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9736453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22-12-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역자 서문
도입
1부. 이론, 모델 그리고 연구
1장. 구성-개발 이론: 팀 코칭을 바라보는 관점
2장. 집단 코칭하기: 그룹과 팀 코칭하기
3장. 시스템 팀 코칭
4장. 공유 리더십 모델과 팀 코칭
5장. 의도 변화 이론을 통한 팀 코칭
6장. 팀 효과성 과학의 어깨 위에 서다: 팀 코칭 설계에 엄격함 만들기
7장. ‘좋다’는 것은 무엇인가?: 팀 코칭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관
8장. 설계하기, 출범하기, 팀 코칭하기: 60:30:10 법칙과 팀 코칭 개입하기
9장. 팀 코칭 정의: 프랙티셔너 관점
10장. 팀 기능과 기능 장애의 실용적 모델 제안
2부. 프랙티스
11장. 의식 코칭: 시스템, 관계와 내부 알아차림을 지원하는 팀 코칭
12장. 고성과 팀 코칭: 팀 효과성을 지원하는 근거 기반 시스템
13장. 정서와 팀 성과: 팀 코칭 마인드셋과 팀 개입을 위한 프랙티스
14장. 모든 것의 이론을 넘어서: 팀 코칭에 적용할 이론을 선택하기 위한 그룹 분석, 대화 그리고 다섯 가지 질문
15장. 팀 패턴 깨기: 해결책이 문제일 때
16장. 어떻게 드림팀을 만드는가?: 글로벌 가상 팀 코칭 다섯 가지 우수 사례
17장. 시스템 휠 회전하기: ‘시스템 사고’의 마법을 실용적인 팀 코칭 도구로 전환하기
18장. 팀 코칭: 강점 기반 접근법
19장. 밖에서 안으로 보기: 팀 코칭을 위한 맥락 기반 접근 사례
20장. 코칭 팀에 대한 대화형 접근 방법
3부. 훈련과 교육
21장. 가상 팀 코칭: 연구에서 습득한 기술
22장. 팀 코치 만들기
23장. 팀 코치 수퍼비전: 멀리 떨어져서 복잡성 다루기
24장. 팀 코칭에서의 실행, 성찰, 학습
25장. 효과적인 팀 코치의 주요 자질과 스킬
26장. 팀 코치되기
4부. 새로운 전망
27장. 팀 리더는 팀 코칭과 팀 개발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28장. 가상 팀과 원격 팀 코칭하기
29장. 규모에 맞는 팀 코칭: 어댑티브 리더십 문화의 출현을 위한 여건 조성
30장. CDAI 및 GLP를 통한 팀 코칭
31장. 팀 코칭 촉진에 드라마 치료 사용하기
32장. 팀 코칭: 트렌드의 흐름인가, 아니면 조직의 정석인가?
33장. 자치 개발 조직에서의 팀: 동료 코칭의 필요성
5부. 사례
34장. 코칭은 팀 작업 수행에 어떤 도움을 주나?
35장. 엘리트 스포츠 조직을 위한 리더십 팀 코칭: 시스템적 관점
36장. 사우스햄프턴 축구 클럽의 좋은 것에서 위대함으로
37장. 명확성, 긴장감, 신뢰 그리고 코치 역량의 상호작용: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팀 코칭
38장. 치안 패러다임의 변화: 근거 기반 치안 실행에서 협업과 팀 코칭의 역할
39장. 팀 코칭에서 심리측정 프로파일링 사용하기
40장. 글로벌 가상 팀을 위한 GROUP 코칭: 사례연구
색인
역자 소개
발간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팀 코칭에 투자하는 주된 이유는 팀의 성과 향상에 있다(Clutterbuck, 2007). 그리고 팀 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점은 이러한 팀 성과 향상의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아왔다(Rock, Grant & Grey, 2016). 이렇듯 다양성이 중요한 요소일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개인이나 그룹을 하나로 묶는 것이 더 중요하다.
개별 코칭에서 팀 코칭으로의 전환은 개인 중심적이고 자기 중심적 사고를, 팀 또는 집단 수준으로 옮기며, 구역 내에서 가장 뛰어난 고성과 팀이 되기 위한 경쟁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우리는 생존, 성공, 번영만이 아니라, 팀을 둘러싼 환경 또는 생태적 틈새에 대한 관계와 역동적 공진화로 나아가는 팀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수천 개의 팀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러 메타 분석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 상황에서 공유 리더십과 팀 효과성 사이에 중요하고 긍정적이며 고유한 관계가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러한 관계는 과업 상호 의존성, 과업 복잡성, 개인과 팀 역량, 팀 리더의 리더십 유형과 겸손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공유 리더십 모델은 여러 개입 지점과 팀 코칭 개입에 대한 명확한 결과 기준에 대해 팀 코치에게 이론적, 합리적, 경험적 기초를 제공한다. 공유 리더 십이 효과성 향상 측면에서 전통적인 형태의 수직적 리더십에 비해 크게 향상된다는 사실은 조직 내 팀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기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