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역사 속 왜

우리 역사 속 왜

강만길, 김갑동, 김기승, 서중석, 신종원, 오종록, 이규태, 임기환, 김득중, 김우철, 김영하, 박찬흥, 신용옥, 이욱, 이정신, 정용욱, 조광, 한희숙, 현광호, 한철호, 한홍구, 정재정 (지은이)
서해문집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역사 속 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역사 속 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483158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2-06-15

책 소개

이 책은 대안적 역사 계간지인 「내일을 여는 역사」에 실린 글을 모은 책으로, 우리 역사 속에서 의문과 무관심 속에 묻혀버린 많은 진실들을 "왜?"라는 의문을 갖고 추적한 글들을 담고 있다.

목차

고구려는 왜 굳이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을까
고구려는 왜 멸망했을까
불자였던 법흥왕은 왜 이차돈을 죽였을까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고려 왕족들은 왜 근친혼을 했을까
삼별초 정부가 꿈꾸었던 사회는
남녀 차별은 정말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일까
연산군은 왜 폭군이 되었을까
임꺽정이 난을 일으킨 까닭은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을까
임진왜란 때 의병들은 정말 나라를 위해 일어났을까
압록강과 두만강은 왜 국경선이 되었을까
독도는 일본 자료로서도 일본 땅이 아니다
한반도는 왜 일본에 강점되었을까
장지연은 왜 「시일야방성대곡」을 썼을까
해방은 왜 8월 15일에 왔는가
왜 연합국은 한반도를 신탁통치하려 했는가
용산에 미군이 주둔해 온 이유는
1948년 여수와 순천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보도연맹원들은 왜 집단으로 학살당했을까
5.16 군사 정변은 왜 일어났는가
박정희는 왜 베트남에 군대를 보냈을까
박정희식 민주주의와 민족주의가 허구인 까닭은

저자소개

강만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해왔다. 2023년 6월, 향년 90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김갑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에서 태어나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했다. 이어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원광대학교 국사교육과 교수를 거쳐,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와 한국중세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대전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자는 ‘역사는 과거인 동시에 현재이며 미래다’라는 관점으로, 지금의 우리와 너무나 놀랍도록 닮아 있는 역사와 역사 속 인물들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인물로 만나는 라이벌 한국사》는 역사를 인물사 연구의 방법으로 살펴보고 있는데, 우선 시대별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각 인물의 행동과 역사의 전개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이해하게 한 뒤,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만든 인물들의 활약과 사상, 그 라이벌들이 선택한 길과 후대의 평가 등을 작가의 날카로운 시선 및 최신 자료들을 바탕으로 담아냈다. 저서로는 《중국산책》, 《옛사람 72인에게 지혜를 구하다》, 《왜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렸을까?》, 《왜 왕건의 부인은 29명일까?》, 《고려시대사 개론》, 《주제별로 본 한국 역사》,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후백제》, 《고려의 토속신앙》, 《고려태조 왕건정권 연구》, 《고려 현종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現)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교수 <저서> 「한국근현대 사회사상사 연구」(1994). 「조소앙이 꿈꾼 세계」(2003). 「21세기에도 우리문화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2003, 공저). 「제국의 황혼」(2011, 공저). 「고불 맹사성의 생애와 사상」(2014). 「아산의 독립운동사」(2014, 공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 조소앙」(2015). 「유림 독립운동의 상징 심산 김창숙」(2017) 등 <주요논문>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역사인식의 변화(2010). 4월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2010). 심산 김창숙의 사상적 변화와 민족운동(2012). 한국독립당의 정치노선과 통일(2012). 도산 안창호의 대공주의와 조소앙의 삼균주의 비교 연구(2015). 언론에 나타난 신간회 해체 논쟁의 전개과정(2018). 20세기 초 독립운동가들의 사회진화론 극복과 평화사상 형성(2019). 조소앙과 ‘적자보’ 연구(2020) 외 다수
펼치기
서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충남 논산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1988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며 농촌·노동문제 및 민주화운동을 취재했다. 특히 6월항쟁 당시 『신동아』 취재기자로 역사적 현장에서 그날의 사건들을 생생히 목격하고 기록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며, 역사문제연구소 이사장,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80년대 민중의 삶과 투쟁』, 『한국 근현대 민족문제 연구』, 『한국 현대 민족운동 연구』 1·2, 『조봉암과 1950년대』 상·하, 『남·북협상―김규식의 길, 김구의 길』, 『비극의 현대 지도자』(일본어역), 『배반당한 한국 민족주의』(영역), 『이승만의 정치이데올로기』, 『한국 현대사 60년』(영어·일본어·중국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로 번역), 『이승만과 제1공화국』,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지배자의 국가 민중의 나라』, 『6월항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전20권), 『민족주의와 역사교육』(정현백 공저), 『전환기 현대사의 역사상』 등이 있다.
펼치기
신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문학박사) 강원대학교 교수 역임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저서 『신라초기 불교사 연구』, 『한국 대왕신앙의 역사와 현장』, 『삼국유사 새로 읽기, 1・2』, 『신라불교의 개척자들』
펼치기
이규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일장신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에서 역사학 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사회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집필한 책으로 《占領改革の國際比較―日本, アジア, ヨ-ロッパ》, 《米ソの朝鮮占領政策と南北分斷體制の形成過程》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일본군 군대위안부》, 《야스쿠니 신사》, 《전쟁인가 평화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임기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고구려와 수·당 70년 전쟁』(동북아역사재단, 2022), 「고구려 멸망기 신라의 군사활동」(『한국사학보』 90, 2023), 「고구려와 당 최후의 전쟁 과정 복원 시론」(『한국사학보』 86, 2022), 「한국사 교과서 서사의 비판적 전망」(『역사교육논집』 80, 2022), 「桂婁部의 성립과 國內 遷都 試論」(『역사문화연구』 77, 2021)
펼치기
김득중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한국현대사 전공,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저서로는 <‘빨갱이’의 탄생-여순사건과 이승만 반공국가의 형성>(선인, 2009), 공저로는 <탈냉전과 한국의 민주주의>(선인, 2011),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선인, 2011), 발표 논문으로는 「한국전쟁 전후 육군 방첩대(CIC)의 조직과 활동」,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법-역사적 접근: ‘국방경비법’을 중심으로」, 「부역자 처벌의 논리와 법의 외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동해시 출생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문학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석사·박사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방문교수 한국고대사학회, 고려사학회 회장 역임 주요 저서 『한국고대사회의 군사와 정치』, 『신라중대사회연구』, 『한국고대사의 인식과 논리』
펼치기
박찬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 역사 속 왜>
펼치기
신용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간 『내일을 여는 역사』 편집장으로 20년간 일했고, (재)내일을여는역사재단 상임이사로 15년간 일하다가 재단이 다른 단체와 통합된 후 재단을 떠났다. 한국 현대경제사를 연구해 왔으며 생산관계의 실상을 밝히고 싶어 한다. 「대한민국 헌법상 경제질서의 사회국가적 성격 검토」, 「1950년대 대충자금 및 미국 대한원조의 경제적 성격」,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공저) 등을 저술했다.
펼치기
이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 역사 속 왜>
펼치기
정용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고, 2003년부터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료의 확대를 통한 역사 해석의 다양성 확보, 역사 서술 주체의 확장과 역사학의 대중화에 관심이 많다.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운영위원장을 역임했다.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 정책』, 『혁명과 민주주의』(공저), 『강압의 과학』 등의 저·역서가 있다. 2021년 현재 6·25 전쟁기 심리전과 냉전 문화, 에고도큐먼트에 나타난 민중의 해방과 전쟁 경험, 한국 현대 민족주의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조광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장 역임 고려대학교 박물관장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역임 한국사연구회 회장 역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장 역임 현재 고려대 문과대 한국사학과 교수
펼치기
한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문경군(현 문경시) 점촌읍에서 태어났다.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 재직 중이다. 어릴 때 문경새재에는 산적들이 많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때는 흥미로운 옛날이야기로만 들었는데, 역사를 공부하며 그들은 왜 도적이 되었을까? 조선 후기에 비해 조선 전기의 농민 저항은 어떤 형태와 성격을 띠었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홍길동·임꺽정·장길산 등 도적 활동을 연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의녀-팔방미인 조선 여의사』(문학동네, 2012), 『역사학자가 쓴 인수대비-조선왕실 최고 여성지식인의 야망과 애환』(솔과학, 2017), 『조선왕실 이혼의 사회사–쫓아낸 자와 쫓겨난 여성들의 민낯–』(솔과학, 2022), 『한국역사입문 ②: 중세편』(공저, 풀빛, 1995), 『한국 역사속의 여성인물』상·하(공저, 한국여성개발원, 1998), 『사회사로 보는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공저, 역사비평사, 1998,), 『모반의 역사』(공저, 세종서적, 2001), 『조선여성의 일생』(공저, 글항아리, 2010),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글항아리, 2011),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 (공저, 글항아리, 2014), 『조선왕실 왕자의 생활』(공저, 국립고궁박물관, 2014), 『조선시대사』 2(공저, 푸른역사, 2015),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문화유산으로 본 한국여성인물사』(공저, 역사여성미래, 2021) 외 다수가 있다. 논문으로는 조선시대 도적 활동 관련 논문을 비롯해 조선시대 여성사·인물사·사회사·제도사 관련 수십 편이 있다.
펼치기
현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 역사 속 왜>
펼치기
한철호 (감수)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20여 년간 재직했으며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역사교과서연구소 소 장을 역임하였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림대학 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근대사를 연구하면서 한·중·일의 근대화를 비교·분석하고 현재에 끼친 영향을 통찰하는 것을 화두로 삼았다. 주요 논저로 『친미개화파연구』, 『한국 근대 개화 파와 통치기구 연구』, 『한국 근대 주일한국공사의 파견과 활동』,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 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 (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아시아 속의 한일 2천년사』, 『동아시아 근현대사』, 『일본이라는 나라』, 『1905년 한국 보호조약과 식민지 지배책임』, 『미국의 대한 정책, 1834~1950』, 등이 있다. 역사교육에도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대표 저자로서 중학교 『역사』, 고등학 교 『한국근·현대사』와 『한국사』 교과서를 집필하 였다.
펼치기
한홍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워싱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있다.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상임이사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국가정보원 과거사진 진실 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상근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대한민국史》 1~4권, 《한홍구의 현대사 다시 읽기》와 논문으로 〈상처 받은 민족주의〉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정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근대사, 한일관계사, 역사교육 전문가, 문학박사. 서울대학교와 도쿄대학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쳤다. 서울시립대학교 인문대학장·대학원장,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등을 역임했다. 한일 정부가 지원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간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위원,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장, 서울특별시 역사자문관 등을 지냈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서울학연구소 평양학연구센터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일제침략과 한국철도(1892~1945)』, 『한국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일본인식』, 『일본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한국인식』, 『서울과 교토의 1만 년』, 『한일교류의 역사』, 『서울 역사 2000년』,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 『한일의 역사갈등과 역사대화』, 『한일회담, 한일협정, 그 후의 한일관계』, 『철도와 근대 서울』, 『일제의 조선교통망 지배』가 있다. 주요 번역서로 『식민지통치의 허상과 실상』, 『한국병합사의 연구』, 『러일전쟁의 세기』, 『일본의 문화내셔널리즘』,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