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세계사
· ISBN : 9788964359365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7-05-12
책 소개
목차
1교시 인도 최초의 통일 제국과 불교의 탄생
부처님의 발길을 따라 불교의 4대 성지를 가다
치열한 전쟁을 거치며 크샤트리아 계급이 부상하다
불교가 탄생하다
마우리아 왕조가 최초로 인도를 통일하다
부처님의 자비로 나라를 다스린 아소카 대왕
쿠샨 왕조가 동서 교역으로 번영을 누리다
대승불교가 유행하다
2교시 춘추 전국의 혼란을 딛고 중국에 통일 제국이 들어서다
초나라의 본거지 후베이 성을 가다
봉건 질서가 무너지고 패자가 등장하다
춘추 시대, 혼란이 새로운 발전의 밑거름이 되다
전국 시대, 일곱 나라가 치열한 경쟁을 펼치다
제자백가, 춘추 전국 시대를 수놓은 백 가지 학문의 꽃
진나라가 엄격한 법치를 통해 전국 시대 최강국으로 부상하다
시황제가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를 건설하다
흔들리는 진나라
3교시 동아시아에 들어선 대제국 한나라
한나라를 세운 유방의 든든한 힘, 쓰촨 성의 오늘
진나라가 무너지고 한나라가 들어서다
진나라의 실패에서 배운 한나라
장건이 서역으로 간 까닭은?
한 무제, 흉노와 필사적인 전쟁을 벌이다
호족이 뜨고 환관과 외척이 설치다
왕망의 개혁이 실패하고, 호족 세력이 후한을 건국하다
4교시 유라시아 최초의 유목 국가 스키타이와 흉노
스키타이의 본거지 우크라이나를 가다
유목민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왜 유목민은 약탈자로 기록되었을까?
최초의 유목 국가 스키타이
동북아시아의 원조 유목 국가 흉노
5교시 아메리카 대륙의 고대 제국들
잉카 제국의 후예가 사는 나라 페루의 오늘날
유카탄 반도에서 꽃 피운 마야 문명
멕시코 고원 여기저기에 큰 도시가 나타나다
아스테카, 이웃 도시와 동맹을 맺고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다
남아메리카에서 여러 문명이 발달하다
남아메리카 최강의 제국 잉카
6교시 유목민과 한족이 융합되는 위진 남북조 시대
북조의 중심지였던 산시 성(산서성)의 오늘
황건적의 난을 계기로 삼국 시대가 펼쳐지다
북방에서 유목민들이 밀고 내려오다
남조는 귀족들의 천국
북위가 유목민과 한족의 융합을 시도하다
육진의 난으로 북위가 분열되다
불교가 널리 퍼지고 도교가 유행하다
보충수업 비단길 집중탐구
하서회랑: 중국 문명의 심장부에서 서역의 입구까지
오아시스 길: 험난한 사막을 넘는 본격적인 모험의 시작
중앙아시아 구간: 사통팔달의 비단길 핵심 루트
서아시아 구간: 중앙아시아에서 지중해 세계에 이르는 길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런데 농사만 짓던 사람들을 전쟁에 끌고 가 봐야 큰 도움이 될까요?”
“맞아. 그래서 원래 농민은 전쟁에 끌려가지 않았어. 전차도 말도 탈 줄 모르고, 변변한 무기도 없는 병사는 전투에 큰 도움이 안 됐거든. 그런데 전국 시대가 되면서 상황이 달라졌어. 이제는 성을 함락하는 것이 전쟁의 목적이라서 군사의 수가 많아야 유리했지. 게다가 철제 무기가 도입되면서 농민도 싸고 질 좋은 무기로 무장시킬 수 있게 되었어. 마지막으로 초나라, 오나라, 월나라같이 습지가 많은 중국 남부 지역이 전쟁터가 되자 바퀴가 푹푹 빠지는 전차보다 질척거리는 땅에서도 싸울 수 있는 보병의 중요성이 커졌단다. 이제는 제대로 훈련조차 받지 못한 농민도 칼 한 자루만 쥐여 주면 전쟁터에서 제법 활약할 수 있게 된 거지.”
“이래저래 백성들만 불쌍하네요. 만날 감시당하는데다가 세금도 내야하고, 이제는 전쟁에도 끌려가니…… 쩝.”
“그래. 그런데 이렇게 교역이 막히면 어떻게 되겠니? 유목민이 순순히 고개를 숙이고 항복할까? 그렇지 않아. 유목민은 유목민대로 더욱 똘똘 뭉쳐 농경민을 압박하려 했어. 그러다 보면 드넓은 초원에 흩어져 살던 유목민이 거대한 제국을 만들고 농경민을 더 강하게 밀어붙이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거야. 그러다가 농경민도 한나라나 페르시아처럼 강력한 제국을 만들게 되면, 이제 지긋지긋한 유목민을 뿌리 뽑기 위한 정면 대결에 나서는 거지. 너희들 한 무제가 흉노랑 얼마나 치열하게 싸웠는지 기억하지?”
“결국 양쪽에서 양보 없이 무력 대결을 벌이다 보면 전쟁이 점점 커진다, 이 말씀이시네요.”
나선애의 말에 용선생은 고개를 끄덕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