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65236801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7-10-02
목차
·책을 펴내며: 꿈을 좇았던 한민족의 자존심
·편집자의 말: 한민족의 자부심을 한바탕 외치려는 책을 엮기까지
세종대왕, 한글을 창제하다 최정호
천 년의 인물, 이순신 김형국
나라 구하러 나선 ‘유승(儒僧)’, 사명당 안경환
조선 실학의 금자탑, 다산 정약용 김성훈
아! 월남 이상재 김동길
안중근, 동양 평화를 외치다 장석흥
안창호, 무실역행(務實力行)의 통합적 지도자 안경환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최 명
6·25전쟁 하면 생각나는 임, 백선엽 김형국
전쟁터에서 꽃피운 인간 사랑 닥터 현봉학 이성낙
선비의 전형 박태준 송 복
나의 스승 함석헌 김동길
김수환 추기경 -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봉두완
문화 독립 운동가 전형필 이성낙
박경리, 포한이 원력이던 소설 문학 김형국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종은 이웃 나라들을 침공하여 국토를 크게 넓힌다는 따위의 업적을 자랑하는 전쟁 영웅은 아니었다. 세종은 군사적 무훈이 혁혁한 대왕이 아니라 문치 내정에 찬란한 업적을 쌓아 올린 성군이었다. 이 점에선 위의 대왕들 반열에서 세종대왕에 비길만한 군왕은 거의 없다. 굳이 찾는다면 오직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대왕(1712~1786)을 들 수 있을 뿐이다. - ‘한글을 창제한 대왕 세종’ 중에서
어문학이면 어문학, 천문학이면 천문학, 음악이면 음악, 각 분야 하나만 떼어놓고 보더라도 그 모두가 당시 세계 문화의 수준을 끌어올린 업적들이었다. 그 어느 한 분야의 업적만도 한 사람이, 또는 여러 사람이 전 생애를 걸쳐 헌신해야 비로소 이룩할 수 있는 정도의 대단한 경지였다. 그 모든 것을 한 시대의 한 군왕이 성취한 것이다. 그 점에서 세종대왕은 참으로 한반도의 ‘르네상스인’이었다. 그 덕분에 세종 시대를 15세기 한국 문화의 ‘르네상스 시대’라 이를 수 있는 것이다. - ‘한글을 창제한 대왕 세종’ 중에서
지구상의 모든 다른 지역에서는 한 사람의 군왕이 지배하고 무력(武力)이 지배했던 고대 세계에서 국정(國政)이 시민에 의해서(by the people) 좌우되고 또 모든 결정이 ‘힘’이 아니라 ‘말’에 의해서 좌우되었다는 아테네의 민주 정치는 ‘헬라스(그리스)의 기적’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모든 다른 지역에서 군주의 권력과 권위를 위해서 비밀의 보호와 유지가 추구되고, 지식을 독점했던 특권 계층이 지식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출판에 대한 갖가지 통제와 단속을 관행화하던 15세기에, 세종대왕이 오히려 모든 사람을 위하여(for the people)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글을 새로 만들고 백성들을 위하여 수많은 책을 펴내는 ‘민본 정치’를 구현했다는 사실은 ‘한반도의 기적’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 ‘한글을 창제한 대왕 세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