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88994752754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4-07-31
책 소개
목차
1장 이승훈, 어둠과 절망의 땅에서 희망을 노래하다 | 김도일
2장 윤치병, 신언행 일치의 사람 | 이인경
3장 안창호, 격랑 이는 바다에 배를 띄우다 | 이상명
4장 김교신, 새로운 조선을 성서 진리 위에 세우다 | 정원범
5장 오천석, 하늘정원에 피는 꽃 | 김난예
6장 최용신, 종소리처럼 시대를 깨우다 | 조은하
7장 김용기, 민족과 사회를 일깨운 실천적 사상가 | 한국일
8장 조아라, 광주와 예수가 낳은 영원한 스승 | 오현선
9장 주영하, 기독교정신이 길러낸 민족교육가 | 민경식
10장 전영창, 학교의 목자 조국의 목자 | 조성국
11장 윤동주, “처럼”의 시학 | 김응교
12장 권정생, 별에서 온 그대 별이 된 “강아지똥” | 원신애
13장 박대선, 학교에 하나님의 정의가 흐르게 하다 | 손원영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독교가 한국에 정착할 당시, 초창기 기독교인들은 실로 위대했습니다. 기독교는 우리나라의 독립과 개화를 위해 크게 이바지했으며,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기독교의 도움을 받지 않은 이들이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그토록 신뢰와 존경을 받던 교회와 지도자들이 이제 더 이상 선망의 대상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제는 멸시와 천대를 받는 입장이 되어버렸습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교만한 마음을 버리고 현실에서 쏟아지는 비난의 원인이 무엇인지 겸허하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머리말 중에서)
한번은 목사 사택의 광에 도둑이 든 적이 있는데 가까이 사는 교인들이 불을 비추고 잡으려 했더니 윤치병 목사가 불을 끄라고 호통을 치면서 오히려 도둑에게 “힘대로 많이 가져가시오. 회개하고 예수만 믿으시오”라고 하고는 도망갈 개구멍까지 가르쳐주었답니다. 윤치병 목사의 호의(?)에 감격한 도둑이 다른 곳에서 훔친 깨와 고추 등을 목사님 드시라고 강대상 위에 놓고 갔는데, 윤치병 목사는 도둑맞은 주인들을 수소문해서 모두 다 돌려주었다고 합니다. 또 윤치병 목사가 익산중학교 강사로 있을 때에는 봉급을 받으면 한 푼도 자신이 필요로 하는 일에 쓰지 않고 전부 가난한 학생들 수업료로 주었다고 합니다. 그는 평생 좋은 옷 한 번 안 입고 신발도 짚신과 고무신만 신었다고 합니다. (2장 중에서)
1900년대 초 일제강점기에 3개의 여권을 가지고 무려 40,000킬로미터를 외유(外遊)한 구한말의 지식인이 있었습니다. 말이 외유이지 실제로는 나라의 주권을 잃은 한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고난에 찬 여정이었습니다. 여객기가 없던 당시에 그는 일제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증기선을 타고 태평양을 다섯 번, 대서양을 한 번 건넜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60평생 가운데 15년 이상을 미국에서, 10년을 중국에서 보냈습니다.
여기서 그가 기록한 엄청난 여행 행적을 높이 평가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가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멕시코, 호주, 독일과 영국 등을 오가며 지구를 한 바퀴 돌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자연스레 관심이 갑니다. 그가 무려 37년 동안 12개국 120여 개 도시를 다녔던 것은 일제에 의해 국권을 강탈당한 후 세계 도처에 뿔뿔이 흩어진 디아스포라 한인들을 결집하고 그들을 계몽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곧 그것은 일제의 잔학한 식민 정책으로 고국을 등지고 바깥세상으로 뿔뿔이 흩어지고만 디아스포라 한인들과 지도자들을 규합하여 스러져가는 국권을 회복하고 조국의 독립을 앞당기고자 하는 열망으로 가득 찬 여정이었습니다. 이 분은 바로 도산 안창호 선생입니다. (3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