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박홍규 철학의 세계

박홍규 철학의 세계

이태수, 최화, 윤구병, 양문흠, 손동현, 강상진, 유형수, 이창대, 이정호, 류종렬, 김혜경, 기종석 (지은이)
길(도서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박홍규 철학의 세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박홍규 철학의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64452752
· 쪽수 : 466쪽
· 출판일 : 2024-01-03

목차

머리말 5

강연문
1. 소은 박홍규의 고전에 대한 생각(이태수) 15
2. 박홍규와 형이상학(최화) 37

논단
1. 언어와 존재(윤구병) 51
2. 박홍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읽기 방식(양문흠) 61
3. 소은 철학의 단편(斷片)을 징검다리로(손동현) 73
4. 플라톤과 전쟁: 소은의 강연을 중심으로(강상진) 119
5. 소은 박홍규 철학 입문기(유형수) 151

회고와 철학적 단상
1. 소은 박홍규 선생을 추억하며(이창대) 185
2. 내 나이 일흔에 돌아보는 소은 선생과 나(이정호) 191
3. 소은 선사 강론을 화두로 철학을 묻다(류종렬) 209
4. 탐구의 드라마(김혜경) 237

서평
이정우의 ‘박홍규론’에 대한 단상(류종렬) 261

좌담
소은 박홍규의 삶과 학문(사회: 기종석) 281

자료 : 소은 박홍규 선생의 서울대 철학과 강의록과 친필 메모
1. 1972년도 2학기 중세 철학사 수강 노트 349
2. 1975년 1학기 데카르트 수강 노트 361
3. 1975년 2학기 아리스토텔레스 『생성과 소멸』 수강 노트 365
4. 1975년 2학기 제논 수강 노트 379
5. 1975년 2학기 제논 수강 노트 423
6. 1973년 1학기 [대학원 강의] 플라톤의 『파이돈』 수강 노트 439
7. 박홍규 교수 학술 관련 친필 메모 449

소은 박홍규 연보 455
찾아보기 457

저자소개

손동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마인츠(Mainz)대학에서 철학, 교육학, 신학을 수학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 학부대학 초대~3대 학장, 대전대학교 및 우송대학교 석좌교수, 부총장을 지냈으며, 철학연구회장, 한국철학회장,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장, 한국교양교육학회장, 한국교양기초교육원장, 한국연구재단 이사, 포스코교육재단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우송대학교 교양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공동체자유주의』(2008, 공저), 『세계와 정신』(2013), 『미완의 화해』(2013), 『세계존재의 이해』(2013, 공저), 『대학교양교육론』(2019) 등이 있으며, 역서로 『역사의 인식』(1979, 콜링우드 저), 『존재론의 새로운 길』(1997, 하르트만 저), 『비판이론』(1998, 그뮌더 저), 『문화학이란 무엇인가』(1004, 뵈메 저) 등이 있으며, “문화의 존재론적 기초와 구조”, “역사의식의 존재론적 연관”, “1st-Person Philosophy & 3rd-Person Philosophy”, Schichtungsstruktur der Kultur und die Globalisierungsgrenze”,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ICT”, “Bergson, Precurseur de l’epistemologie evolutionniste”(2007 College de France 초청 발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빠리-소르본느대학교(빠리 IV대학)에서 플라톤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5년 이후 경희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프랑스철학회 및 한국고전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박홍규의 영향을 깊이 받은 그는 스승과 같이 플라톤과 베르크손의 형이상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한국철학을 위해 지각의 형이상학을 준비하고 있다. 역서로 라베쏭의 『습관에 대하여』와 베르크손의 『물질과 기억』,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저서로 『박홍규의 형이상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창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 철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 육군사관학교 철학과 교관, 미국 프리스턴 대학 교환교수를 지냈다.
펼치기
강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이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정치경제철학 연계전공과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의 전공주임, 중세르네상스연구소장, 철학사상연구소장, 한국중세철학회 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서양 고·중세 철학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보에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관해 논문을 쓰고 있다. 최근에는 덕 윤리(virtue ethics)를 철학사적으로 조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공역했으며, 『서양고대철학 2』, 『사랑, 중세에서 종교개혁기까지』, 『중세의 죽음』, 『마음과 철학』 등을 함께 집필했다.
펼치기
강상진의 다른 책 >
기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 철학과 명예교수
펼치기
윤구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과 보리출판사 대표를 역임했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 《실험 학교 이야기》, 《철학을 다시 쓴다》, 《내 생애 첫 우리말》, 《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 《특별 기고》, 《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 〈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우리 아이들이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 나갈 수 있도록 《보리 속담 사전》을 기획했다. 우리나라에 사는 생물의 다양성과 자연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보리 생태 사전》을 기획하였다.
펼치기
류종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베르그송 철학에 있어서의 자연의 질서에 관하여>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프랑스 투르 대학교에서 오랫동안 연구생활을 했다. 2005년 계명대학교에서 <베르그송 철학에서 인간본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여러 대학에서 프랑스 철학을 강의했다. 현재는 철학아카데미와 사단법인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프랑스 철학 관련 강의, 번역과 강독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이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69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대 원자론의 인식문제에 대한 고찰」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81년 독일 괴팅겐 대학에서 「고대후기 아리스토텔레스 삼단논법의 희랍적 전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2년부터 서울대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많은 후학들을 길러냈으며, 1994년에는 잠시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 서울대 인문대 학장, 대학원장,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아울러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한국학술협의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인제대 인간환경미래연구원 원장, 서울대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학술연구는 물론 강연과 교육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 『삶, 반성, 인문학』(공저, 태학사, 2003),『우리 학문이 가야할 길』(공저, 아카넷, 2010), 『인문학 명강 서양고전』(공저, 21세기북스, 2014)가 있고, 논문으로는 「『아이네이스』 6권에 나타난 로마인의 가치관」, 「플라톤 철학에 있어서 지각의 문제」,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이론과 기능주의」, 「사이버 공간의 존재론」,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피카』와 그 전승」, 「인문학의 자리: 보편과 개별의 사이」, 「인간: 미완의 기획」, 「회의주의적 태도의 일관성: 자기논박 논변에 대한 퓌론 회의주의의 대응」, 「덕과 좋음의 추구」, 「알렉산드로스의 영혼 이론」, 「세이렌과 무사」,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간이해」, 「호메로스의 영웅주의 윤리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에 관한 연구」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87년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 오리엘 칼리지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하였다. 현재 그리스 로마 원전을 연구하는 사단법인 정암학당 이사장으로 있다. 저서로 『희랍철학입문』(공저, 종로서적, 1988), 『삶과 철학』(공저, 동녘, 1994), 『서양고대철학의 세계』(공저, 서광사, 1995), 『철학의 명저 20』(공저, 새길, 1993), 『철학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0, 2007, 2011), 『동서양 고전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2, 2010), 『세상읽기와 논술』(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11), 『신화의 세계』(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11), 『서양고대철학 1』(공저, 도서출판 길, 2013), 『영화로 생각하기』(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5, 2011, 201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한국방송통신대, 1983),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아카넷, 2005), 『크리티아스』(이제이북스, 2007), 『메넥세노스』(이제이북스, 2008), 『편지』(공역, 이제이북스, 200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노동과 정치의 형이상학: 플라톤의 『국가』와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플라톤 자연론의 성격과 우주」, 「플라톤과 민주주의」,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분석」,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트라시마코스는 정의(正義)를 정의(定義)하지 않았다」, 「초기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 토막글 연구」, 「한국 서양고대철학의 학술사적 전개」, 「플라톤 텍스트의 성립과 전승」, 「신화적 세계관과 그리스철학의 기원」,「데모크리토스 인식관련 토막글 연구」, 「서양 고대사상에 있어서 자연학과 윤리학의 관계 및 정치철학적 함의」, 「플라톤의 정치체제론」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서양 고대 철학을 공부했고 플라톤 철학을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후 과정은 브라운대학교에서 마쳤으며 브라운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visiting scholar, visiting faculty로 지내기도 했다.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과 KCI 등재 학술지 《인간·환경·미래》의 창립 일원으로 참여했고, 현재 연구원장과 발행인의 일을 하고 있다. 인제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와 인문문화학부의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세 명의 동료와 수년간 진행해온 플라톤의 『국가』 번역이 마무리되어 ‘정암고전총서 플라톤전집’으로 출간될 것이다. 고대 철학, 특히 플라톤 대화편을 중심으로 하는 공부에서 호메로스 서사와 그리스 비극으로 연구의 관심을 넓혔다. 삶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관심, 인간의 자기 이해라는 끝나지 않은 탐구를 근원에 두고 있는 철학, 철학자는 분과 학문들의 중재자, 사회적·문화적 소통의 통로 역할도 감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펼치기
양문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철학과 명예교수
펼치기
유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최우수 졸업논문상 수상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