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멋지다 우리 역사

멋지다 우리 역사

(가슴 뿌듯한 우리 역사 10장면)

강명관, 고운기, 고정욱, 김용만, 임정진, 이신철, 한은희, 배성호, 최현삼, 김동관 (지은이), 양지은 (그림)
주니어김영사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멋지다 우리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멋지다 우리 역사 (가슴 뿌듯한 우리 역사 10장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88934931386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08-10-01

책 소개

교사, 동화작가, 방송국 PD, 대학교수 등 우리 역사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가진 선생님들이 어린이들에게 한국의 자랑스러운 역사에 대해 들려주는 책이다.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 당당한 고구려인, 보물 피리 만파식적, 용맹한 영웅 원균, 정조와 신하들, 한글, 실학, 의병, 민주화 운동 등 다양한 인물과 역사를 소개한다.

목차

작가의 말
하나 사랑 속에 피어난 고구려의 힘 _ 최현삼
역사뒷골목 신분을 뛰어넘은 아름다운 사랑의 발자취
둘 수나라 대군도 두렵지 않은 당당한 고구려인 _ 김용만
역사뒷골목 튼튼하고 견고한 고구려 성
셋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이 담긴 신라의 피리 _ 고운기
역사뒷골목 죽어서도 나라를 지킨 문무왕이 남긴 보물
넷 우리 겨레의 현재와 과거, 그리고 미래를 여는 한글 _ 배성호
역사뒷골목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
다섯 역사바로잡기로 안 원균의 용맹함 _ 고정욱
역사뒷골목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주역
여섯 꼼꼼하게 기록하는 임금과 할 말 다하는 신하들 _ 임정진
역사뒷골목 백성을 위해 발로 뛴 임금, 정조
일곱 중국 선비와의 우정을 통해 키운 실학 정신 _ 강명관
역사뒷골목 새로운 세계를 연 사람들
여덟 민족의 단결을 보여준 의병 활동 _ 김동관
역사뒷골목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의병들
아홉 민주주의로 이끈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 _ 이신철
역사뒷골목 뜻깊은 민주화 운동의 현장
열 울릉도와 독도는 우리 땅 _ 한은희
역사뒷골목 세계 지도 속의 독도

저자소개

강명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조선 중기 서울의 도시적 분위기에서 활동했던 여항인의 역사적 실체와 문학을 검토해 한문학의 지평을 넓혔으며, 방대한 한문학 텍스트에 근거한, 풍속사, 사회사, 음악사, 미술사를 포괄하는 다양한 저서들로 독자에게 다가가고 있다. 근래에는 조선시대 지식의 생산과 유통이 인간의 사유와 행위로 연결되어 어떤 인간형을 만들어 내는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노비와 쇠고기》, 《가짜 남편 만들기》, 《조선 풍속사》(전3권),《열녀의 탄생》,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조선의 뒷골목 풍경》, 《허생의 섬, 연암의 아나키즘》, 《독서한담》, 《조선에 온 서양 물건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공안파와 조선 후기 한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고운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에 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1999년부터 3년간 게이오대학교 문학부 방문연구원으로 한일 문학 비교 연구를 수행했으며, 2007년에 메이지대학교 문학부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 고 있다. 시집으로 《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 《구름의 이동속도》 등이, 지은 책으로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 《스토리텔링 삼국유사 시리즈》 가 있다.
펼치기
고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린이·청소년 문학계를 대표하는 작가. 성균관대학교 국문과와 대학원을 졸업한 문학박사다. 어릴 적 소아마비로 중증 장애를 갖게 됐지만, 각종 사회 활동과 문학 활동으로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한 이후, 꾸준한 활동으로 현재 활동하는 작가 중 가장 많은 책을 펴냈다(약 380권). 아동 및 청소년 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5년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추모상(ALMA) 후보로 선정되었다. 또한 여러 편의 작품이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서에 실려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잘하는 게 뭔지 물으신다면》, 《가방 들어주는 아이》, 《아주 특별한 우리 형》, 《까칠한 재석이》 시리즈는 작가의 대표 작품이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자기계발과 리더십 향상에도 관심이 많아 연 300회 이상의 강연을 다니고 있으며, 독자들의 메일에 답장을 꼭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펼치기
김용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역사문화연구소 소장. 『고구려의 발견』,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새로 쓰는 연개소문전』 등을 저술한 고구려사 전문 연구자다. 그는 『조선이 가지 않은 길』을 비롯해 조선시대 생활사 연구로 지평을 넓히고 있다. 『지도로 보는 한국사』, 『지도로 보는 우리 바다의 역사』 등을 통해 인간 삶에 끼친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그는 숲이 한국사에 끼친 중대한 영향에 주목하여 『숲에서 만난 한국사』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임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과를 졸업했습니다. 1988년 계몽아동문학상으로 등단해 2013년 『바우덕이』로 한국아동문학상을 받았습니다. 그 외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나보다 작은 형』 『내 친구 까까머리』 『겁쟁이 늑대 칸』 『땅끝마을 구름이 버스』 『지붕 낮은 집』 『호야의 숲속 산책』 『채식 흡혈귀 딩동』 등 그림책, 동화책, 청소년 소설 등 130여 권을 출간했습니다. 유튜브에서 어린이들에게 동화를 읽어주고 있습니다.
펼치기
한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충주에서 태어났다. 여행에 관한 글을 써왔고 daum에서 '신나는 탐구 여행'이라는 까페를 운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초등학생이 꼭 가봐야 할 학습 여행지>, <잊지 못할 가족 여행지 48> 등이 있다.
펼치기
배성호 (감수)    정보 더보기
드넓은 세상에서 어린이·청소년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라길 바라는 선생님입니다. 세계 시민으로 학생들이 꿈과 희망을 키워 갈 수 있도록 초등 사회 교과서를 집필하고, 유자 학교 기획 단장을 맡아 전국의 학생, 선생님들과 함께 안전한 학교 만들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는 《우리나라가 100명의 마을이라면》, 《우리가 박물관을 바꿨어요!》, 《선생님, 착한 손잡이가 뭐예요?》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미래 세대를 위한 과학 기술 문해력》,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를 살리는 급식 이야기》, 《미래 세대를 위한 인공지능 이야기》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최현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중앙고등학교 역사 교사이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일본 역사 교사들과 《마주보는 한일사 1, 2》를 썼다.
펼치기
김동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EBS 교육방송 PD. <대화>, <다큐프라임> 등과 역사 관련 다큐 프로그램을 연출했다.
펼치기
양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한 후 School of Visual Arts: Summer Continuing Education-Illustration Course를 수료했습니다. 그린 책으로 《색연필로 그리는 추억의 물건》《솔루토이-신비스러운 피리》,《멋지다 우리 역사》,《은혜 갚은 개》 등이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floralj-illust
펼치기

책속에서

“정조가 다스린 시절이 조선의 르네상스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지위가 낮더라도 할 말은 다하고, 지위가 높더라도 반대 의견은 겸허히 받아들여 고쳐 나간 임금과 신하가 함께 힘을 합쳤기 때문이에요” - '꼼꼼하게 기록하는 임금과 할 말 다하는 신하들' 중에서


고구려가 엄청난 대군을 가진 수나라를 물리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요? 뛰어난 장군인 을지문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을지문덕 혼자 잘했기 때문에 고구려가수나라를 이긴 것은 아니에요.
고구려는 요동성에 보듯 아주 견고한 성벽을 갖고 있었고, 각궁이라는 강력한 활도 있었어요. 또 나라가 부유한 탓에 장기간 적과 싸울 수 있게 식량도 넉넉히 준비해 두고 있었어요. 고구려의 국력이 약했다면 승리할 수가 없었겠죠.

p.4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