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79869262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2-06-25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담헌의 철학사상 - 문석윤 -
1. 머리말-연구의 시각
2. 17, 18세기 조선성리학과 실학
-이학(理學), 심학(心學), 물학(物學)
3. 담헌의 학문론
-실심(實心)과 실사(實事)의 실학(實學)
4. 담헌의 실학 1-이학과 심학의 계승과 극복
5. 담헌의 실학 2-물학의 건립
6. 맺음말-새로운 문명에의 전망
담헌 사회사상의 이론과 체계 - 박희병 -
1. 머리말
2. 임하경륜(林下經綸)의 사회사상
3. 의산문답(?山問答)의 사회사상
4. 맺음말
담헌의 천문·우주 이해와 과학 - 김문용 -
1. 머리말
2. 천문·우주 이해의 배경과 방법
3. 우주론의 구성
4. 유학과 과학 그리고 담헌
5. 맺음말
담헌의 음악 지식과 소통 - 송지원 -
1. 머리말
2. 담헌의 음악관과 음악 지식
3. 담헌의 음악 교류와 내·외적 소통
4. 맺음말
담헌의 지식인 교유와 지성사적 위치 - 이경구 -
1. 머리말
2. 낙론(洛論)의 사상 지형과 담헌
3. 연행(燕行)에서의 지식인 교유와 사유의 변화
4. 사유의 심화와 주변 지식인에게 미친 영향
5. 맺음말
이 책을 마치며
연보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담헌은 중국 문명의 변방에서 새로운 문명을 꿈꾸었으며, 변방에 있었기 때문에 더욱 새로운 문명을 꿈꿀 수 있었다. 그가 꿈꾼 새로운 문명은 중국의 그것을 넘어서며, 또한 새로이 소개되던 서학의 그것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은 실로 인간과 자연 모두에 대한 오래고도 새로운 전망을 간직한 것으로, 중심의 주변에서 성취한 주변부 사유의 역전이며, 진보적 보편성을 선취한 것이었다. 역사의 전개는 담헌을 전통의 말미로 밀어 버렸지만, 그가 꿈꾸었던 것은 바로 오늘 우리의 삶을 구성할 수도 있을 어떤 것이었다. 실로 조선 후기는 어떤 변화의 조짐이 일어나고 있던 때였다. 오늘날 확정된 의미의 ‘근대’는 아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분명 우리가 가질 수도 있었던 그 무엇이었다. ---「담헌의 철학사상」 중에서
담헌에게 음악은 학문의 대상이기도 했으며 삶을 윤택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이기도 했다. 음악 실기의 전문성도 중시하여 자신이 음악가 못지않은 실력도 갖추었다. 이는 단순히 음악 애호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만은 아니었고 철저히 전문적이었고 실험적이기도 했다. 담헌의 이러한 음악 실력은 정평이 나 있어서 중국 지식인들 사이에도 잘 알려져 있었다. 중국의 문인들은 담헌을 위하여 그들의 음악을 들려주기도 했고, 담헌은 그들을 위해 거문고 연주를 들려주며 음악 교류를 하였다. 그런가 하면 북경의 천주당에서는 파이프오르간을 접하여 악기의 원리를 파악하고 직접 연주해 봄으로써 실험정신이 강한 담헌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담헌은 연행을 통해 중국의 선진 문물을 경험하면서 그들 문물이 지닌 여러 장점을 목도하였다. 이는 담헌으로 하여금 문화를 현실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