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

한형조, 김용환, 오항녕, 정진영, 노관범, 김상준, 박원재, 한도현, 이은선 (지은이),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글항아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6735087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3-12-12

책 소개

한국국학진흥원 교양총서 전통의 재발견 제3권. 각 분야에서 유교를 연구해온 중진 연구자들이 수차례에 걸쳐 글을 발표하고 토론하고 수정하여 조선사회를 움직인 유교의 공동체 원리를 철학적·역사적·정치사회학적 차원에서 재조명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유교적 공동체는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지향하는가

1장 공公으로 사私를 물리치다:
유교적 공동체, 힐링과 참여로 공공을 구현하다_한형조

잊힌 유교를 다시 떠올리는 까닭 | 현대사가 겪은 전체주의의 상처 | “사私는 공公의 독소다” |
사私를 치료하여 공公에 이른다 | 유교적 공공의 가능성


제2부 유교 국가 조선에서 유교 공동체론의 실험

2장 이 하나의 실험: 조광조파의 성리학적 공동체 구현 노력 _김용환

조광조라는 사람과 조선 | 도학 경영을 통한 인륜 공동체 구현 | 향촌자치를 통한 자율 공동체 구현 |만약 그것을 폐하지 않고 지속했더라도

3장 조선 문치주의의 트로이카: 유교 국가의 제도 _오항녕

먼 듯 가까운 제도 | 문치주의의 트로이카 | 성경을 공부하다 | 바른말이 직무다 | 나라는 망해도 역사는 남는다 | 경험을 돌아보는 이유

4장 양반들의 생존 전략에서 얻은 통찰: 조선의 유교적 향촌 공동체 _정진영

조선, 사족의 탄생 | 유향소, 사족의 향촌 지배 조직 | 향약, 조선적 유교 공동체 | 공론公論, 공동체적 운영 원리 | 종법의 수용, 갈등과 분열의 심화 | 새로운 질서, 새로운 공동체

5장 한국 근대 유교의 일독법: 세속화와 공동체 _노관범

네이션과 시대를 떠나 유교 읽기 | 사회의 세속화와 유교적 가치의 재점화 | 세속화의 재개념화와 사회 공동체의 결집 | 사회 공동체의 위기와 유교적 가치의 재발견


제3부 유교적 공동체론의 현대적 재해석

6장 온 나라에 굶주린 자 없도록 하라: 유교 양민론과 구민 정책 _김상준

유교의 창름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구민 사상의 전거, 춘추전국시대의 국가 양민 | 중국 상평창, 2000년의 역사 | 민간 중심의 사창 | 조선 후기 환곡과 사창의 빛과 그늘 | 유교 구민 사상과 실천이 오늘날 주는 함의

7장 인지상정의 윤리학: 유교적 규범론의 재음미

‘준칙’과 ‘사람’ | ‘자연의 빛’과 그림자 | ‘인지상정’의 윤리학 | 감성윤리학의 실천 형식 | 다시 출발점에서

8장 인문과 예의 균형점에 서다: 유교의 교훈과 회복적 정의 _한도현

도덕의 실패, 법의 실패 | 회복적 정의, 잃어버린 지혜의 부활 | 응보에 맞선 회복적 정의 | 오래된 미래, 유교적 갈등 해결의 전통 | 마을의 인문학 동아리로 ‘회복적 정의’를 꽃피우기

9장 여성주체성과 유교 전통: 페미니즘의 재탄생 _이은선

유교 전통과 페미니즘의 만남 | 왜 유교가 전통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는가 | 유교적 ‘성인지도聖人之道’의 종교성과 여성주체성 | 구체적으로 유교가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일을 위하여

주 註

저자소개

박원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철학회 회장과 한국도가철학회 회장,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율곡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유학은 어떻게 현실과 만났는가: 선진유학과 한대경학』,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도가철학과 서양철학의 만남』(공저),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장자중독』(공저) 등의 저서와 중국 선진철학 및 도가철학 방면의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형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랐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띠풀로 덮인 동아시아 고전의 옛길을 헤쳐왔다. 쓴 책으로 『성학십도, 자기 구원의 가이드맵』(2018), 『붓다의 치명적 농담』(2011), 『허접한 꽃들의 축제』(2011), 『조선 유학의 거장들』(2008), 『왜 조선 유학인가』(2008), 『왜 동양철학인가』(2000) 등이 있다. 콘즈(Conze)의 『불교(Buddhism)』와, 카마타 시게오(鎌田茂雄)의 『화엄의 사상』을 번역했다. 2024년 7월 향년 6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한형조의 다른 책 >
이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류 문명의 전환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종교(聖)와 정치(性), 교육(誠)을 함께 엮어서 ‘믿음(信)을 위한 동서 페미니스트 통합학문(信學)’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2018년 세종대학교를 명예퇴직한 후 한국信연구소 Institute of Korean Feminist Integral Studies for Faith를 열어서 ‘신학(神學)에서 신학(信學)으로’의 모토 아래서 ‘한국 신학(信學)’과 ‘인학(仁學)’의 구성에 힘쓰고 있다. 오늘 문명위기와 전환의 때에 우리 사회에서 여남의 구분을 떠나 ‘사유하는 집사람’이 많아지는 것이 긴요하다고 보며 강원도 횡성 산골 현장(顯張)아카데미에서 신학자 남편과 더불어 여러 활동을 함께하며 살고 있다. 동서 인류 문명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들 중의 하나인 바젤대학과 성균관대학교에서 기독교 신학과 유교 철학을 공부했고, 세종대학교 교육학과에 재직하면서 동서 철학과 종교, 교육의 일들을 여러 학회들에서 회장과 부회장 등으로 역할하면서 연구해 왔다. 최근 저서로 『동북아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2020), 『사유하는 집사람의 논어 읽기』(2020), 『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神學에서 信學으로』(2023)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변선환 아키브와 현장아카데미에서 펴낸 ‘이후(以後)’ 신학의 세 시리즈가 있고, 선친 故 이신 박사 40주기 기념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2021)과 백낙청 TV를 통해서 탄생한 『개벽사상과 종교공부』(2024) 등 다수가 있다. 『지혜를 찾아서-왕양명의 삶과 사상』(1998), 『한나 아렌트-삶은 하나의 이야기이다』(2022)를 번역했다.
펼치기
김용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능혜(能慧) 김용환(金容煥) 조지워싱턴대학 연구교수 서울대 철학박사(1989) 충북대 윤리교육과 교수역임(1987-2020) 한국 윤리교육학회장(2011-2012) 충북대 기획연구실장(1997-1998) 파리 소르본대 연구교수(1993-1994)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 연구교수(1998-1999) 미국 조지메이슨대학 연구교수(2013-2014) 미국 조지워싱턴대학 연구교수(2023-2024) 『만다라-깨달음의 영성세계』 , 열화당, 1991 『유교와 종교학』 (공저), 서울대출판부, 2009 『탈현대사회의 가치와 생태윤리』 , 충북대학교 출판부, 2009 『세계윤리교육』 ,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0 『도덕적 상상력과 동학의 공공행복』 모시는 사람들, 2012 『장수시대 장수윤리』 모시는 사람들,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9 『사랑하며 웃으며』 , 현대시학사, 2021 『행복하며 깨치며』 , 현대시학사, 2022
펼치기
오항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주대학교 사학과(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권평화연구원 이사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태동고전연구소, 한국사상사연구소 연구원, 연변대학교와 튀빙겐대학교 방문교수, 한국고전번역원 이사를 지냈다. 저서로 《역사의 오류를 읽는 방법》, 《사실을 만난 기억》, 《역사학 1교시, 사실과 해석》,《 실록이란 무엇인가》,《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조선의 힘》,《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조선초기성리학과 역사학》 등이 있고, 역서로《 사통(史通)》,《 국역 영종대왕실록청의궤(英宗大王實錄廳儀軌)》, 《문곡집(文谷集)》, 《존재집(存齋集)》 등이 있다. 그 외 논문 5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정진영 (감수)    정보 더보기
1953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영남대학교 국사학과 및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과정을 마쳤고,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연구원, 동명대학교(부산) 교수, 국립안동대학교 교수를 거쳤다. 역사문화학회장, 인문대학장, 경상북도 독립운동기념관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역사텃밭’ 텃밭지기로 역사의 텃밭, 마음의 텃밭을 열심히 가꾸고 있다. 조선시대 민중운동사와 향촌사회사, 경제사, 생활사 분야의 몇몇 편의 논문과 함께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촌락지배와 그 해체과정』(학위 논문, 1992), 『1894년 농민전쟁연구1·5』(공저, 1991·1996),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공저, 1996), 『조선시대 향촌사회사』(1998), 『한국유학사상대계4: 사회사상편』(공저, 2014), 『혼인, 세상을 바꾸다: 조선시대 혼인의 사회사』(2015)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김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공공대학원 교수이다. 시민의회론, 성찰윤리론, 중층근대론, 중간경제론, 비서구 민주주의론, 후기근대론, 동아시아 내장근대론, 코리아 양국체제론, 내장적 문명전환론 등의 새로운 학술 담론을 제기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붕새의 날개 문명의 진로: 팽창문명에서 내장문명으로》,《맹자의 땀 성왕의 피: 중층근대와 동아시아 유교문명》,《미지의 민주주의: 신자유주의 이후의 사회를 구상하다》,《유교의 정치적 무의식》,《진화하는 민주주의: 아시아ㆍ라틴아메리카ㆍ이슬람 민주주의 현장 읽기》,《코리아 양국체제: 촛불을 평화적 혁명으로 완성하는 길》등이 있다.
펼치기
노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로 『고전통변』, 『기억의 역전』, 『백암 박은식 평전』, 『껍데기 개화는 가라』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개화와 수구’는 언제 일어났는가」, 「대한제국기 진보 개념의 역사적 이해」, 「1880년대 金昌熙의 經世思想」 등이 있다.
펼치기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정보 더보기
한국국학진흥원은 ‘국학진흥을 통한 글로컬 시대의 인류문화 창달에 기여’라는 목표 아래 전통 기록유산을 중심으로 민간 소장 국학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 보존과 연구 활용 사업을 펼치고 있는 한국학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 고문헌과 유교 책판 등의 기록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데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그런 기록유산들 속에 알알이 박혀 있는 한국적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하여 콘텐츠 제작 현장에 제공하는 일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을 통해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 선현들의 지혜를 전승하고, 한문교육원과 유교문화박물관을 운영함으로써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에도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