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706045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11-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과학은 인간의 얼굴을 하고 있는가
1장 21세기 과학 ‘최악’의 시나리오(원종우)
21세기 과학 최악의 미래, 아포칼립스
종말 시나리오①: 지구 멸망
거대한 재앙에 대비하는 과학 프로젝트들
과학이 낳은 괴물들
종말 시나리오③: 문명 종말
인류를 구한 한마디, “컴퓨터의 오류인 듯하다”
당신의 유토피아가 나의 디스토피아다
지저분한 현실 vs. 행복한 가상세계: 어느 곳에 살 것인가
이 세계가 가상현실이 아니라는 증거가 어디 있단 말인가?
인류 문명의 후손이 인공지능으로 움직이는 기계라고?
2장 과학과 휴머니즘의 해후(이명현)
유럽인들이 혜성에 탐사선을 보낸 이유는?
과학의 가치: 상상을 일상으로 만드는 힘
미래는 에디팅EDITING의 시대다
로봇은 인간의 조력자인가, 준비된 배신자인가
인공지능은 자아를 가질 수 있을까?
과학의 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
우유 하나로 모든 과목을 가르치다
빅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3장 안드로이드 하녀를 발로 차는 건 잔인한가?(정지훈)
로봇과 인간의 희미해지는 경계
로봇은 온전히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가?
사회문화 수준에 따른 로봇의 인권
인간은 인권을 요구하는 로봇을 걷어차지 않을 것인가
스스로 생각하는 기계의 탄생, 또 다른 비극의 시작일까?
인간과 기계 사이: 사이버네틱스
기계가 인간다워질 때, 휴머니즘은 어디서 찾을까
4장 빅브라더와 리틀시스터의 감시탑(이창무)
능지처참의 시대에서 빅브라더의 시대로
빅브라더가 당신을 감시하는 미래
당신의 하루가 낱낱이 기록되고 있다
빅 데이터와 강철 울타리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실현되는 미래
빅브라더와 리틀시스터의 감시탑에서 벗어나기
범죄 예방을 위한 박수공식(C=M×O)
우리를 감시하는 이들을 감시하라
5장 메르스의 승리와 한국 의료의 위기(권복규)
한국의 방역 시스템은 왜 메르스 앞에서 붕괴했는가
호환·마마가 가장 무서운 세상으로 퇴보한 한국
동물에서 인간으로 숙주로 바꾼 바이러스들
미국 병원 vs. 한국 병원
의대에는 의학이라는 과목이 없다
한국 의료에 대한 당신의 세 가지 오해
산부인과, 사명감만으로 버티는 데 한계가 왔다
의료는 우리의 삶과 인권이다
6장 유전공학의 저울추: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의 사이에서(홍성욱)
중국, 인간 유전자를 조작하다
유전자로 운명이 결정되는 미래
DNA: 당신은 당뇨병 발병률 40%, 심혈관 질환 60%, 한계수명 44세다
유토피아와 새로운 아틀란티스
과학 기술로 만들어낸 세상에서 책임을 외면한다면
‘불쾌한 골짜기’에 들어서기 전에
유전자 편집 가위의 창시자가 유전자 편집을 반대하다
7장 원자력에 대한 집착과 에너지독립(이필렬)
땅 위에 단단히 서 있어야 하는 학문에 대하여
비극의 시작,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독일이 원자력발전을 포기하게 만든 원동력, ‘저먼 앙스트’
독점기업에 맞서는 평범한 사람들
원자력발전을 반대하는 시민 참여의 힘
일본이 독일을 이길 수 없는 세 가지 이유
작은 마을 셰나우의 에너지독립 100%
한국전력에서 독립한 에너지독립 하우스
8장 21세기 과학 ‘최선’의 시나리오: 여섯 번째 대멸종에서 살아남기(이정모)
인류에 의한 여섯 번째 대멸종이 시작되다
지구 생명의 역사 365일①: 생명 탄생과 대멸종
지구 생명의 역사 365일②: 초대륙 판게아와 공룡의 몰락
지구 생명의 역사 365일③: 12월 31일 오전 10시, 인류 탄생
인공지능과 사이보그, 인류의 미래
에너지 멸종 시대
10년 후, 100년 후, 1만 년 후 인류 멸종의 가능성
멸종은 필연, 그래도 130만 년만 버티자
에필로그: 선한 프로메테우스를 기억하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호모 사피엔스 씨의 위험한 고민》은 인간과 자연의 법칙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고 일관된 답을 찾고자 한 노력의 기록이다. 완전한 정답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최소한 여러 시각의 답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길잡이는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다. 여덟 명의 저자가 보여주는 인류의 과거와 미래 과학의 모습에서 독자들이 그동안 보지 못했던 과학의 가치와 미래로 가는 길을 찾아낼 수 있다면, 이 책은 자신의 사명을 했다고 본다.
저는 유토피아에 살고 싶습니다. 하지만 제가 유토피아에 살기 위해서 타인을 희생시켜야 한다면, 혹은 그 반대의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람들은 얼마나 절제를 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절제할 수 있을까요? 말로는 누구나 “내가 양보하겠다”고 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 눈앞에 타인이 유토피아로 가는 계단과 내가 희생해야 하는 낭떠러지가 동시에 펼쳐져 있다고 가정해보죠. 과학기술과 자본주의가 극대화된 곳에는 이런 일들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겉보기는 유토피아지만 조금만 외곽으로 벗어나면 문명의 이기조차 닿지 않는 곳이 방금 이야기한 ‘계단과 낭떠러지’가 공존하는 공간입니다. 놀랍게도 그런 곳이 실재합니다. 바로 멕시코시티입니다.
한국 교육에서 우유는 중학교 ‘가정’ 교과에서 성분과 효능 정도를 배웁니다. 시험 문제로는 “다음 중 우유로 만들 수 없는 가공식품은 무엇인지 골라보시오” 같은 것이 출제되겠고요. 하지만 핀란드에서 우유를 가르치는 방법은 다릅니다. 우유 하나로 생물학, 화학, 환경학, 경제학, 문학 등 수많은 학문을 공부합니다.
핀란드는 이런 교육을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생물·화학·물리·지구과학 같은 교과과목을 통합과학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저도 본래 천문학을 가르치던 교육자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지금 학생들이 배우는 양을 10분의 1로 줄여야 합니다. 한국의 학생들은 너무 많은 걸 배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