가 자라난다. 관개수도 적당히 사용되고, 화학비료도 최소한만 살포된다. 이렇게 재배된 토마토는 맛이 끝내준다. 너무 질퍽하지도 않고 살짝 신맛이 가미된 게 향미가 뛰어나다”고 전한다.”
- 피에르 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