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30432342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환경 변화와 예술
현대 예술 개념의 변화와 예술의 의미 : 예술 개념 정의의 문제로부터 / 신정원
- 논의의 배경
- 딕키와 감상의 후보를 위한 자격수여
- 단토와 일상적인 것의 변용
- 이턴과 역사의 중요성
- 계속되는 도전들
과학기술과 예술 / 홍성욱
- 예술과 과학의 관계
- 과학기술과 예술의 접점
- 예술에 영향을 미친 과학의 역사적 사례들
- 21세기 과학기술과 예술의 퓨전
- 예술은 과학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생태사회와 예술 / 홍성태
- 생태계와 생태위기
- 생태적 합리성
- 생태론적 전환
- 생태사회와 예술
- 예술의 생태학적 전환
-
예술과 문화산업의 소통체계와 예술 경영의 과제 / 임학순
- 예술과 문화산업 사이의 소통 부제
- 예술과 문화산업의 소통 현상
- 예술 경영의 과제와 정책방향
- 창의적인 소통을 위한 필수조건
2부 예술 교육과 정책
예술교육과 텔레비전, 미디어문화연구의 새로운 절합 / 전규찬
- 들어가면서
- 문화예술과 미디어문화연구의 화해
- 문화예술과 대중문화의 거리단축
- 텔레비전과 문화예술 논의의 궤적
- 텔레비전의 문화예술의 재접합
- 텔레비전의 문화예술 교육적 실천
- 나가면서
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새로운 실천 방향 / 이동연
- 21세기 예술의 패러다임과 예술교육의 지위
- 에술교육의 융합적 성격
- 예술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이론적 구성-문화연구의 관점
- 융합적 예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구상들
'시각적 리터러시'의 철학적 기초 : 디지털 시대 지각의 교육학을 위하여 / 심광현
- 들어가며
- 통시성에서 공시성으로
- 개념의 촉각적 시각화
- 집중된 시선과 전체적인 응시
- 신체적 지각
- 공통감각
- 술어적ㆍ원심적 통합
- 디지털 이미지의 양면성
- 나가며
문화산업, 문화 도시, 문화 테크놀로지 그리고 문화예술 정책의 성찰 / 이영주
- 문화산업, 문화도시, 문화 테크놀로지라는 용어에 포위된 문화예술 정책
- 한국의 문화예술 정책의 변화와 노무현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
- 문화산업, 문화 도시, 문화 테크놀로지의 막대를 반대로 구부리기
- 반대로 구부려진 막대의 새로운 진동
저자소개
책속에서
“디지털 기술은 예술가의 개념 역시 변화시킨다. ‘저자의 죽음’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선언 이후에도 저자는 작품의 창안자로서 문화 안에 자리매김해 왔다. 그러나 통합적 예술을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은 한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다양한 관심에 의존한 것이며 대개는 인문학적 소양과 과학자의 기술, 그리고 예술가의 창의력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예술가로 설명된다. … (중략) … 이런 변화에는 감상자의 역할 변화 역시 중요한 요인을 제공한다. 작품이 관람자의 활동 없이는 존재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은 예술 작품, 작가, 감상자 사이의 전통적 관념을 뒤흔드는 개념이며 예술가, 관람자, 작품에 대한 전통적 개념의 재정립과 새로운 이해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예술은 세계의 반영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며,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예술이 감성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라고 보았던 의미론적 입장은 변화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예술 의미론은 예술의 생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예술을 다른 형이상학에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로 읽혀지는 텍스트로서, 예술 자체를 사건으로서, 사회적 실재로서 본다. 예술의 의미는 새로운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며, 사건으로서 예술은 의미를 새롭게 배치하고 생성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