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93893274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09-12-2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PART 01 1인 미디어, 세상에 등장하다
1/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 김익현
기술적 배경: 인터넷과 저작 툴 보급 확대
사회적 배경: 웹 2.0과 개방-공유 문화의 확대
1인 미디어 플랫폼의 발전
1인 미디어와 대안적 공론장
1인 미디어의 한계와 과제
2/ 1인 미디어와 스트리트 저널리즘 김익현
1인 미디어, 어떤 기사를 쓸까?
1인 미디어와 오픈 소스 저널리즘
트위터와 콜라주 저널리즘의 가능성
1인 미디어와 저널리즘의 미래
PART 02 1인 미디어의 색다른 글쓰기
3/ 실전 취재 기법 Ⅰ: 기획 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 이나리
변화와 다양성의 시대
'기초 체력' 기르기
아이템 확정하기
기초 취재 및 섭외하기
본격적인 취재 및 1차 구성하기
집필의 실제
4/ 실전 취재 기법 Ⅱ: 인터뷰, 어떻게 진행하고 쓸 것인가 이나리
인터뷰란 무엇인가
인터뷰의 실제
인터뷰 진행
주제 잡기와 구성하기
인터뷰 기사 작성
인터뷰 집필의 노하우
5/ 뉴미디어형 글쓰기 안수찬
글쓰기의 이해
글쓰기의 5대 패턴
자아 노출의 모방
글쓰기 정복의 우회로
글쓰기의 마지막 요소
요약
6/ 내러티브 글쓰기와 1인 미디어의 결합 안수찬
스트레이트를 넘어 내러티브로
내러티브의 이해
내러티브 기사의 실제
요약
7/ 효과적인 1인 미디어 제목 뽑기 이상국
시와 산문의 제목과 미디어의 제목은 어떻게 다른가
기존 미디어의 제목과 디지털 미디어의 제목은 어떻게 다른가
그렇다면 미디어의 제목이란 무엇인가
1인 미디어의 제목은 어떻게 달아야 하는가
신문 미디어를 흉내 내지 말고 독창적인 제목을 달아라
PART 03 1인 미디어, 비주얼 콘텐츠와 만나다
8/ 포토저널리스트 김병만
포토 저널리스트는 역사가다
포토 저널리스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사진 한 장의 힘: 기업을 살리고 죽이고
특종을 쫓는 포토 저널리스트
갈등: 열정과 연출의 사이에서
매 순간 기록의 열정, 현장 포토라인: 세이드 트리
에필로그
9/ 1인 미디어, 영상 저널리스트 이세영
1인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등장
1인 미디어 영상 기사에 맞는 촬영 원칙
다양한 영상 촬영 기법 실무
진실이란 무엇인가?
1인 미디어 영상기사의 효과적인 진실 추구
10/ 1인 미디어와 뉴스 그래픽 장성구
뉴스 그래픽의 이해
뉴스 그래픽의 정의
국외 전문가들이 말하는 뉴스 그래픽의 요건
뉴스 그래픽 기자들의 제작 프로세스
성공적인 뉴스 그래픽 사례
1인 미디어 속의 뉴스 그래픽 활용
PART 04 1인 미디어에서 1인 채널로의 길
11/ 1인 미디어 운영자를 위한 법률 상식 류종현
명예훼손
1인 미디어에서의 프라이버시와 초상권
1인 미디어와 저작권
저작권과 초상권의 관계
개정 저작권법의 요약
12/ 1인 채널의 시대, 이렇게 준비하자 이세영
신문, 방송 동시 보도의 크로스 미디어를 실현하다!
IPTV와 함께 여는 1인 채널의 시대
그래도 핵심은 콘텐츠다. 인터넷 다큐멘터리 아카이브 준비하는 다큐멘터리 거장의 마지막 도전!
저자소개
책속에서
『1인 미디어, 기획에서 제작까지』는 1인 미디어에 관심은 있지만 선뜻 용기를 내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과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을 위한 책이다. 저자들은 골치 아픈 학술적 논의보다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에 초점을 맞췄다. 실전 취재 기법을 비롯해 기사 쓰기, 제목 달기, 인터뷰 기법, 동영상 및 그래픽 만들기 등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이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이 담겨 있다. 총론격인 1장과 2장에서는 1인 미디어 시대의 특징과 1인 미디어의 저널리즘적인 특징에 대해 다뤘다. 특히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게 된 기술적·철학적 배경과 함께 1인 미디어의 저널리즘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봤다. 3장과 4장에서는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의 실전 취재 기법에 대해 다뤘다. 특히 인터뷰 섭외부터 진행 방법, 그리고 기사 작성의 노하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 전문적인 기자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손쉽게 취재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이 힘겨워하는 것 중 하나가 실제로 기사를 작성하는 것이다. 기사라는 독특한 글쓰기 형식이 생소하기 때문이다. 5장과 6장에서는 글쓰기 일반론과 최근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내러티브 기사 쓰기에 대해 알아본다. 이론적인 설명보다는 국내외 신문에서 적당한 사례를 뽑아 설명해 줌으로써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블로그를 비롯한 1인 미디어의 헤드라인은 기존의 제목들과 다른 소통 환경 속에 있다. ‘제목’이라는 표현은 같지만 기능과 역할, 그리고 효과는 사뭇 다르다. 7장에서는 이런 관점에서 제목 달기의 기본 원칙과 함께 효과적인 1인 미디어 제목 뽑기를 다루고 있다. 8장과 9장, 그리고 10장에서는 사진, 영상, 그래픽과 1인 미디어의 만남에 대해 다루었다. 사진, 영상, 그리고 그래픽은 1인 미디어를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요소들이면서도 실제로 활용하기에는 가장 부담스러운 요소들이다. 사진, 영상, 그래픽 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공동 저자들은 각자의 경험을 살려 1인 미디어에 접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11장은 1인 미디어 운영자를 위한 법률 상식을 담고 있다. 언론사라는 배경이 있는 일반 기자들과 달리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은 법률적인 분쟁에 휘말릴 경우 큰 피해를 입기 쉽다. 특히 2009년에 저작권법이 개정되면서 인터넷 저작권 규제 강도가 한층 강화됐다. 이 책에서는 명예훼손부터 저작권 침해까지 1인 미디어 기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12장은 1인 미디어 선구자들의 릴레이 인터뷰로 꾸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