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형 시스템 위기와 변화

일본형 시스템 위기와 변화

권숙인, 김영작, 박경열, 이이범, 조규철, 한상일, 송주명, 장화경, 이원덕, 신장철, 김웅희, 이상훈, 한승미, 전진호, 박홍영, 김지연, 김성철, 김기석, 권영주, 배준호 (지은이)
일조각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400원
39,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형 시스템 위기와 변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형 시스템 위기와 변화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33704752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05-06-25

책 소개

일본의 체제개혁의 향방과 그 성패에 관심을 가진 국내의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공동연구서다. 전후 일본을 역동적으로 이끌어온 일본형 시스템의 형성과 실체에 대해 살펴보고, 그동안 잘 작동해온 시스템이 1990년대부터 동요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며

서론 일본형 시스템의 동요와 새로운 모색 / 한상일
I 서론
II 일본형 시스템 연구
III 결론―과제
참고문헌


제1부 국가 시스템

제1장 전후 일본 정당 시스템의 변용과 그 결정요인―55년체제의 붕괴와 관련하여 / 이이범
I 서론
II 55년체제의 성립
III 55년체제의 지속과 변화
IV 55년체제의 붕괴
V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정관재연합과 행정개혁 / 이상훈
I 서론
II 정관재연합과 행정개혁의 관계
III 정관재연합의 성립과 행정개혁
IV 행정개혁을 통한 정관재연합의 강화
V 정관재연합의 동요와 행정개혁
VI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일본 평화주의의 전개 과정―헌법 제9조와 재군비의 갈등 / 김지연
I 서론
II 전후 처리와 평화주의의 기원
III 재군비의 전개 과정과 평화헌법
IV 1990년대 개헌론의 특징
V 결론
참고문헌

제4장 일본의 안보정책 전환과 보통국가화 / 이원덕
I 서론
II 냉전기 일본의 외교안보정책
III 일본 외교안보정책의 전환 배경
IV 군사적 보통국가를 향하여
V 결론―일본의 안보정책 전환의 함의
참고문헌

제5장 일본의 대미 기축외교의 재정립―추종과 자율의 사이에서 / 전진호
I 서론
II 미일동맹의 형성과 냉전기 일본외교의 전개
III 탈냉전과 미일동맹의 변화
IV 탈냉전기 일본외교의 전개
V 결론―새로운 일본형 외교의 모색
참고문헌

제6장 일본의 동북아 외교―대북한 정책을 중심으로 / 김성철
I 서론
II 일본의 동북아 외교
III 일본의 대북한 정책
IV 결론
<부록 1> 북일평양선언
참고문헌

제7장 일본형 원조외교의 특징과 변화상 고찰―구미 제국과의 비교 관점에서 / 박홍영
I 서론
II 냉전기 일본 원조외교
III 탈냉전기 일본 원조외교
IV 구미 제국의 원조전략
V 결론
참고문헌


제2부 정치경제 시스템

제1장 일본형 금융 시스템의 현주소―금융 구조조정의 성과와 한계 / 김기석
I 서론
II 일본형 금융 시스템―성격 그리고 동요
III 1990년대 일본형 금융 시스템의 문제들
IV 일본형 금융 시스템의 변화?
V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일본형 기업 시스템의 동요와 새로운 모색 / 박경열
I 서론
II 일본 기업지배구조의 동요와 변화
III 일본형 고용 시스템의 동요와 변화
IV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재정 동향으로 본 일본형 경제 시스템의 변용 / 배준호
I 서론―문제의 소재
II 기존 연구 고찰
III 재정운영의 변천―동향과 개혁논의
IV 재정 동향과 일본형 경제 시스템의 상호 연관
V 결어―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
<부록 1> 일본형 경제 시스템―주류파 분석을 중심으로
<부록 2> 재정운용 실태 요약(1946~2004)
참고문헌

제4장 세계화와 산업정책―일본 산업정책의 과거, 현재, 미래 / 송주명
I 서론
II 산업정책―변수와 재구성
III 산업정책의 과거―발전지향형 국가
IV 산업정책의 현재―적극적 조정형 국가
V 산업정책의 미래―국제적·세계적 산업환경 정비국가
VI결론
참고문헌

제5장 규제개혁의 추진과 과제 / 신장철
I 서론
II 규제개혁을 둘러싼 환경요인
III 규제정책의 현상과 규제개혁의 추진
IV 규제개혁의 실태와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제6장 정보통신 고도화의 위기와 일본의 IT전략 / 김웅희
I 서론
II 1990년대 일본 정보통신 고도화의 위기
III 일본의 IT화 추진체계와 전략
IV 일본 IT전략의 방향성
V 결론
참고문헌


제3부 사회문화 시스템

제1장 문화적 아이덴티티의 동요와 변화―동질성의 신화에서 다문화주의적 모색으로 / 권숙인
I 서론
II 동질성에 기초한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전개
III 동질성 신화의 동요와 그 맥락
IV 다문화적 일본의 발견과 새로운 이념적 모색
V 결론―다문화주의적 일본의 가능성과 과제
참고문헌

제2장 일본형 지방자치 시스템의 형성과 변용 / 권영주
I 서론
II 일본형 지방자치 시스템
III 통합형 자치의 형성과 전개
IV 통합형 자치의 변용
V 결론
참고문헌

제3장 복지국가의 쇠퇴와 비영리단체의 대두 / 조규철
I 서론―일본형 시스템의 동요
II 일본의 NPO 현상
III 시민단체활동의 역사와 NPO법
IV 정부-기업-NPO의 통합공간 조정
V 결론―새로운 모색
참고문헌

제4장 젠더의 관점에서 본 전후 일본의 가족관련복지정책의 변용 / 장화경
I 서론
II 고도경제성장과 일본형복지사회론의 성격
III 1990년대의 위기의식과 생활대국5개년계획
IV 남녀공동참획사회의 지향
V 결론
참고문헌

제5장 내셔널리즘의 동학 / 한상일
I 서론
II 내셔널리즘과 일본
III 부국민주의 내셔널리즘
IV 잃어버린 10년과 새로운 내셔널리즘의 태동
V 결론
참고문헌

제6장 일본의 내향적 국제화와 다문화주의의 실험―가와사키시와 가나가와현의 외국인대표자회의를 중심으로 / 한승미
I 서론
II 국제적인 것이란 무엇인가―민족국가에서 시민사회로
III 외국인들도 주민입니다―대립에서 참여로, 시민에서 주민으로
IV 동화에서 공존으로―공정한 공적 영역의 설립을 위하여
V 일본의 다문화주의적 공공 부문에 관한 담론
VI 결론―다문화주의의 제도화 실험이 재일한국인들에게 미치는 함축적 의미
참고문헌


결론 새로이 모색되는 일본형 시스템의 전체상 / 김영작
I 서론
II 일본의 개혁전략―일본과 미국, 두 이념형의 절충
III 정치경제 시스템―복수의 시스템의 경합과 혼합형 시스템의 등장
IV 사회문화 시스템에서의 연속과 변화―다양화, 다원화 그리고 평등에의 맹아
V 국가 시스템과 국가진로의 방향성―정당의 보수화와 국가진로의 우경화
VI결론
참고문헌

공동연구에 참여한 사람들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숙명여대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변부 집단의 정체성, 이주와 이산, 여성과 이주,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재일 한인, 지역재생과 새로운 공동체 만들기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재일한인의 인류학』(2021, 공저), 『일과 생활세계: 1세들의 공간·노동·젠더』(2020, 공저) 등이, 논문으로는 “韓?人類?の日本?究: 1980年代から現在まで”(2022), “일본에 돈 벌러 간 이야기: 1910~20년대 일본 방직산업의 조선여공”(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4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1972년 도쿄대학교 법학부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대일본학회회장.한국정치외교사학회회장.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회장을 역임했다. 2008년 현재는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며 일본 호세이대학교 법학부 국제정치학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근대 한일관계의 明暗>, <일본형 시스템-위기와 변화>(공저), <일본은 한국에게 무엇인가>(공저), <글로벌화 시대의 일본.한국에의 함의>(공저), <21세기 동북아공동체 형성의 과정>(공저), (공저), <韓 日本 「西洋」>(공저), <文明 開化 平和>(공저), <한국내셔널리즘의 전개와 글로벌리즘>(편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경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오사카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동신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본 중소기업의 진화>, <기업경영의 한일비교> 등이 있다.
펼치기
박경열의 다른 책 >
이이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오사카대학교에서 국제공공정책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조규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쓰쿠바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한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을 졸업하고 1974년 미국 클레아몬트 대학원 대학에서 일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정년까지 국민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강의하면서 일본의 도쿄대학교와 도시샤(同志社) 대학교, 미국의 스탠퍼드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일본평론>을 편집 발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世界>와 한반도』, 『제국의 시선』, 『이토 히로부미와 대한제국』, 『昭和維新』, 『일본 공부 반세기의 회고』, 『고종과 이토 히로부미』 등이 있고, 역서로는 『서울에 남겨둔 꿈』, 『무지의 만용』 등이 있다.
펼치기
송주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경제, 정치학적 사상과 가치를 한국 교육현장에서의 실천, 경험과 결합하여 한국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그랜드 디자인을 시도하는 교육전문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일본 도쿄대학 교에서 공부한 후 한신대학교 글로벌 협력대학의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한편,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와 불평등 개선을 위해 활동해왔다. ‘혁신교육’의 설계자로서, 2010년 초 경기도 혁신학교추진위원장, 창의지성교육 추진단장으로 활동하며 공공성과 민주성이 살아있는 혁신교육의 보편적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우리교육의 내용을 바꾸는 시도인 ‘창의지성교육’을 설계해 이 새로운 미래지향적 교육이 교육현장에 적용되도록 기여했으며, ‘학교민주주의’를 경기교육에 최초로 도입했다. 민주화운동가로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공동의장, 노무현 대통령 탄핵무효 부패정치청산 범국민행동정책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사회의 중요한 역사적 순간 고비 고비마다 민주주의 발전과 사회적 약자편에서 노력해왔다. 2018년 교육감 선거에서는 시민경선의 승자인 ‘민주진보단일 후보’(경기교육혁신연대)로 출마해 현역 교육감을 위협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현재 교육시민단체 ‘민주주의학교’의 상임대표,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전략 자문관, 사회공공연구원(PPIP) 연구원장, 기본소득 국민운동경기본부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며, 특히 학교 안팎의 민주시민교육 설계와 실천에 매진하고 있다. 대전환적 위기의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의 재구성이라는 신념으로 한국사회와 교육의 미래비전 설계에 전념하고 있다. 「대전환시대 공교육대혁명」은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2018), 오늘 시작한 미래(2020) 등 교육관련 저서와 인공지능과 인간(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2020) 등 시대 현안에 대한 역서 작업을 통해 연구하고 성찰해온 결과를 집약한 것으로 한국교육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설계도이다.
펼치기
장화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도쿄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성공회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함께 지은 책으로는 『사회학으로 풀어본 현대 일본』(일조각, 2005), 『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양서원, 2005),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학지사, 2002), 『일본 지역연구 下』(소화, 2004) 등이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일본과 세계의 만남』(소화, 1999),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 지식인과 그 사상 1980~90년대』(당대, 2000), 『인간을 넘어서』(당대, 2004)가 있고, 함께 번역한 책으로는 『회사인간사회의 성』(나남, 1995)이 있다.
펼치기
이원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부와 대학원 석사를 마치고,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4년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특별연구원,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1998년부터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피츠버그대학 객원연구원, 일본 도쿄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외교부, 통일부, 동북아역사재단, 민주평통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일본, 한국을 상상하다』(공저, 2021, 선인), 『한일관계사 1965-2015 Ⅰ 정치』(공저, 2016, 역사공간) 외 다수의 저서, 역서와 학술논문이 있다.
펼치기
신장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현재 숭실대학교 일본학과 부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인간과 사회>, <우리 사회 이렇게 바꾸자> 등이, 옮긴 책으로 <최신 일본경제론>이 있다.
펼치기
김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일본 쓰쿠바대학 국제정치경제학연구과(석사,박사) 정치과정·일본정치 전공 일본 독쿄(獨協)대학 객원교수. 현재 인하대학교 국제통상학부 부교수. 저서 : 『글로벌화시대의 일본』(한울,공저),『일본형 시스템:위기와 변화』(일조각,공저) 외 논문 : 「일본형IT전략의 성과와 새로운 모색」「일본형IT협력의 정치경제」외
펼치기
이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오사카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릉대학교 일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본의 정치과정>이 있다.
펼치기
한승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전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교에서 「미일 교섭의 정책결정과정: 미일 원자력협정의 개정을 둘러싼 미일 교섭의 정치과정」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및 도쿄대학교 등에서 방문 연구원을 역임했고, 현대일본학회장, 국방부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2003년 이후 광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입학처장, 정책법학대학장 등을 역임했다. 일본의 대외정책, 한일관계, 한일의 원자력정책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주요 논저 『일본의 대미 원자력외교』(2019) 『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공저 2017) 『동일본 대지진과 일본의 진로』(공저 2013) 『일본정치론』(공저 2007) 『글로벌화 시대의 일본』(편저 2006)
펼치기
박홍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충주에서 태어나 청주, 대구, 서울, 도쿄로 유랑했다. 그 과정에 충북고, 경북대, 도쿄대학에서 공부했다. 현재는 청주(충북대)에서 유랑하고 있다. · 저서로 『일본 ODA와 국제정치』(한울, 2006)가 있고, 시집으로 『자화상』(도서출판 점자, 2011)이 있다. 번역서로 후루타 모토오(古田元夫)의 『역사 속의 베트남 전쟁』(일조각,2007) / 후루타 모토오의 『베트남의 세계사』(충북대 출판부, 2008)가 있다. · 공저로 『일본형 시스템: 위기와 변화』, 20인 공저(일조각,2005) / 『21세기 동북아공동체의 과제와 전망』, 12인 공저(한울, 2006) / 『변용하는 일본형 시스템: 현장 보고』, 20인공저(국민대 출판부, 2008)가 있다. 공동번역서로 『해양국가 일본의 구상』, 고사카 마사다카(高坂正堯) 지음, 6인 공역(이크, 2005) / 『내셔널리즘론의 명저 50』, 오사와 마사치(大澤��幸) 지음, 10인 공역(일조각, 2010)이 있다.
펼치기
김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동경대학교 종합문화연구과 객원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볍과대학 볍학과 졸업 미국 Stanford University 정치학 석사 및 박사 일본 동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및 법학부 정치학연구과 객원연구교수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펼치기
김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석사, 박사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원장 강원대학교 기초교육원 원장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서] 『동아시아공동체: 동향과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공저) 『동일본 대지진과 일본의 진로』 한울 (편저) 『글로벌 경제질서 재편과 G20 정상회의』 구글북스 (편저) 『동아시아 공동체와 한국의 미래: 동북아를 넘어서 동아시아로』 이매진 (공저) 『일본정치론』 논형 (공저) 『현대정치학 이론의 발전』 인간사랑 (공저) 『21세기 동북아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전망』 한울 (공편)
펼치기
권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사) 일본 京都大學 대학원 법학연구과 정치학(행정학) 전공(법학 석사) 일본 京都大學 대학원 법학연구과 정치학(행정학) 전공(법학 박사) 현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펼치기
배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히도쓰바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한신대학교 일본지역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350만의 드라마―뉴질랜드 경제사회혁명>이, 옮긴 책으로 <파란 눈에 비친 일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평화헌법은 전후 처리와 관련하여 패전이라는 역사적 특수성에서 점령사령부가 주도한 것이고, 전후 일본은 안보를 미국에 의존한 채 경제대국이 되었다. 그리고 이제 탈냉전기의 미국은 일본의 군사적 역할의 확대와 강화를 원하고 있다. 평화헌법은 일본의 국가이념에 대한 강한 구속력을 지녔으나, 평화헌법을 둘러싼 국제적 환경이 바뀌면서 일본 집권층과 국민들의 의식도 정치현실과 국가이념이 일치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 본문 120p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