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33704752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05-06-2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서론 일본형 시스템의 동요와 새로운 모색 / 한상일
I 서론
II 일본형 시스템 연구
III 결론―과제
참고문헌
제1부 국가 시스템
제1장 전후 일본 정당 시스템의 변용과 그 결정요인―55년체제의 붕괴와 관련하여 / 이이범
I 서론
II 55년체제의 성립
III 55년체제의 지속과 변화
IV 55년체제의 붕괴
V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정관재연합과 행정개혁 / 이상훈
I 서론
II 정관재연합과 행정개혁의 관계
III 정관재연합의 성립과 행정개혁
IV 행정개혁을 통한 정관재연합의 강화
V 정관재연합의 동요와 행정개혁
VI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일본 평화주의의 전개 과정―헌법 제9조와 재군비의 갈등 / 김지연
I 서론
II 전후 처리와 평화주의의 기원
III 재군비의 전개 과정과 평화헌법
IV 1990년대 개헌론의 특징
V 결론
참고문헌
제4장 일본의 안보정책 전환과 보통국가화 / 이원덕
I 서론
II 냉전기 일본의 외교안보정책
III 일본 외교안보정책의 전환 배경
IV 군사적 보통국가를 향하여
V 결론―일본의 안보정책 전환의 함의
참고문헌
제5장 일본의 대미 기축외교의 재정립―추종과 자율의 사이에서 / 전진호
I 서론
II 미일동맹의 형성과 냉전기 일본외교의 전개
III 탈냉전과 미일동맹의 변화
IV 탈냉전기 일본외교의 전개
V 결론―새로운 일본형 외교의 모색
참고문헌
제6장 일본의 동북아 외교―대북한 정책을 중심으로 / 김성철
I 서론
II 일본의 동북아 외교
III 일본의 대북한 정책
IV 결론
<부록 1> 북일평양선언
참고문헌
제7장 일본형 원조외교의 특징과 변화상 고찰―구미 제국과의 비교 관점에서 / 박홍영
I 서론
II 냉전기 일본 원조외교
III 탈냉전기 일본 원조외교
IV 구미 제국의 원조전략
V 결론
참고문헌
제2부 정치경제 시스템
제1장 일본형 금융 시스템의 현주소―금융 구조조정의 성과와 한계 / 김기석
I 서론
II 일본형 금융 시스템―성격 그리고 동요
III 1990년대 일본형 금융 시스템의 문제들
IV 일본형 금융 시스템의 변화?
V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일본형 기업 시스템의 동요와 새로운 모색 / 박경열
I 서론
II 일본 기업지배구조의 동요와 변화
III 일본형 고용 시스템의 동요와 변화
IV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재정 동향으로 본 일본형 경제 시스템의 변용 / 배준호
I 서론―문제의 소재
II 기존 연구 고찰
III 재정운영의 변천―동향과 개혁논의
IV 재정 동향과 일본형 경제 시스템의 상호 연관
V 결어―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
<부록 1> 일본형 경제 시스템―주류파 분석을 중심으로
<부록 2> 재정운용 실태 요약(1946~2004)
참고문헌
제4장 세계화와 산업정책―일본 산업정책의 과거, 현재, 미래 / 송주명
I 서론
II 산업정책―변수와 재구성
III 산업정책의 과거―발전지향형 국가
IV 산업정책의 현재―적극적 조정형 국가
V 산업정책의 미래―국제적·세계적 산업환경 정비국가
VI결론
참고문헌
제5장 규제개혁의 추진과 과제 / 신장철
I 서론
II 규제개혁을 둘러싼 환경요인
III 규제정책의 현상과 규제개혁의 추진
IV 규제개혁의 실태와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제6장 정보통신 고도화의 위기와 일본의 IT전략 / 김웅희
I 서론
II 1990년대 일본 정보통신 고도화의 위기
III 일본의 IT화 추진체계와 전략
IV 일본 IT전략의 방향성
V 결론
참고문헌
제3부 사회문화 시스템
제1장 문화적 아이덴티티의 동요와 변화―동질성의 신화에서 다문화주의적 모색으로 / 권숙인
I 서론
II 동질성에 기초한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전개
III 동질성 신화의 동요와 그 맥락
IV 다문화적 일본의 발견과 새로운 이념적 모색
V 결론―다문화주의적 일본의 가능성과 과제
참고문헌
제2장 일본형 지방자치 시스템의 형성과 변용 / 권영주
I 서론
II 일본형 지방자치 시스템
III 통합형 자치의 형성과 전개
IV 통합형 자치의 변용
V 결론
참고문헌
제3장 복지국가의 쇠퇴와 비영리단체의 대두 / 조규철
I 서론―일본형 시스템의 동요
II 일본의 NPO 현상
III 시민단체활동의 역사와 NPO법
IV 정부-기업-NPO의 통합공간 조정
V 결론―새로운 모색
참고문헌
제4장 젠더의 관점에서 본 전후 일본의 가족관련복지정책의 변용 / 장화경
I 서론
II 고도경제성장과 일본형복지사회론의 성격
III 1990년대의 위기의식과 생활대국5개년계획
IV 남녀공동참획사회의 지향
V 결론
참고문헌
제5장 내셔널리즘의 동학 / 한상일
I 서론
II 내셔널리즘과 일본
III 부국민주의 내셔널리즘
IV 잃어버린 10년과 새로운 내셔널리즘의 태동
V 결론
참고문헌
제6장 일본의 내향적 국제화와 다문화주의의 실험―가와사키시와 가나가와현의 외국인대표자회의를 중심으로 / 한승미
I 서론
II 국제적인 것이란 무엇인가―민족국가에서 시민사회로
III 외국인들도 주민입니다―대립에서 참여로, 시민에서 주민으로
IV 동화에서 공존으로―공정한 공적 영역의 설립을 위하여
V 일본의 다문화주의적 공공 부문에 관한 담론
VI 결론―다문화주의의 제도화 실험이 재일한국인들에게 미치는 함축적 의미
참고문헌
결론 새로이 모색되는 일본형 시스템의 전체상 / 김영작
I 서론
II 일본의 개혁전략―일본과 미국, 두 이념형의 절충
III 정치경제 시스템―복수의 시스템의 경합과 혼합형 시스템의 등장
IV 사회문화 시스템에서의 연속과 변화―다양화, 다원화 그리고 평등에의 맹아
V 국가 시스템과 국가진로의 방향성―정당의 보수화와 국가진로의 우경화
VI결론
참고문헌
공동연구에 참여한 사람들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화헌법은 전후 처리와 관련하여 패전이라는 역사적 특수성에서 점령사령부가 주도한 것이고, 전후 일본은 안보를 미국에 의존한 채 경제대국이 되었다. 그리고 이제 탈냉전기의 미국은 일본의 군사적 역할의 확대와 강화를 원하고 있다. 평화헌법은 일본의 국가이념에 대한 강한 구속력을 지녔으나, 평화헌법을 둘러싼 국제적 환경이 바뀌면서 일본 집권층과 국민들의 의식도 정치현실과 국가이념이 일치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 본문 120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