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6735087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3-12-12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유교적 공동체는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지향하는가
1장 공公으로 사私를 물리치다:
유교적 공동체, 힐링과 참여로 공공을 구현하다_한형조
잊힌 유교를 다시 떠올리는 까닭 | 현대사가 겪은 전체주의의 상처 | “사私는 공公의 독소다” |
사私를 치료하여 공公에 이른다 | 유교적 공공의 가능성
제2부 유교 국가 조선에서 유교 공동체론의 실험
2장 이 하나의 실험: 조광조파의 성리학적 공동체 구현 노력 _김용환
조광조라는 사람과 조선 | 도학 경영을 통한 인륜 공동체 구현 | 향촌자치를 통한 자율 공동체 구현 |만약 그것을 폐하지 않고 지속했더라도
3장 조선 문치주의의 트로이카: 유교 국가의 제도 _오항녕
먼 듯 가까운 제도 | 문치주의의 트로이카 | 성경을 공부하다 | 바른말이 직무다 | 나라는 망해도 역사는 남는다 | 경험을 돌아보는 이유
4장 양반들의 생존 전략에서 얻은 통찰: 조선의 유교적 향촌 공동체 _정진영
조선, 사족의 탄생 | 유향소, 사족의 향촌 지배 조직 | 향약, 조선적 유교 공동체 | 공론公論, 공동체적 운영 원리 | 종법의 수용, 갈등과 분열의 심화 | 새로운 질서, 새로운 공동체
5장 한국 근대 유교의 일독법: 세속화와 공동체 _노관범
네이션과 시대를 떠나 유교 읽기 | 사회의 세속화와 유교적 가치의 재점화 | 세속화의 재개념화와 사회 공동체의 결집 | 사회 공동체의 위기와 유교적 가치의 재발견
제3부 유교적 공동체론의 현대적 재해석
6장 온 나라에 굶주린 자 없도록 하라: 유교 양민론과 구민 정책 _김상준
유교의 창름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구민 사상의 전거, 춘추전국시대의 국가 양민 | 중국 상평창, 2000년의 역사 | 민간 중심의 사창 | 조선 후기 환곡과 사창의 빛과 그늘 | 유교 구민 사상과 실천이 오늘날 주는 함의
7장 인지상정의 윤리학: 유교적 규범론의 재음미
‘준칙’과 ‘사람’ | ‘자연의 빛’과 그림자 | ‘인지상정’의 윤리학 | 감성윤리학의 실천 형식 | 다시 출발점에서
8장 인문과 예의 균형점에 서다: 유교의 교훈과 회복적 정의 _한도현
도덕의 실패, 법의 실패 | 회복적 정의, 잃어버린 지혜의 부활 | 응보에 맞선 회복적 정의 | 오래된 미래, 유교적 갈등 해결의 전통 | 마을의 인문학 동아리로 ‘회복적 정의’를 꽃피우기
9장 여성주체성과 유교 전통: 페미니즘의 재탄생 _이은선
유교 전통과 페미니즘의 만남 | 왜 유교가 전통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는가 | 유교적 ‘성인지도聖人之道’의 종교성과 여성주체성 | 구체적으로 유교가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일을 위하여
주 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