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796966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04-05
책 소개
목차
『동의보감 잡병편 (2)』는 어떤 책인가 : 삶이 있는 곳에 병이 있다
1. 병을 진찰하는 법, 심법審法
1-1. 병을 진단하는 네 가지 방법
1-2. 병을 진찰하는 원칙
1-3. 얼굴을 보고 병을 아는 방법
1-4. 오색으로 병의 예후를 판단한다
1-5. 징후를 보고 병을 진찰하는 법
1-6. 병이 발생하고 변화하는 구조, 병기 19조
1-7. 오장의 정기가 든든하면 몸이 강건하다
1-8. 병에는 다섯 가지 나쁜 기운이 있다
1-9. 기?혈?담?화를 판별한다
1-10. 병은 낮과 밤에 따라 다르다
1-11. 오장과 음양의 기가 끊어진 증상
1-12. 죽을 것을 미리 아는 징조
2. 병을 판별하는 법, 변증辨證
2-1. 다섯 가지 실증과 다섯 가지 허증
2-2. 병은 음양에서 생긴다
2-3. 음양이 허하고 성한 것
2-4. 한사는 형체를 상하게 하고 열사는 기를 상하게 한다
2-5. 병의 근본을 찾아 치료하는 법
2-6. 환자와 의사는 각각 도리가 있다
2-7. 사철에 따라 발생하는 병
2-8. 온갖 병이 발생하는 경위
2-9. 오장을 보면 병이 보인다
2-10. 모든 병은 아침에 호전되었다가 저녁에 심해진다
2-11. 살이 찌거나 마른 데 따라 병증을 구분한다
2-12. 용감한 사람과 겁이 많은 사람은 형체가 다르다
2-13. 고귀한 신분이 추락하면 정신이 상한다
2-14. 사람은 7일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
3. 맥을 보는 법, 진맥診脈
3-1.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여섯 가지 맥
3-2. 몸이 건강하면 맥에 생기가 있다
3-3. 맥은 위기를 근본으로 삼는다
3-4. 대맥은 병이 진행되는 것이다
3-5. 촌구맥이 정상이어도 죽을 수 있다
3-6. 진맥은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
3-7. 남녀노소의 맥이 다르다
3-8. 체형과 성격에 따라 맥이 다르다
3-9. 죽음을 예견하는 여러 가지 맥
4. 약을 쓰는 법, 용약用藥
4-1. 약을 쓰는 원칙
4-2. 병을 치료할 때는 순서가 있다
4-3. 자연과 조화를 맞추어야 한다
4-4. 약은 병에 맞게 써야 한다
4-5.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
4-6. 통하면 아프지 않다
4-7. 병은 한?습?조?열에 불과하다
4-8. 위기를 손상시키지 말아야 한다
5. 토하게 하는 것, 토吐
5-1. 봄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5-2. 토하게 하는 법
5-3. 토하게 해서는 안 되는 병증
6. 땀 내는 법, 한汗
6-1.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
6-2. 땀을 내는 방법
6-3. 땀을 내지 말아야 할 증상
6-4. 땀을 많이 내면 기를 손상시킨다
7. 아래로 설사시키는 것, 하下
7-1.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7-2. 설사를 빨리 시키는 방법
7-3. 설사를 지나치게 하면 혈이 손상된다
8. 몸 안에 생긴 병, 내상內傷
8-1. 병은 음식과 약으로 치료한다
8-2. 음식은 생명의 근본이다
8-3. 음식의 정기가 영기와 위기를 운행시킨다
8-4. 다섯 가지 맛이 지나치면 병이 된다
8-5. 과식하면 음식에 상한다
8-6. 술은 사람을 이롭게도 하고 상하게도 한다
8-7. 술을 즐기는 사람의 금기사항
8-8. 과로에는 따뜻하게 한다
8-9. 탄산과 토산, 트림은 위기의 작용이다
8-10. 심이 편안치 못하면 화가 된다
8-11. 내상을 조리하는 법
9. 정혈이 허약해진 병, 허로虛勞
9-1. 몸을 이루는 모든 것이 부족해진 허로증
9-2. 허로의 다섯 가지 증상, 오로증
9-3. 허로가 극에 달하면 육극증이 생긴다
9-4. 일곱 가지 상하는 증상, 칠상증
9-5. 양은 남아돌고 음은 부족하다
9-6. 기허, 혈허, 양허, 음허의 감별
9-7. 허로의 치료법
9-8. 치료하기 어려운 허로증
10. 토하고 설사하는 병, 곽란?亂
10-1. 곽란은 급작스런 기의 변란이다
10-2. 곽란에는 건곽란과 습곽란이 있다
10-3. 곽란일 때 토하게 하는 방법
10-4. 곽란의 금기사항
11. 토하는 병, 구토嘔吐
11-1. 구토의 원인과 치료
11-2. 토하는 병에는 세 가지가 있다
11-3. 오심과 건구
11-4. 열격과 반위의 원인과 치료법
12. 기침하는 병, 해수咳嗽
12-1. 해수의 원인은 폐의 병만이 아니다
12-2. 기침은 사시에 따라 차이가 있다
12-3.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
12-4. 천식은 숨이 가쁘다
12-5. 오장의 기가 상하면 숨이 차다
12-6. 천식과 해수는 한?열?허?실을 분별해야 한다
12-7. 천식이나 기침은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
12-8. 해역증과 치료법
13. 덩이가 생기는 병, 적취積聚
13-1. 적취는 정기가 허할 때 생긴다
13-2. 적과 취는 음양의 차이가 있다
13-3. 징가와 현벽은 덩이에 차이가 있다
13-4. 육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
13-5. 적취의 치료법
13-6.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
14. 몸이 붓는 병, 부종浮腫
14-1. 부종은 습사가 일으킨다
14-2. 부종의 치료와 금기사항
15. 배가 그득해지는 병, 창만脹滿
15-1. 습과 열이 뒤섞여 창만이 생긴다
15-2. 창만의 치료법
16. 몹시 갈증나는 병, 소갈消渴
16-1. 소갈은 속에 열이 있다
16-2. 소갈 때는 오줌이 달다
16-3. 소갈은 신의 화기가 쇠약해 생긴다
16-4. 소갈의 치료법과 금기사항
17. 몸이 누렇게 되는 병, 황달黃疸
17-1. 황달은 습열로 생긴다
17-2. 황달의 치료법
18. 헛것이 보이는 병, 사수邪?
18-1. 사수의 증상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18-2. 죽은 넋이 머물러 생기는 병
19. 잘 낫지 않는 종기, 옹저癰疽
19-1. 옹저는 음과 양이 엉켜서 생긴다
19-2. 옹저 때 붓고 아프고 가려운 원인
19-3. 옹저로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
19-4. 옹저의 치료법과 금기사항
20. 생활에 요긴한 잡방雜方
20-1.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사는 방법
20-2. 여러 가지 요긴한 잡방들
21. 여성의 몸, 부인婦人
21-1. 임신하는 법
21-2. 교합시 삼가야 할 것
21-3. 임신 때의 몸조리
21-4. 유산은 넝쿨이 시들면 꽃이 떨어지는 것과 같다
21-5. 과부나 여승의 병은 보통 부인병과 다르다
22. 아이의 몸, 소아小兒
22-1. 소아병은 치료하기 어렵다
22-2.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법
22-3. 아기를 보호하는 법
22-4. 아기를 기르는 10가지 방법
22-5. 아이를 조리하고 보호하는 노래
22-6. 아이의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
22-7. 얼굴에 나타난 형상을 보고 병증을 아는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