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사회 어디로 가나?

한국 사회 어디로 가나?

(한국사회연구소 연구총서 2)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양종회, 김원동, 조대엽, 전상인, 장하성, 이재경, 임현백 (지은이)
굿인포메이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한국 사회 어디로 가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사회 어디로 가나? (한국사회연구소 연구총서 2)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8958407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05-12-30

책 소개

한국사회 구래의 권위주의적 질서는 빠르게 해체되고 있으나 새로운 권위에 대한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전환기를 맞은 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권위의 패러다임은 무엇이며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가? 나아가 새로운 권위구조에 대한 합의의 가능성은 어떻게 찾아야 하는가? 이 책은 한국사회가 직면한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목차

서문

제1부 거대전환의 사회변동과 권위구조: 해체인가 전환인가?
1장 근대와 탈근대의 권위구조와 권위의 위기
2장 정보사회와 지식 권위
3장 민주주의와 권위구조

제2부 국가.시장.시민사회와 권위구조의 변화
4장 정치사회와 권위구조의 변화
5장 기업의 지배구조와 시장 권위
6장 시민사회와 권위

제3부 가족.교육.세대와 권위구조의 변화
7장 가부장적 권위 이후의 가족
8장 문화 없는 문혁(文革)시대
9장 세대와 권위

저자소개

박길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릉에서 태어나 동해를 보며 성장했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과대학장, 대학원장, 교육부 총장을 역임했다.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겸임교수, 세계한류학회 회장, 한국사회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이며, 푸른나무재단 이사장, 삼성호암상 위원을 맡고 있다. 쓴 책으로는 《태평양 항해: 한산도함 오디세이》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사회는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사회를 만든다》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과 갈등적 조율》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 등이 있다.
펼치기
송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 겸 석좌교수. 정치·경제·사회 현상, 정책에 대한 정교한 분석으로 정평이 난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서울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21세기 지성의 몰락》(2023),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2021), 《국민의 탄생》(2020), 《시민의 탄생》(2013), 《인민의 탄생》(2011) 등의 저서를 펴냈다.
펼치기
신광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현 동아시아사회학회 회장이며,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공저),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원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모두 마쳤다. 1992년부터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 오리건대학교, 포틀랜드주립대학교,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방문교수, 지역사회학회장,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정보과학?행정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미국의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 《정보사회와 지역정보화》,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정치변동》, 《한국의 경제사회 발전과 ICT 산업의 진화》(공저), 《오늘의 사회이론가들》(공저), 《분권과 혁신》(공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조대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낙동강을 보며 자랐다.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마쳤다. 사회운동분석의 ‘역사주기론’을 제시한 바 있고, 제4의 결사체·생활민주주의·시장공공성·생활공공성 등의 이론을 제시했다. ‘노동학’을 체계화했으며, ‘노조시민주의’와 지속가능한 노동에 관한 논의의 장을 열었다.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2025년 정년퇴임 시까지 논문 약 80편을 발표하고 34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한국사회학회, 한국비교사회학회 등 여러 학회에서 활동했다. 시민단체를 돕기도 하고, 2012년과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의 정책싱크탱크에 참여했다. 노동계를 도와 금융산업공익재단의 출범에 함께했으며, 현재 민간싱크탱크 선우재에 참여하고 있다. 고려대 노동대학원장을 세 번 연임하면서 노동대학원을 노동학의 중심으로 만들고 노동문제연구소를 복원하는 데 애썼다. 2019년 대통령직속 정책기획 위원장으로 취임해 대통령 소속 9개 국정과제위원회를 총괄하는 국정과제협의회 의장직을 수행하며 정책기획시리즈 단행본 21권을 출간했고, 2022년 문재인정부 국정백서 22권을 편찬하는 등 국정을 도왔다. 사회학자로서 30년간 사회운동·민주주의·노동학 등 비교적 현장에 민감한 분야를 연구하면서 미네르바의 올빼미와 갈리아의 수탉을 동시에 좇은 셈이다.
펼치기
전상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브라운 대학 사회학과 석사 및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계획 이론’, ‘도시사회학’, ‘공간의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쳤고, 2023년 정년퇴임해 현재 명예교수이다.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고,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과 일본 히토쓰바시 대학에 방문 교수로 재직한 적이 있다. 한국미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고개 숙인 수정주의: 한국현대사의 역사사회학』,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편의점 사회학』, 『공간으로 세상 읽기: 집·터·길의 인문사회학』, 『공간 디자이너 박정희』, 『도시계획의 사회학』 등이 있고, 칼럼집으로 『세상과 사람 사이』, 『헝그리 사회가 앵그리 사회로』가 있다.
펼치기
장하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과 경제학을 공부하는 학자이자, 한국의 현실 속에서 학문을 고민하고 현장에 투영하는 실천 운동가다. 1978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알바니 뉴욕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석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 스쿨에서 경영학박사(재무학 전공) 학위를 받았다. 미국 휴스턴대학교 경영대학 재무학과 교수를 시작으로 교단에 섰으며, 1990년부터 지금까지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에서 유일하게 학장을 연속하여 세 번 역임하면서, 고려대 경영대학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시켰다. 1996년 참여연대에서 경제민주화위원회를 만들어 국내 처음으로 ‘경제민주화’ 시민운동을 실천했다. 2006년 일명 ‘장하성 펀드’라 불리는 라자드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를 구상하고 주도해서, 국내에 가치 투자의 가능성을 열었다. 또한 <파이낸셜 타임즈>가 선정한 ‘세계 5대 기업개혁가’ 중 한 명인 그는, 김대중 15대 대통령 당선자의 ‘국민의 정부 경제개혁정책’ 총괄책임자로, 안철수 18대 대통령 예비후보의 ‘진심캠프 국민정책’ 본부장으로 일하면서 국가 경제정책을 설계하기도 했다. 한국재무학회 회장, 참여연대 경제민주화위원회, 경제개혁연대 운영위원장, 라자드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 투자 고문,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국제자문위원, 국제기업지배구조네트워크(ICGN) 이사, ㈔정책네트워크 내일 소장, 세계은행(IBRD) 방문학자 및 컨설턴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컨설턴트 등을 역임했다. 국내외 학술지에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미국 〈재무 분석 저널〉이 수여하는 그래함-도드 우수논문상(1995), 〈비즈니스위크〉가 수여하는 아시아 스타상(1998, 1999), 국제기업지배구조네트워크가 수여하는 올해의 기업지배구조상(2001)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여성학회 회장, 한국가족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2003), 『여성학』(공저, 2007), 『국가와 젠더: 성 주류화의 이론과 실천』(공저, 2010), 『여성주의 역사쓰기: 구술사 연구방법』(공저, 2012), 『‘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 가족・노동・섹슈얼리티』(공저, 2015) 등이 있으며, 한국 가족과 여성 정책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임현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공동체에 대한 향수를 보인다. 다른 한편 소수의 보수주의자를 제외하고는 권위에 대한 향수는 찾아볼 수 없다. 권위란 없을수록 좋은 것이다. 그러나 공동체란 서로를 깊이 신뢰하고, 공동의 결정에 전적으로 따르며, 개인보다 집단의 이익을 우선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안정과 구성원들간의 유대와, 집단생활의 질서와 영속성을 얻는 것이다.

그것은 일상생활의 모든 행위를 선택의 부담에 맡기는 것이 아니며, 낯익은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계산을 덜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제도다. 즉 그것의 원천이 무엇이든 공동체는 권위에 대한 신뢰와 복종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공동체에 대한 향수는 선태그이 찬양과는 양립하기 어렵다. 이것이 탈근대시대를 맞은 우리 모두의 딜레마이다. - 본문 6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88958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