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죽음 그리고 자살

죽음 그리고 자살

홍은영, 김성진, 정세근, 김선희, 이영의, 박병준 (지은이),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엮은이)
학이시습
2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0% 0원
680원
22,1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죽음 그리고 자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죽음 그리고 자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30421070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5-02-13

목차

머리말

1부 죽음에 대하여

01 우리 시대의 죽음 담론에 대한 시론: 푸코의 담론이론과 아리에스의 『죽음의 역사』를 통하여
홍은영,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사

02 보이티우스의 『철학의 위안』과 철학실천: 철학상담에의 적용을 위한 ‘초월적-3인칭적’ 방법론 모색
박병준,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03 철학실천에서 죽음 상담의 원리
정세근,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2부 삶에 대하여

04 절망의 심리학과 철학, 그리고 자살 예방
김성진, 한림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05 자살에 대한 세 가지 접근: 정신분석, 로고테라피, 목적론적 철학상담
이영의,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HK교수

06 자살과 세계관: 염세적 세계관의 해독제로서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세계관
김선희, 강원대학교 철학과 교수

부록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소개
철학상담치료사 자격증
철학상담치료사 자격규정 개정안 및 시행세칙

저자소개

홍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미셸 푸코의 고고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파리1대학(소르본)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De l’interrelation entre pouvoir, sujet et liberte chez Foucault”로 DEA학위를 취득했다.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와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및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음악적 치유 활동을 위해 클래식기타 앙상블 ‘기타레타’를 결성하여 멤버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돌봄과 철학』(2013), 『성 철학』(2009),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2004) 등이 있고, 역서로는 『구조주의』(2010), 『하우 투 리드 푸코』(2008), 『돌봄과 치유의 철학』(2004), 『미셸 푸코의 과학적 이성의 고고학』(199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성찰하는 주체는 미칠 수 없는가?”, “질병, 몸, 그리고 환자의 문제”, “푸코와 생물학적 성 담론”, “푸코와 자기배려의 윤리학”, “우리 시대의 건강담론에 대한 시론”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한림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다.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철학(주전공), 중국학, 신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Der Widerspruch und das Urteil in Platons Parmenides(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의 모순과 판단)」이다. 고대 그리스철학, 중세기독교철학, 환경생태철학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강의했으며 다수의 학술지 발표 논문과 저서 및 번역서를 출간했다. 독일 DAAD 지원으로 프라이부르크대학교 연구교수,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철학회, 철학연구회, 한국서양고전학회, 한국환경철학회, 한국기독교철학회 등에서 회원과 임원으로 활동했다. 2007년 이후 철학상담치료의 국내 정착과 확산을 위한 연구와 교육 및 학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고, 철학적 상담과 치료를 포함하는 철학 실천가 양성과 공인 자격증 제도를 정착시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명예회장 및 철학상담치료 수련감독으로서 철학실천 영역의 연구와 교육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펼치기
정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 철학과 교수. 국립타이완대학 박사. (사)한국철학회 제53대 회장을 지내면서 한국철학자연합대회와 남북철학사 정리 작업을 이끌었다. 대동철학회 회장을 3회 연임했으며 여러 철학회에서 연구위원장 및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국가미래교육을 위한 전국철학회연석회의 의장으로 도덕 및 철학 교육의 정상화에 애쓰고 있다. 저서로는 인물세계철학 시리즈로 『동양 미학과 한국 현대미학의 탄생: 캉유웨이, 야나기, 고유섭』과 고등학교 토론 교과서인 『삶의 철학과 토론』(Youtube: 충북대 고교학점제)을 비롯하여, 동전의 앞뒤인 『노자와 루소, 여든하나의 방』과 『노자와 루소, 그 잔상들』, 쌍둥이 책인 『노장철학과 현대사상』과 『도가철학과 위진현학』, 어머니의 철학으로 읽는 『노자 도덕경』, 불교에서 윤회를 버리자는 『윤회와 반윤회』, 학계와 교육에 대한 평론집인 『철학으로 비판하다』가 있고, 편서로는 노장 이후 세계관의 변화를 모은 『위진현학』이 있다. 서예 이론의 결정판인 『광예주쌍집』(상·하)을 해제와 도판을 넣어 번역했고, 타이완 학생서국에서 『장자기화론莊子氣化論』이 중국어로 출간되었다. 국가온라인공개강좌인 KMOOC에서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문화와 세계종교 기행’과 ‘비유와 우화로 보는 철학 산책’을 진행하고 있으며, 칼럼으로 ‘인문학으로 세상 읽기’ ‘철학자의 가벼움’ 등을 연재했다.
펼치기
김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초빙교수 역임 《철학상담: 나의 가치를 찾아가는 대화》, 《철학상담 방법론: 철학적 사고실험과 자기치유》, 《인공지능, 마음을 묻다》
펼치기
이영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Binghamton) 철학과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고 현재 동국대학교 철학과 특임교수이며, 한국과학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체화인지학회 회장으로 있다. 저서로 『베이즈주의』, 『신경과학철학』, 『입증』(공저), 『인과』(공저) 등을 냈고, “어떻게 의식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가?”, “정신질환에 대한 행화주의적 접근” 등 베이즈주의, 체화인지, 철학상담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박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교목처장, 철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신학대학원장,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회장과 철학상담 수련감독으로 있다. 가톨릭대학교 신학과에 입학, 이후 가톨릭 수도회인 예수회에 입회해 사제 서품을 받았다.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대학교에서 철학 석사학위와 교회학위인 철학 리첸티아투스, 교황청립 로마그레고리안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해석학회, 한국가톨릭철학회, 철학연구회 회장과 생사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Anthropologie und Ontologie(인간학과 존재론)》, 《서양 고·중세 철학과 그 유구한 문제들》(공저), 《고령화 사회를 위한 행복의 인문학》(기획, 공저), 《죽음 그리고 자살》(공저), 《철학상담 방법론》(공저), 《아픈 영혼을 철학으로 치유하기: 철학상담을 위한 공감적 대화와 초월기법》(공저), 《사랑》(공저), 《코로나 블루, 철학의 위안》(기획, 공저), 《서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공저), 《피로 철학상담》(공저) 등이 있다.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과 철학상담〉, 〈‘용서’ 개념에 대한 철학상담적 접근: 치유의 행복학을 위한 영적 실천의 모델 제시〉, 〈영성과 치유: ‘치유의 철학’을 위한 영성 개념의 정초 작업〉 외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간이면 누구나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예고 없이 운명처럼 다가오는 죽음은 두려움의 대상이면서, 또한 인간이 미리 앞당겨 자신의 죽음을 예견함으로써 실존적 자각을 돕는 삶의 중요한 일부이기도 하다. 죽음 앞에 서 있는 인간은 그저 두렵다. 죽음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무(無)’처럼 다가와 모든 것을 어둠 속으로 몰아넣기 때문이다. 죽음을 목전에 둔 사람은 죽음 자체가 공포의 대상이다. 죽음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인간 곁에 머물면서 인간을 괴롭힌다. 자기 무화로 인한 허무와 절망, 소외와 고독, 그것이 바로 죽음이 우리에게 보여 주는 어두움이다. 우리는 어느 날 불현듯 찾아 온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으로 견디기 힘든 단절을 체험한다. 죽음은 그렇게 예측 불가능하게 인간의 통제 밖에 서 있다.
- '머리말' 중에서


‘죽음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은 사실상 사회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음을 역사적으로 잘 알 수 있다. 죽음의 관념과 장례 의례, 죽음에 대한 이미지, 죽음에 이르는 절차 등은 다양한 흐름을 타고 일정한 사회와 역사 속에서 매번 다른 옷을 입고 등장한다. 한 시대 내에서도 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기도 하며 공통의 관념과 의례는 사람들의 의식과 사고를 통합한다. 또한 관념의 차이는 집단을 구분하기도 한다.
- '01 우리 시대의 죽음 담론에 대한 시론' 중에서


그렇다면, 우리는 의문투성이의 삶 앞에서 삶을 긍정할 것인가? 혹은 삶을 부정할 것인가? 이는 결국 삶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태도에 달려 있을 것이다. 삶의 부정으로부터 삶의 긍정에로 우리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그 힘의 원천은 과연 무엇일까? 이는 우리가 철학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를 진정으로 변화시키고자 원한다면 필히 고민해야 할 물음 가운데 하나다. 철학실천으로서 철학상담과 치유의 기본 구조는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인격적 대화라는 형식적 틀 위에 세워져 있다.
- '02 보이티우스의 『철학적 위안』과 철학실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