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플라톤과 베르그송)

이태수, 윤구병, 송영진, 박희영, 이정호, 염수균, 류종렬, 김재홍, 이정우, 최화 (지은이)
길(도서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플라톤과 베르그송)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형이상학/존재론
· ISBN : 9788964451113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15-03-19

책 소개

박홍규는 일반인들에게는 낯선 이름의 철학자이다. 하지만 철학 전공자들 가운데 박홍규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정도로 그가 남긴 업적은 후학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서양 고대철학 분야와 현대 프랑스 철학을 접목하여 서양 형이상학의 본질을 규명해내려 했던 것은 그의 대표적인 학문적 유산이라고 볼 수 있다.

목차

머리말 5

제1장 박홍규의 무한정자(apeiron)에 대한 사색: 「『티마이오스』 편 강의」를 중심으로 / 이태수 15
제2장 0과 1 사이 / 윤구병 45
제3장 소은(Platonberg) 박홍규의 형이상학과 자연과학 / 송영진 55
제4장 박홍규의 형이상학적 사유에 대한 소고 / 박희영 89
제5장 박홍규의 존재론적 사유에 담긴 플라톤의 정치철학 / 이정호 111
제6장 “읽고 정리하게” 염수균 / 169
제7장 베르그송의 ‘형이상학적’ 관점들: 하나의 생성, 두 질서, 세 실사 / 류종렬 187
제8장 박홍규 철학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시아’ / 김재홍 219
제9장 베르그송과 서구 존재론 극복: 박홍규의 해명을 중심으로 / 이정우 247
제10장 박홍규의 양상론 / 최화 273

찾아보기 297
지은이 소개 303

저자소개

김재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철학과 졸업.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서양고전철학 전공,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방법론에서의 변증술의 역할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 취득.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고중세철학 합동 프로그램’에서 철학 연구(Post-Doc).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전문연구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 가톨릭관동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전남대 사회통합지원센터 부센터장을 지냈으며,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있다. 저서 『그리스 사유의 기원』, 『에픽테토스 ‘담화록’』, 『왕보다 더 자유로운 삶』 등. 공저 『서양고대철학 2』,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아주 오래된 질문들—고전철학의 새로운 발견』 등. 역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토피카』, 『정치학』, 『소피스트적 논박에 대하여』, 『동물의 부분들에 대하여』, 『가정경제학』, 『관상학』,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자기 자신에게 이르는 것들』, 테오프라스토스의 『성격의 유형들』, 장 피에르 베르낭의 『그리스 사유의 기원』 등. 공역 『아리스토텔레스 대도덕학』,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브루노 스넬의 『정신의 발견』,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등.
펼치기
송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벨기에 루벤(Leuven)대학교 후설 연구소(Husserl Archiv)에서 연구하였다. 1984년 철학박사학위(전북대)를 받았다. 한국동서철학회 및 서양고대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영국 케임브리지 IBC(International Bibliography Center) 선정, 2009 세계주요철학자(One of Leading World Philosophers in Metaphysics)로 선발되기도 했다. 현재 충남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펼치기
최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빠리-소르본느대학교(빠리 IV대학)에서 플라톤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5년 이후 경희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프랑스철학회 및 한국고전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박홍규의 영향을 깊이 받은 그는 스승과 같이 플라톤과 베르크손의 형이상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한국철학을 위해 지각의 형이상학을 준비하고 있다. 역서로 라베쏭의 『습관에 대하여』와 베르크손의 『물질과 기억』,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저서로 『박홍규의 형이상학』 등이 있다.
펼치기
박희영 (감수)    정보 더보기
1952년 충남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76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고르기아스편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은 후, 1980년부터 경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프랑스로 유학, 1987년 파리 제4대학에서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편과 소피스트편의 존재에 관한 고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1988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교수로 있다. 한국철학회 이사,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 한국서양고전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저, 서광사, 2001), 『서양고대철학 1』(공저, 도서출판 길, 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향연』(문학과지성사, 2003), 『그리스인들의 신화와 사유』(아카넷, 2005), 『사물의 성향: 중국인의 사유 방식』(한울아카데미, 200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테세우스 영웅 신화에 대한 분석」, 「그리스 신(theos) 개념의 형성과 철학적 사유」, 「헤스티아 의식을 통해서 본 그리스 종교의 이성주의적 측면에 대한 고찰」, 「피타고라스의 Tetractys에 관한 고찰」, 「그리스 초기 자연철학의 형이상학적 사유」,「희랍철학에서의 Einai, To on, Ousia의 의미」, 「진정한 자아의 가면을 찾아서: 오르페우스교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분석」, 「고대 그리스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의 정립」, 「메소포타미아의 대지모 여신」, 「신화의 변천에 나타난 철학적 세계관과 종교관」, 「디오니소스 신화와 의식의 철학적 의미」, 「플라톤의 데미우르고스와 철학적 우주론」, 「서양 고대철학에서의 철학함과 우리의 철학함의 전형」, 「종교란 무엇인가?: 고대 신화와 의식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과 철학」, 「그리스 정신이 인류지성사에 끼친 영향과 그 한계」, 「고대 원자론의 형이상학적 사고」, 「Polis의 형성과 Aletheia의 개념」,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에 관한 고찰」, 「Zenon의 逆理에 對한 考察」 등이 있다.
펼치기
염수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충남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82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필레보스편 연구」로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1994년 서울대 대학원에서 「플라톤에 있어서 탁월성의 교육가능성에 관한 연구: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와 『메논』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초기에는 베르그송 철학을 포함하여 플라톤의 윤리와 정치철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다가 점차 현대 정치철학으로 관심을 넓혔다. 한국서양고전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조선대 철학과 교수로 철학과는 물론 교육대학원, 글로벌 법학과 등에서 열정적으로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2014년 급작스런 병환으로 작고했다. 저서로 『롤스의 민주적 자유주의』(천지, 2001), 『자유주의의 가치들: 드워킨과의 대화』(공저, 아카넷, 2011), 『자유주의적 정의: 샌델의 정의 담론 비판』(조선대학교출판부, 2012)이 있으며, 역서로는 『자유주의적 평등』(한길사, 2005), 『법과 권리』(한길사, 2010)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플라톤의 『국가』에서 덕의 교육방법」, 「국가의 목적과 윤리적 중립의 문제」, 「롤스에서 자유의 개념 문제」, 「풀러에서 법의 도덕의 문제」, 「로널드 드워킨에서 정치적 권리와 그 근거」, 「승계호의 플라톤 해석」, 「드워킨의 자원의 평등론」, 「진보적 대안으로서의 민주적 자유주의」, 「플라톤에서의 인간의 탁월성과 정의」, 「플라톤의 국가에서 좋음의 이데아와 세 가지 비유」, 「프로타고라스편에서의 좋은 것과 행동에 관한 논의」, 「베르그송에서 지성의 문제」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에 관한 연구」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87년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 오리엘 칼리지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하였다. 현재 그리스 로마 원전을 연구하는 사단법인 정암학당 이사장으로 있다. 저서로 『희랍철학입문』(공저, 종로서적, 1988), 『삶과 철학』(공저, 동녘, 1994), 『서양고대철학의 세계』(공저, 서광사, 1995), 『철학의 명저 20』(공저, 새길, 1993), 『철학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0, 2007, 2011), 『동서양 고전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2, 2010), 『세상읽기와 논술』(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11), 『신화의 세계』(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11), 『서양고대철학 1』(공저, 도서출판 길, 2013), 『영화로 생각하기』(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5, 2011, 201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한국방송통신대, 1983),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아카넷, 2005), 『크리티아스』(이제이북스, 2007), 『메넥세노스』(이제이북스, 2008), 『편지』(공역, 이제이북스, 200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노동과 정치의 형이상학: 플라톤의 『국가』와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플라톤 자연론의 성격과 우주」, 「플라톤과 민주주의」,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분석」,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트라시마코스는 정의(正義)를 정의(定義)하지 않았다」, 「초기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 토막글 연구」, 「한국 서양고대철학의 학술사적 전개」, 「플라톤 텍스트의 성립과 전승」, 「신화적 세계관과 그리스철학의 기원」,「데모크리토스 인식관련 토막글 연구」, 「서양 고대사상에 있어서 자연학과 윤리학의 관계 및 정치철학적 함의」, 「플라톤의 정치체제론」 등이 있다.
펼치기
윤구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과 보리출판사 대표를 역임했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 《실험 학교 이야기》, 《철학을 다시 쓴다》, 《내 생애 첫 우리말》, 《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 《특별 기고》, 《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 〈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우리 아이들이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 나갈 수 있도록 《보리 속담 사전》을 기획했다. 우리나라에 사는 생물의 다양성과 자연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보리 생태 사전》을 기획하였다.
펼치기
이정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충청북도 영동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미학, 철학을 공부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98년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2000~7년 철학아카데미 원장, 2009~11년 어시스트윤리경영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소운서원 원장(2008~),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2012~)로 활동하고 있다. 소운의 사유는 ‘전통, 근대, 탈근대’를 화두로 한 보편적인 세계철학사의 서술, ‘시간, 생명, 사건’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생성존재론의 구축, 그리고 ‘타자-되기의 윤리학’과 그 정치철학적 구체화의 세 갈래로 전개되어왔다. 철학사적 저술로는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한길사, 2008), 『세계철학사1: 지중해세계의 철학』(도서출판 길, 2011), 『소은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도서출판 길, 2016) 등이 있고, 존재론적 저술로는 『사건의 철학』(그린비, 2011), 『접힘과 펼쳐짐』(그린비, 2011) 등이 있으며, 실천철학적 저술로는 『천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돌베개, 2008), 『전통, 근대, 탈근대』(그린비, 2011),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인간사랑, 2012) 등이 있다. 현재는 『세계철학사 3: 근현대세계의 철학』, 『다양체론: 기하학에서 건축까지』를 집필하고 있다.
펼치기
류종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베르그송 철학에 있어서의 자연의 질서에 관하여>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프랑스 투르 대학교에서 오랫동안 연구생활을 했다. 2005년 계명대학교에서 <베르그송 철학에서 인간본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여러 대학에서 프랑스 철학을 강의했다. 현재는 철학아카데미와 사단법인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프랑스 철학 관련 강의, 번역과 강독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이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69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대 원자론의 인식문제에 대한 고찰」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81년 독일 괴팅겐 대학에서 「고대후기 아리스토텔레스 삼단논법의 희랍적 전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2년부터 서울대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많은 후학들을 길러냈으며, 1994년에는 잠시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 서울대 인문대 학장, 대학원장,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아울러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한국학술협의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인제대 인간환경미래연구원 원장, 서울대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학술연구는 물론 강연과 교육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 『삶, 반성, 인문학』(공저, 태학사, 2003),『우리 학문이 가야할 길』(공저, 아카넷, 2010), 『인문학 명강 서양고전』(공저, 21세기북스, 2014)가 있고, 논문으로는 「『아이네이스』 6권에 나타난 로마인의 가치관」, 「플라톤 철학에 있어서 지각의 문제」,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이론과 기능주의」, 「사이버 공간의 존재론」,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피카』와 그 전승」, 「인문학의 자리: 보편과 개별의 사이」, 「인간: 미완의 기획」, 「회의주의적 태도의 일관성: 자기논박 논변에 대한 퓌론 회의주의의 대응」, 「덕과 좋음의 추구」, 「알렉산드로스의 영혼 이론」, 「세이렌과 무사」,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간이해」, 「호메로스의 영웅주의 윤리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