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 일반대학원 평화학과 교수. 현재 한국냉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Option oder Illusion?: Die Idee einer nationalen Konfoeration im geteilten Deutschland 1949-1990, 『비밀과 역설: 10개의 키워드로 읽는 독일통일과 평화』 『현대사 몽타주: 발견과 전복의 역사』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하버드C.H.베크 세계사: 1945 이후-서로 의존하는 세계』 『역사에서 도피한 거인들』 『일상사란 무엇인가』(공역), 『근대세계체제 3』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경제학 박사. 사회과학 저널 《동향과 전망》 편집위원장, 계간지 《창작과비평》 편집위원. 한반도사회경제연구회를 중심으로 ‘한반도경제’, ‘새 공화주의’ 담론을 제기하였다. 주요 저서로 『뉴노멀 시대의 한반도경제』(2019), 『혁신가 경제학』(2016), 『새로운 진보의 대안, 한반도경제』(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백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학술 활동으로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사회 활동으로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세계중국학공헌상(2023년)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나남출판),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 1949, 1989』(창비), 『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창비),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창비),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창비), 『중국현대대학문화연구: 정체성 위기와 사회변혁』(일조각) 등이 있고,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책과함께), 『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 리영희 선집』(창비), 『내일을 읽는 한·중 관계사』(알에이치코리아), 『한국의 미美를 읽다』(연립서가), 『한국의 마음心을 읽다』(독개비) 등 다수의 책을 엮었다.
펼치기
백지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부교수.
냉전시대 중국과 동아시아, 제3세계와의 관계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현재 한국냉전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항미원조: 중국인들의 한국전쟁』(2023), 대표 논문으로 「반둥에서 ‘일대일로’까지: 냉전시기 중국의 아프리카 원조와 제3세계론』(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최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연세대학교에서 여성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젠더와 계급을 중심으로 한국 도시 중산층 가족을 연구해왔으며 최근에는 도시 주거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논문으로 「한국 도시 중산층 여성 주택실천에서의 젠더불평등」 「한국 발전주의 주택체제와 중산층 여성주체의 형성」 「한국 중산층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 이전과 가족주의의 강화」 등이 있고 저서로 『엄마도 아프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유재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최종학력 : 서울대 대학원 공학박사
현,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객원연구원
서울시 남북교류협력추진위원회 위원
파주시 평화도시위원회 위원
산림청 중앙산지관리위원회 민간위원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연구위원
<주요 연구 및 논문>
·「남북산림협력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지식 아카이브 구축」, 산림청, 2020
·「북한 명승지 기초조사 연구용역」, 문화재청, 2020
·「북한 산림정책과 남북산림협력 상황별 북한 산림변화 예측 및 산림협력 세부 실행방안 개발」, 산림청, 2019
·「북한 도시지역의 환경인프라 현황분석 및 Keco 참여전락 연구」, 한국환경공단, 2019
·「한반도 균형발전과 남북 지역교류활성화 방안」,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 위원회, 2018
·그린데탕트 세부추진계획 및 연계전략 연구, 통일부, 2016
·목표기반 북한 산림경관복원(FLR)전략, 통일부, 2014
·「산지개발의 공간분포와 산림훼손」,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9권 6호, 2016
·「북한의 산림복원계획과 기준 경사도 고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9권 4호, 2016
·「북한 산림의 시?공간 변화와 황폐화 추동」,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8권 6호, 2015
·「북한 산림경관복원 적용을 위한 한반도 생태지역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8권 6호,
2015
·「다변량 환경공간변수 주성분 분석에 의한 남?북 생태계 차이」,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8권 4호, 2015
외 다수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