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28840562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18-02-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고통 변증법(이영의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02. 철학상담과 해석학 : 철학상담을 위한 해석학 적용의 문제(박병준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03. 철학상담과 실존철학적 방법론(홍경자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04. 칸트의 정신병리론과 철학상담 방법론 모색 : 논리적 이기주의와 인지장애를 중심으로(권오상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부회장)
05. ‘비판적 사고의 활성화를 통한 철학상담’의 방법론 제안 : 교정적 인식의 방법(박은미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초빙교수)
06. 철학상담과 플라톤의 방법론(장영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07. 공자의 인인시언적 방법과 철학상담(이기원 강원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
부록.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소개
연혁 및 주요 활동
철학상담치료사 자격증
저자소개
책속에서
실존철학은 ‘인간’에 대한 철학적 물음을 철학적 인간학자들보다 더 근본적으로 던지고 있다. 실존철학의 인간학적인 근본 원리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인간에게는 궁극적이고 가장 내면적인 ‘실존’이라는 독특한 개념이 중심에 서 있다는 것이다. 실존철학은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와 해석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본질적인 이해가 중심이자 본질인 ‘상담’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든 종류의 상담은 인간을 어떤 존재로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상담의 목적, 방법, 내용 등 전반적인 것들이 달라지기 때문에 실존철학적 철학상담은 그 토대가 되는 개별적인 인간, 즉 ‘실존’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에서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실존이라는 개념은 실존철학자들마다 다소간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본적으로 인간이 자신의 상황을 염려하고, 자신에 대해 불안해하고, 자신의 한계를 끊임없이 넘어서기를 열망하는 존재이자 본질에 앞선 존재라는 점에서는 실존철학자들 모두가 공통적인 견해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