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참 스승

참 스승

(인물로 보는 한국 기독교교육사상)

김도일, 김난예, 김응교, 민경식, 손원영, 오현선, 원신애, 이상명, 이인경, 정원범, 조성국, 조은하, 한국일 (지은이)
새물결플러스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참 스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참 스승 (인물로 보는 한국 기독교교육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88994752754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4-07-31

책 소개

인물로 보는 한국 기독교교육사상. 13인의 저자들은 일제 치하와 6.25전쟁, 그리고 대한민국의 기틀이 마련되던 엄혹한 시대에 절망적 상황을 뛰어넘어 비전의 씨를 뿌렸던 13인의 기독교교육사상가들을 소개한다.

목차

1장 이승훈, 어둠과 절망의 땅에서 희망을 노래하다 | 김도일
2장 윤치병, 신언행 일치의 사람 | 이인경
3장 안창호, 격랑 이는 바다에 배를 띄우다 | 이상명
4장 김교신, 새로운 조선을 성서 진리 위에 세우다 | 정원범
5장 오천석, 하늘정원에 피는 꽃 | 김난예
6장 최용신, 종소리처럼 시대를 깨우다 | 조은하
7장 김용기, 민족과 사회를 일깨운 실천적 사상가 | 한국일
8장 조아라, 광주와 예수가 낳은 영원한 스승 | 오현선
9장 주영하, 기독교정신이 길러낸 민족교육가 | 민경식
10장 전영창, 학교의 목자 조국의 목자 | 조성국
11장 윤동주, “처럼”의 시학 | 김응교
12장 권정생, 별에서 온 그대 별이 된 “강아지똥” | 원신애
13장 박대선, 학교에 하나님의 정의가 흐르게 하다 | 손원영

저자소개

김난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충남대학교 교육학 박사(Ed.D)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기독교교육과(M.A)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B.A)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UNION - P.S.C.E Visiting Scholar Columbia Theological Seminary Visiting Scholar 한국기독교교육학회장 역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편집위원장 역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출판위원장 역임 기독교어린이교육연구회장 역임 한국기독교학회 교육연구위원장 및 중앙위원 역임 새문안교회 교육사 역임 은석 새마을 유아원 원장 역임 현) 침례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부교수 세종시 교육정책 자문위원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자문교수 필그림(FillGrim) 대표 Providence University 객원교수 저서 「공동체 영성의 향기」(대장간, 2019) 「아이들의 발달과 신앙교육」(하기서원, 2014) 「신앙과 심리」(한들출판사, 2004) 공저 「AR 증강현실 요나이야기」(바이블캐슬, 2021) 「코로나19를 넘어서는 기독교교육」(동연, 2020) 「고령사회의 기독교노인교육」책임편집, (기독한교, 2019)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목회」(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풀어쓰는 신앙교육 이야기」(새물결풀러스, 2014) 「참 스승」(새물결풀러스, 2014)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기독교교육 학습공동체」(요단출판사, 2014) 「미래시대·미래세대 미래교육」(기독한교, 2013) 「기독교 아동교육」(기독한교, 2008) 「신앙과 심리」(한들출판사, 2004) 「예수님 나의 친구」(한국문서선교회,1996) 「세대적 교사들의 교수-학습방법」(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이외에 50여 편의 논문이 있음
펼치기
김도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교 목사이며 기독교교육학자이다. 청년시절 미국에 이민을 가서 이민목회를 하였다. Biola University에서 기독교교육학 학사 및 석사,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장과 한국컴패션 감사를 역임하였고,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기획정보처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대외협력처장으로 장신대를 섬기면서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 Biola University 기독교교육학 학사 및 석사(B.A. M.A.)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신학 석사 (M.Div.)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 종교교육학 박사 (Ed.D.) 저서와 역서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맑은 영성 맑은 가르침』(저서) 『신학이란 무엇인가』, 『교회란 무엇인가?』, 『기독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는 일곱 주제: 희망』(공저)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육철학』, 『창조적인 말씀을 통한 기독교교육』, 『제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기독교교육』, 『예수의 가르침에 나타난 방법과 메시지』, 『기독교적 양육』, 『발달주의적 시각으로 본 기독교적 양육』, 『종교교육사회론』 (역서)
펼치기
김응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평론가. 일본 문학과 일본에 관한 책으로 『일본적 마음』,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 폭력』, 『일본의 이단아―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 新幹社, 2007) 등을 썼다.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시선집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 소설 『어둠의 아이들』, 『다시 오는 봄』, 오스기 사카에의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 등을 우리말로 옮기고,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 高銀詩選集』(東京: 藤原書店, 2007)를 사가와 아키와 함께 일본어로 옮겼다. 시집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씨앗/통조림』, 네 권의 윤동주 연구서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 『윤동주 문학지도―걸어가야겠다』 등을 썼다. 『동아일보』에 “동주의 길”,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 『중앙일보』에 “김응교의 가장자리”를 연재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순헌칼리지 교수이고, 신동엽학회 학회장이다. 샤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 번역기금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원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Th.M., Th.D.) -Columbia Theological Seminary, Union Theological Seminary, AMBS 연구교수 -한국기독교윤리학회 회장 역임 -기독교통합신학회 회장 역임 -교회와사회연구원 원장 역임 -연구단체협의회(예장총회) 회장 역임 -오이코스여름학교 교장 역임 -현 소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현 세종시교육청 학교폭력화해중재지원단 위원 -현 성프란치스코 평화센터 이사 -현 교회와 사회연구소 소장 -현 세광교회 협동목사 -현 대전신학대학교 교수 저서 『세상 속 하나님나라 공동체』(대장간, 2021) 『공동체 영성의향기』(대장간, 2019) 『새로운 교회운동: 교회패러다임의 혁명』(대장간, 2016) 『교회다운 교회:참된 기독교 영성의 회복』(동연, 2016) 『쟈크엘룰의 윤리사상』(대장간, 2008) 『교회·목회·윤리』(쿰란출판사, 2008) 『신학적 윤리와 현실』(쿰란출판사, 2004) 『가톨릭 사회윤리와 인간존엄성』(한들출판사, 2002) 『기독교윤리와 현실』(성지출판사, 1998) 편저 『영성수련과 영성목회』(한들출판사, 2016, 2쇄) 『생명운동과 생명목회』(동연, 2014) 『기독교 영성과 윤리』(한들출판사, 2012) 『영성·목회·21세기』(한들출판사, 2011, 2쇄) 『평화운동과 평화선교』(한들출판사, 2009) 『사회선교·목회·21세기』(한들출판사, 2006) 『21세기 문화와 문화선교』(한들출판사, 2008) 『21세기 리더십과 목회』(한들출판사, 2005) 『21세기 문명과 기독교』(목회자신문사, 2004) 공저 『코로나19와 한국교회의 회심』(동연, 2013) 『참스승: 인물로 보는 한국기독교교육사상』(새물결플러스, 2014) 『녹색교회와 생명목회』(동연, 2013)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예영커뮤니케이션, 2011) 『소극적 안락사, 무엇이 문제인가?』(예영커뮤니케이션, 2007) 『현대생태신학자의 신학과 윤리』(대한기독교서회, 2006) 『기독교윤리학개론』(대한기독교서회, 2005) 『교회와 사회』(성광문화사, 2002) 『21세기의 도전과 기독교문화』(예영, 1998) 『현대기독교 윤리학의 동향』(예영, 1997) 역서 『성서는 정의로운가』(KAP, 2016) 『선교의 핵심 가이드』(한국장로교출판사, 2006) 『그리스도인의 삶과 구원』(한국장로교출판사, 2010, 3쇄) 『설교와 신학』(나눔사, 1990) 『죄와 구원』(나눔사, 1990)
펼치기
정원범의 다른 책 >
손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기독대학교 신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고, 미국 보스턴 컬리지(Boston College) 및 GTU(Graduate Theological Union)에서 연구하였다. 서울기독대학교 교수로서 교무연구처장, 신학전문대학원장,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사)한국영성예술협회 이사, 도마복음연구회 회장, 한국종교교육학회 부회장, NCCK 신학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 『기독교문화교육과 주일교회학교』, 『영성과 교육』, 『연꽃십자가: 개운사훼불사건과 종교평화』, 『내가 꿈꾸는 교회』 등이 있다.
펼치기
조성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와 신학대학원, 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학과 신학을 공부하였고(M.Div., M.A.) 남아프리카공화국 네덜란드계 포쳅스트룸대학교 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Ph.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연구하였다. 고신대학교 부총장과 교목실장, 고신총회 교사대학 학장, 한국복음주의 기독교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고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명예교수이다. 주요저서로는 『기독교학교교육의 역사와 철학』(생명의양식), 『기독교세계관과 교육이론』(생명의양식), 『종교개혁과 교육』(SFC)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은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가 살아내는 지금의 삶에 관심이 많다. 시대의 고민과 아픔을 보듬으며 기꺼이 세상 속에서 사람들과 함께 길을 찾는 영성가이다. 그리고 다음 세대를 포함한 다양한 세대들과 함께 그 마음을 나누고자 하는 소통가이다. 동시에 글과 강의를 통하여 시대를 향한 날카로운 그러나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설교자이기도 하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서 공부하고 연세대학교 본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학 석사, 박사를 하였다. 이론과 현장을 아우르며 생명이 넘치는 교육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기독교 교육을 실천하는 학자로서 목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가정교회마을연구소 공동소장, 기독교자살예방센터 교육위원장,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교육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연세우수강의상”, “이화를 빛낸 인물”, “연세미래여성지도자 100”, “국회자살예방대상” 등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저서로 《통전적 영성과 기독교육》, 《사회통합과 기독교교육》, 공저로 《마을목회의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 《사회적 신앙인의 발자취》, 《지구정원사 가치사전》, 《문명 전환기에 선 교회의 변화》, Maeul Ministry: The missional church in Urban Korea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조은하의 다른 책 >
이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 신학과에서 에큐메니칼 페미니스트 윤리를 다룬 논문으로 기독교 윤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교양교육대학교수로 재직 중이며, 연민,애도,공감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있다.
펼치기
민경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신약성서 본문비평과 사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이며, 한국신약학회와 세계신약학회(SNTS) 정회원으로 활발하게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Die fruheste Uberlieferung des Matthausevan geliums,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 『연세신학백주년기념 성경주석 ̄마태복음』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마태복음』 (IBT구약학입문시리즈), 『땅콩박사』 (공역), 『기독교의 탄생』 (공역), 『젤롯』 등이 있다.
펼치기
원신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펼치기
오현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B. A., M. Div., M. A.)와 클레어몬트 신학대학교(Ph. D.)를 졸업하였다. 인종 간 평등, 젠더정의, 평화교육을 추구하며 비판적 참여교육(Critical Participatory Education)에 관심을 갖고 활동 중이다. 개신교 목사로 광주교육청에 ‘다 함께 어울림’ 교육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상호이해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2018년 2월 호남신학대학교 교수직을 사직하고 ‘공간 엘리사벳’ 대표로서 글쓰기와 강연을 하며 광주 양림동에 살고 있다. 저서로는 다름, 다양성, 관용 : 기독교다문화교육(2014) 참스승(공저, 2014) 미래시대, 미래세대, 미래교육(공저, 2013) 여성목회입문서(편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주장로회신학대학교(Santa Fe Springs, California) 총장 겸 신약학 교수. 계명대학교(B.S.)와 장로회신학대학교(M.Div.)를 졸업한 후 미국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에서 신약학으로 석사(M.A.) 및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통전적이고 선교 지향적 신학 교육을 추구하는 한인 디아스포라 신학자이다. Journal of Asian and Asian American Theology (JAAT)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학문적 관심은 기독교의 기원과 성서해석, 그레코-로마 콘텍스트에서의 바울 신학 사상의 해석과 상황화 신학(contextual theology)에 있다. 주요 저서로 본서, The Cosmic Drama of Salvation: A Study of Paul’s Undisputed Writings from Anthropological and Cosmological Perspectives (WUNT II/276; Mohr Siebeck), 『성서 인물에게서 듣다: 구약』, 『성서 인물에게서 듣다: 신약』(홍성사)과 공저 『고엘, 교회에 말걸다』(홍성사), 『참 스승 - 인물로 보는 한국 기독교교육사상』(새물결플러스), 『4차 산업혁명과 디아스포라 시대의 선교』(케노시스), 『요한계시록, 하나님 백성의 승전가』(성서유니온), 『이 책을 먹으라: 성경 낭송에 관한 신학적, 목회적, 선교적 이해와 모델』(에스라성경통독사역원), 『장애인 사역의 신학적 의의』(세계 밀알), 『배교의 시대에 예수바라기, 히브리서』(동연), 『포스트코로나 시대와 교회의 미래』(공저/책임 편집; 동연), 『길 위에 길을 내다: 미주 한인 이민 역사를 만든 16인』(공저/책임 편저; 대한기독교서회) 등이 있다. “Marginalization and Its Driving Force: Apocalyptic/Eschatological Vision”, “Beyond Ideologies, Toward Unif­ication in the Light of the Ethos of the Jesus Movement”, “Globalization, Global Warming, and Theology of Symbiosis”, “The Buddha Image of Jesus and Christianity as Enlightenment Religion in the Gospel of Thomas”, “사도 바울의 회심과 선교신학” 외 여러 편의 영어 및 한글 논문을 다양한 저널에 기고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독교가 한국에 정착할 당시, 초창기 기독교인들은 실로 위대했습니다. 기독교는 우리나라의 독립과 개화를 위해 크게 이바지했으며,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기독교의 도움을 받지 않은 이들이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그토록 신뢰와 존경을 받던 교회와 지도자들이 이제 더 이상 선망의 대상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제는 멸시와 천대를 받는 입장이 되어버렸습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교만한 마음을 버리고 현실에서 쏟아지는 비난의 원인이 무엇인지 겸허하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머리말 중에서)


한번은 목사 사택의 광에 도둑이 든 적이 있는데 가까이 사는 교인들이 불을 비추고 잡으려 했더니 윤치병 목사가 불을 끄라고 호통을 치면서 오히려 도둑에게 “힘대로 많이 가져가시오. 회개하고 예수만 믿으시오”라고 하고는 도망갈 개구멍까지 가르쳐주었답니다. 윤치병 목사의 호의(?)에 감격한 도둑이 다른 곳에서 훔친 깨와 고추 등을 목사님 드시라고 강대상 위에 놓고 갔는데, 윤치병 목사는 도둑맞은 주인들을 수소문해서 모두 다 돌려주었다고 합니다. 또 윤치병 목사가 익산중학교 강사로 있을 때에는 봉급을 받으면 한 푼도 자신이 필요로 하는 일에 쓰지 않고 전부 가난한 학생들 수업료로 주었다고 합니다. 그는 평생 좋은 옷 한 번 안 입고 신발도 짚신과 고무신만 신었다고 합니다. (2장 중에서)


1900년대 초 일제강점기에 3개의 여권을 가지고 무려 40,000킬로미터를 외유(外遊)한 구한말의 지식인이 있었습니다. 말이 외유이지 실제로는 나라의 주권을 잃은 한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고난에 찬 여정이었습니다. 여객기가 없던 당시에 그는 일제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증기선을 타고 태평양을 다섯 번, 대서양을 한 번 건넜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60평생 가운데 15년 이상을 미국에서, 10년을 중국에서 보냈습니다.
여기서 그가 기록한 엄청난 여행 행적을 높이 평가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가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멕시코, 호주, 독일과 영국 등을 오가며 지구를 한 바퀴 돌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자연스레 관심이 갑니다. 그가 무려 37년 동안 12개국 120여 개 도시를 다녔던 것은 일제에 의해 국권을 강탈당한 후 세계 도처에 뿔뿔이 흩어진 디아스포라 한인들을 결집하고 그들을 계몽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곧 그것은 일제의 잔학한 식민 정책으로 고국을 등지고 바깥세상으로 뿔뿔이 흩어지고만 디아스포라 한인들과 지도자들을 규합하여 스러져가는 국권을 회복하고 조국의 독립을 앞당기고자 하는 열망으로 가득 찬 여정이었습니다. 이 분은 바로 도산 안창호 선생입니다. (3장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