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

최지선, 이성혁, 최강민, 권유리야, 배순탁, 김대현, 서정민갑, 김혜연, 이정현, 김우필, 이민희, 성재린 (지은이)
문화다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가
· ISBN : 9791195576319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5-10-21

책 소개

그룹 무한궤도, 솔로 가수, 그룹 넥스트, 독설가로 이어진 신해철의 26년 흔적들을 정리했다. 신해철의 삶과 예술을 총체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음악평론가만이 아니라 문화평론가, 문학평론가도 함께 모여 책을 만들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 신해철을 그리워하며
1. 모든 세계는 갑자기 붕괴되는 경향이 있다 (이정현) · 12
― 1990년대, 나의 성장기와 신해철의 음악
2. 지표 없는 시대의 이정표 (김대현) · 36
― 어떤 X세대의 눈에 비친 신해철
3. 인간 신해철을 만나러 가다 (최강민) · 50
4. 신해철에게 보내는 펜레터 : 그대에게 (차유정) · 60

제2부 : 신해철과 대중
1. 음란과 윤리, 한국사회 모순의 판타지 (권유리야) · 66
2. 개인적인 그러나 너무나 대중적인 예술가 (김우필) · 90
― 신해철의 TV방송 및 정치 참여 활동에 대해
3. 신해철, 음악도시에서 귀신정거장까지 (김혜연) · 112
4. 마왕 신해철의 탄생과 독설신공 (최강민) · 130

제3부 : 신해철의 음악 세계
1. 미완의 스타, 굿 바이 미스터 트러블, 신해철 (최지선) · 168
― 신해철의 전반기 음악세계에 대해
2. 음악세계 확장하기 그리고 다시 출발점에 서기 (이민희) · 208
― 신해철의 후반기(1998~2014) 음악 활동에 대한 소고
3. 짧은 여행 긴 항해 아날로그의 세기를 떠나며 (성재린) · 238
― 신해철의 전자음악 세계에 대해
4. 신해철의 록음악 세계 (배순탁) · 260
5. 너 자신의 삶을 살아라!!! (이성혁) · 282
― ‘신해철 가사’의 통사
6. 1980년대에 와서 1990년대를 담고 2000년대까지 나아간
뮤지션 신해철 ― 신해철 음악의 정치성 (서정민갑) · 338

※ 가수 신해철의 약력 · 367
※ 신해철의 음반 디스코그래피 · 370

저자소개

최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년째 대중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고 글을 쓰고 있다. 늘 질문하고 방황했다. 헤매기만 한 건 아닐까 의심도 들지만, 지금까지 지나온 길이 가야 할 방향도 알려주고 있다고 믿고 싶다. 부족하나마 나의 시선으로 현재를 기록하는 일이 나에게, 그리고 누군가에게 쓰임이 되기를 기대한다. 『오프 더 레코드, 인디 록 파일』 『한국 팝의 고고학』 『대중음악의 이해』 『아이돌: 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 보고서』 등을 함께 지었다.
펼치기
이성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전위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초빙교수, 선문대 문학이후연구소 연구원. 평론집으로는 『불꽃과 트임』(2005), 『불화의 상상력과 기억의 시학』(2011), 『서정시와 실재』(2011), 『미래의 시를 향하여』(2013), 『모더니티에 대항하는 역린』(2015), 『사랑은 왜 가능한가』(2019),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2020), 『시, 사건, 역사』(2021),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2022)이 있고 번역서로는 『화폐인문학』(2010, 공역) 『사건의 정치』(2017)가 있다.
펼치기
권유리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매일 걸으며, 내일도 걸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마도 한곳에 머무는 걸 생래적으로 싫어하는 까닭이리라. 십 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고 하는데, 나에게 허락된 십 리 안에서는 헤프게 돌아다니려 한다. 그래서 작은 극장도 운영해 보고, 스터디도 하고, 현장 활동도 꾸준히 하고 있다. 어릴 적 말도 늦게 배웠고, 대학도 늦게 갔고, 늘 한발 늦는데, 지나고 보니 흐르는 강물에 늦고 빠르고 가 있을까 싶다. 매일 책 읽고, 원고 쓰고, 타오르는 불이었다가 사그라진 재가 되기도 하다 보니, 어느덧 나 스스로가 시간이 되어 흘러가고 있었다. 2004년 『작가세계』 평론 부문 신인상, 2006년 『부산일보』 신춘문예 평론부문 당선으로 본격적인 평론가의 길에 들어섰다. 이때부터 줄곧 ‘의도적으로’ 변두리에 위치해 있었다. 2008년 전통적인 소설 연구로 학위를 받았지만, 이후 작정을 하고 게임?대중문화?디지털?당황스러운 현상 등 범주화되지 않은 주변부만 염탐하며 15년여의 시간을 보냈다. 얕은 지식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짧은 생각으로 『오늘의 문예비평』 등 여러 잡지의 기획에 참여했다. 홀로 쓴 『이문열 소설과 이데올로기』, 『문화?백일몽?대증요법』, 『야곱의 팥죽 한 그릇』, 『플렛폼 리터러시와 사냥의 시간』 동인 들과 함께 쓴 『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 시티』, 은사님과 함께 쓴 『1930년대 문학의 재조명과 문학의 경계 넘기』, 『차이의 해석과 문화적 시선』 등 여러 권의 책을 냈다. 늘 경계에 서 있으려 한다, 엣지(edge) 있게.
펼치기
배순탁 (감수)    정보 더보기
음악평론가, 방송작가. <배철수의 음악캠프> 작가로 2008년부터 활동했다.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마이 리틀 텔레비전> <방구석 1열> 등 이런저런 방송에 출연하면서 아주 약간 이름을 알렸다. 경향신문, 조선일보, 한국일보, 시사IN, 씨네21 등의 매체에 기고했거나 기고 중이다. 여러 권의 책을 발간했고, 『모던 팝 스토리』와 『레코드 맨』을 번역했다. 홍익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오래전에 졸업했고, 얼마 전 마침내 동 대학원을 수료했다. 현재 밥 딜런에 관한 석사논문을 준비 중이다.
펼치기
김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1년에 문화 비평지 『플랫폼』에서 ‘문화 비평상’을, 2012년에 『실천문학』에서 문학평론 신인상을 받았다. 현재 『플랫폼』, 문예지 『리얼리스트』 『삶이 보이는 창』의 편집위원으로 있다. 문화 연구자들의 모임인 ‘프리즘’(FreeIsm)에서 비평적 시각으로 역사와 문화의 미로 속에 흩어진 조각들을 찾아 이어 붙이는 집필 활동에 몰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역사소설 『불온한 제국』, 신지영과 함께 쓴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수상작 『너구리 판사 퐁퐁이』가 있다.
펼치기
서정민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중음악의견가. 맛있는 빵과 디저트를 사랑한다. 음악의 아름다움이 구현되는 방식과 사회적 역할에 특히 관심이 많다.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어 하고, 스스로 놀라는 글을 쓰고 싶어 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 한다. 블로그(https://blog.naver.com/windntree)에 가면 어떤 음악을 들으며 사는지 엿볼 수 있다. 2004년부터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광명음악밸리축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Red Siren〉 콘서트, 〈권해효와 몽당연필〉 콘서트, 서울와우북페스티벌 등 공연과 페스티벌 기획/연출/평가도 병행한다. 《그렇다고 멈출 수 없다》《음악열애》《누군가에게는 가장 좋은 음악》《음악편애》《밥 딜런, 똑같은 노래는 부르지 않아》를 썼으며, 《대중음악의 이해》《대중음악 히치하이킹하기》《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는 함께 썼다.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1: 음반 리뷰》《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2: 인터뷰》《레전드 100 아티스트》《음악과부도》《나쁜 장르의 B급 문화》《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도 거들었다.
펼치기
서정민갑의 다른 책 >
김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제도권 학자이자 작가. 연세대학교에서 법학과 철학을, 중앙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전공은 친일문학과 재일한인문학 연구이다. 경향신문에 영화소설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을 연재했으며, 중앙대학교 강사를 거쳐 경기도외국인인권지원센터 연구위원과 경기도 광주의 마을 도서관 대표를 맡고 있다. 웹진 <문화 다> 동인으로 대중문화 평론을 쓰고 있으며, 2014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의원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여 아슬아슬하게 낙선한 엉뚱한 경력도 있다. 논문으로「김사량의‘ 빛 속에’의 근대성 연구」, 「김사량과 북한 문학의 정치적 거리」, 「이효석의 일본어소설 시대인식 연구 - ‘은은한 빛’이 제기하는 ‘조선적인 것’」, 「金史良の朝鮮語 長篇小說 『海のへ歌』の反植民性と亞細亞主義 硏究」 등이, 저서로 《한국 근대문학과 이중어연구》(국학자료원), 《신데렐라 최진실, 신화의 탄생과 비극》(공저, 문화다북스),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공저, 문화다북스), 《신해철 다시 읽기》(공저, 한울) 등이 있다. 현재 인류학자인 남편과 함께 한국의 정치 문화에 대한 책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이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현대 문학을 전공했다.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언어와 죽음 의식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되었고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전쟁을 다룬 외국 소설들을 분석한 비평서 <한국전쟁과 타자의 텍스트>가 있다. 그 외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공저), <키워드로 읽는 2000년대 문학>(공저)이 있다. ‘전쟁(재난)과 인간’, ‘집단의 기억에서 누락된 자들의 목소리’, ‘냉전 시대의 갈등과 문화사’, ‘포스트 아포칼립스 서사’, ‘1990년대의 상처와 기억’이 주요 관심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문학비평과 정신분석 이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김우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생. 문화평론가. 경희대 강사. 『플랫폼』 제6회 문화비평상 수상. redzone404@naver.com
펼치기
이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3년생. 음악평론가. 2011년 제1회 화음 프로젝트 평론상, 2012년 제5회 인천문화재단 <플랫폼> 음악비평상 수상. 현재 서울대 음악대학 서양음악학 박사과정에 재학중. toshiriii@gmail.com
펼치기
성재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생. 음악평론가. 제4회 『플랫폼』 문화비평상 음악 부문 수상. trashriot@naver.com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