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거품경제라도 괜찮아

거품경제라도 괜찮아

(헬리콥터 머니와 기본소득)

이노우에 도모히로 (지은이), 강남훈, 송주명, 안현효 (옮긴이)
다돌책방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거품경제라도 괜찮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거품경제라도 괜찮아 (헬리콥터 머니와 기본소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6255190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9-06-27

책 소개

장기 디플레이션 불황은 더 이상 옆 나라 일본의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우리에게도 일상화된 불황과, AI의 발전으로 한순간 사라질 것이 분명한 일자리. 아이디어는 좋으나 결국 돈 문제 앞에서 무릎 꿇는 기본소득. 이 모든 것을 해결해볼 수 있는 해법 ‘헬리콥터 머니’를 경제사와 경제학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5
머리말 9

제1장 하늘에서 돈을 뿌리면 경기가 좋아지는가 25
아베노믹스의 뿌리에는 거시경제학이 있다 27
성장정책은 디플레이션 불황에서 벗어나려는 정책이 아니다 30
그렇다면 재정정책? 아니면 금융정책? 38
베이비시터 조합의 위기 40
헬리콥터 머니 47
존 로우의 연금술 50

제2장 정부지폐와 재정 파이낸스 59
역사 속 정부지폐 61
은행권의 기원 65
제로 금리와 정부지폐론 69
재정 파이낸스는 이미 하고 있다 78
신용창조 83
무(無)에서 돈을 만들어내는 민간은행 86
플러스 금리 경제의 제약 91
제로 금리 경제의 제약 94
무능한 친구 둘을 합쳐도 무능하다 96
나라의 빚은 제로가 된다? 99
중앙은행이 가진 국채는 영구채로 해야 하나? 102
직접적 재정 파이낸스 108

제3장 장기 디플레이션 불황과 헬리콥터 머니 111
장기적인 수요부족의 가능성 114
자연실업률 가설 118
피구 효과 127
화폐의 장기적 중립성 130
화폐의 장기적 비(非)중립성 137
화폐성장과 기술적 실업 142
기술적 실업의 장기화 144
장기적 수요부족의 해결 148
굴곡진 장기 필립스 곡선 150
20년을 잃어버렸던 진짜 이유 154

제4장 일본 경제는 어떤 함정에 빠졌는가 157
폴 크루그먼의 유동성 함정 모델 163
제스 벤하비브 등의 디플레이션 함정 모델 167
신용창조 함정 173

제5장 헬리콥터 머니와 기본소득 185
화폐발행이익 187
화폐발행이익=기본소득 190
국민 중심 화폐 제도 198
100% 지급준비제도 203
인공지능과 두 가지 기본소득 207

부록
역자의 말 217
이론모델 231
주석 237
참고문헌 240

저자소개

이노우에 도모히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부터 고마자와駒澤대학 경제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공지능과 경제학의 관계를 연구하는 선구자로서 주목받는 경제학자다.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가 주최하는 국제회의 중 2012년 뮌헨대회와 2016년 서울대회에서 발표한 바 있다. 게이오의숙慶應義塾대학 환경정보학부를 졸업하고 IT기업에서 근무하다가 와세다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에 입학해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매크로 경제학, 화폐경제 이론, 성장 이론이 전문 분야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새로운 자바 교과서新しいJavaの?科書』, 『인공지능과 경제의 미래人工知能と經濟の未?』, 『헬리콥터 머니ヘリコプタ?マネ?』, 『인공초지능人工超知能』 등이 있다.
펼치기
안현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일반사회교육학과 교수(현직)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과정 졸업(경제학박사).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앰허스트)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리버사이드)에 서 각 1년씩 박사후 과정(미국경제와 한인경제에 대한 연구) 저서로 『자본주의의 역사로 본 경제학 이야기』 등이 있음.
펼치기
송주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경제, 정치학적 사상과 가치를 한국 교육현장에서의 실천, 경험과 결합하여 한국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그랜드 디자인을 시도하는 교육전문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일본 도쿄대학 교에서 공부한 후 한신대학교 글로벌 협력대학의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한편,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와 불평등 개선을 위해 활동해왔다. ‘혁신교육’의 설계자로서, 2010년 초 경기도 혁신학교추진위원장, 창의지성교육 추진단장으로 활동하며 공공성과 민주성이 살아있는 혁신교육의 보편적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우리교육의 내용을 바꾸는 시도인 ‘창의지성교육’을 설계해 이 새로운 미래지향적 교육이 교육현장에 적용되도록 기여했으며, ‘학교민주주의’를 경기교육에 최초로 도입했다. 민주화운동가로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공동의장, 노무현 대통령 탄핵무효 부패정치청산 범국민행동정책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사회의 중요한 역사적 순간 고비 고비마다 민주주의 발전과 사회적 약자편에서 노력해왔다. 2018년 교육감 선거에서는 시민경선의 승자인 ‘민주진보단일 후보’(경기교육혁신연대)로 출마해 현역 교육감을 위협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현재 교육시민단체 ‘민주주의학교’의 상임대표,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전략 자문관, 사회공공연구원(PPIP) 연구원장, 기본소득 국민운동경기본부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며, 특히 학교 안팎의 민주시민교육 설계와 실천에 매진하고 있다. 대전환적 위기의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의 재구성이라는 신념으로 한국사회와 교육의 미래비전 설계에 전념하고 있다. 「대전환시대 공교육대혁명」은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2018), 오늘 시작한 미래(2020) 등 교육관련 저서와 인공지능과 인간(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2020) 등 시대 현안에 대한 역서 작업을 통해 연구하고 성찰해온 결과를 집약한 것으로 한국교육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설계도이다.
펼치기
강남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논문 「섀플리 가치와 공유경제에서의 기본소득」(『마르크스주의 연구』 12권 2호) 「성남시 청년배당: 토론과 경험」(『2016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 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년 6월 3일 발표논문)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권리: 마르크스의 지대이론과 섀플리 가치 관점에서」(『마르크스주의 연구』 43호) -저서 『기본소득과 정치개혁』(진인진, 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박종철출판사, 2019) 『정보혁명의 정치경제학』(문화과학사, 2002)
펼치기

책속에서

내가 주목하는 ‘경기’는 경제학자들이 ‘단기’라고 부르는 척도의 시간보다 길다. 단기는 4~5년을 주기로 숨가쁘게 일어나는 순환이다. 내가 주목하는 경기는 20~30년, 때에 따라서는 100년 정도의 시간처럼 문화와 문명의 특징을 결정짓기에 충분히 긴 기간 동안 나타나는 호황이나 불황이다. 이런 정도의 호황과 불황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나타난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여러 요인 가운데 중요한 것은 한 가지다. 바로 ‘세상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이다.
돈의 양이 충분히 많으면 호황이 오고, 적으면 불황이 온다. 이런 내 의견에 많은 경제학자들이 반쯤은 부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며 반론을 펼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장기적으로도 돈의 양이 경기를 좌우하고, 문화와 문명의 질도 결정할 것이라 생각한다.
잃어버린 20년 동안, 돌아다니는 돈의 양은 매우 부족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돈이 늘어나는 비율이 너무 낮았다. 숫자로 보자면 거품경제가 무너지기 전에는 7~13%였는데, 붕괴 이후 지금까지도 2% 안팎이었다. 비록 안정적이기는 했지만 아주 낮은 상태다. 안정이라는 단어의 사전적인 뉘앙스는 긍정적이지만, 사실 거칠게 말하자면 ‘계속 땅바닥을 기어가는 모양새’다. 돈의 부족이 일본 경제를 오랫동안 곡소리가 날 정도로 괴롭힌 디플레이션 불황의 원인이다.


묘한 매력을 가진 헬리콥터 머니의 개념은, 밀턴 프리드먼의 논문에서 시작한다. 1969년 밀턴 프리드먼은 ‘하늘에서 헬리콥터로 돈을 뿌리면 어떨까?’라는 사고 실험을 한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2002년에 (나중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되는) 벤 버냉키가 “통화창조를 재원으로 하는 감세는 밀턴 프리드먼의 유명한 ‘헬리콥터 머니’와 본질적으로 같습니다.”라고 강연에서 말했다. 즉 중앙은행의 국채 매입과 감세 정책을 함께 시행하는 것은, 헬리콥터 머니와 같은 효과가 있다는 뜻이었다. 이 결합에 대해서는 재정 파이낸스를 다루는 다음 장에서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어쨌건 이 발언 이후, 버냉키에게는 ‘헬리콥터 벤’이라는 야유 섞인 별명이 생겼다. 당시 금융정책을 열심히 공부하며 이런 저런 생각으로 밤을 새고는 했던 나로써는, 비아냥거리는 풍조에 커다란 위화감과 약간의 분노를 느꼈다. 버냉키는 매우 정직하게도 당연한 말을 했을 뿐이었다. 오히려 이를 비웃는 자들이 공부가 부족하거나, 생각이 모자라거나, 공부도 생각도 빈약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 그 이후에도 헬리콥터 머니는 거의 제대로 다루어진 적이 없다. 그저 불량스러운 정책으로 여겨지고 계속 놀림감이 되었다. 발언을 했던 버냉키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에 취임한 후, 조심스러운 자세를 취하면서 헬리콥터 머니에 대한 말을 아꼈다.


그러나 아메리카 대륙에 묻혀 있던 은을 거의 다 캐내버린 17세기가 되자, 다시 화폐가 부족해지는 상황이 온다. 공교롭게도 기후가 다시 한랭해지면서 농업에서 불황이 시작되고, 경제는 지속적으로 정체되었다. 이는 사회가 불안해지는 계기가 되었고, 곳곳에서 혁명이 일어나게 된다. 유럽이 맞은 ‘17세기의 위기’다.
화폐의 부족에서 비롯한 위기는 화폐를 채우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18세기 들어 브라질에서 금광을 새로 찾는 등, 기존 화폐의 부족을 메울 수 있는 일들이 생겼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지폐와 예금화폐와 같은 신용화폐가 화폐 부족 문제를 푸는 해결사로 나서면서부터 유럽은 위기에서 벗어난다.
비슷한 예는 또 있다. 17세기 중국은 청나라가 다스리고 있었다. 청나라의 네 번째 황제였던 강희제(康熙帝)는 40년 정도 해금정책(海禁政策), 즉 쇄국정책을 실시했다. 원래 유럽 사람들은 중국의 도자기나 차 같은 상품을 사가면서 은을 냈다. 은이 계속 들어오니 중국에서 은을 화폐로 쓰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런데 쇄국정책을 펴 중국 물건을 유럽 사람들이 사기 어렵게 되자, 중국으로 들어오던 은의 양도 줄어들었다. 이것이‘곡천(穀賤)’이라 부르는 디플레이션 불황이었다.
17세기 말, 강희제의 해금정책이 풀리고 은이 다시 중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면서 화폐 부족 문제도 풀리기 시작했다. 이제 은, 즉 화폐가 계속 늘어날 수 있게 되었고 장기간에 걸친 인플레이션도 일어났다. 생산이 늘어나고 인구 또한 폭발적으로 늘었다. 중국 인구가 수억 명 수준으로 늘어나게 된 때가 바로 이 시기부터다.
여러 역사적인 사례들은 화폐의 뚜렷한 증가가 장기적 호황과 경제성장의 한 요인이 되며, 인구가 늘어나는 데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와 동료 학자들은 낮은 화폐성장이 산출 격차를 불러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낮추는 메커니즘도 찾았다. 더불어 최근에는 화폐가 장기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증적이고 전문적인 경제학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