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니에르 드 부아르 7호 Maniere de voir 2022

마니에르 드 부아르 7호 Maniere de voir 2022

(과학, 거짓과 진실 사이)

필리프 데캉, 성일권, 오렐리앵 바로, 에블린 클레망, 파브리스 기욤, 기 티베르기엥, 브뤼노 비비코르시, 베르나르 뒤종, 자크 테스타르, 도미니크 레노, 이브라힘 와르드, 리샤르 몽부아쟁, 마르크 빌로, 캉텡 라벨리, 엘리자 페리괴르, 기욤 르누아르, 샤를 페라쟁, 스티븐 로즈, 엘렌 리샤르, 로랑 코르도니에, 장 마르크 레비 르블롱, 알베르 자카르, 앙리 라보리, 장 클로드 페케르, 티에리 르벨, 안치용 (지은이)
르몽드디플로마티크(잡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마니에르 드 부아르 7호 Maniere de voir 202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니에르 드 부아르 7호 Maniere de voir 2022 (과학, 거짓과 진실 사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91186596968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2-03-30

책 소개

코로나19의 맹위가 제도권의 허언과 달리 좀처럼 수그러지지 않은 이때, 《마니에르 드 부아르》7호는 과학적 만능주의가 가졌던 환상이 깨어지는 것을 목도하면서 과학의 진실과 거짓 사이에 있는 특수한 간격을 주목한다.

목차

#서문 - 불확실성의 치유책 - 필리프 데캉
#책을 내며 – 과학적 사유의 불 - 성일권

#1부 이성의 기반

⍚ 팽창하는 이론, 빅뱅이 던지는 세 질문 - 오렐리앵 바로
┗ 러셀-아인슈타인 선언문
⍚ 뇌는 스스로 사고하지 않는다 - 에블린 클레망
┗ 의혹에 직면한 오펜하이머
⍚ 인간도 돌연변이다! - 베르나르 뒤종
⍚ 실험실에서 최고품질의 아이가 태어난다! - 자크 테스타르
⍚ 과학에서 정치로 옮겨간 기후온난화 - 필리프 데캉
┗ 사하로프, 수소폭탄에서부터 노벨평화상까지
⍚ 태초에 남극에 공기 방울이 있었다 - 도미니크 레노

#2부 영향을 받는 연구

⍚ 장사꾼들에게 피를 빨린 미국 대학들 - 이브라힘 와르드
┗ 무지의 뿌리에 있는 인지학
⍚ 공적인 연구, 사적인 발표 - 리샤르 몽부아쟁
⍚ 기초과학에 대한 홀대 - 캉탱 라벨리
⍚ 축구스타 메시의 연봉보다 적은 기후변화예산 - 마르크 빌로
⍚ 여성 배제에서부터 여성 과소재현까지 - 엘리자 페리괴르
┗ 리센코와 '프롤레타리아 과학’
⍚ [만화] 갈고리형 원자

#3부 사이비 과학의 확산

⍚ ‘트랜스 휴머니즘’은 진보적일까? - 기욤 르누아르, 샤를 페라쟁
┗ 원숭이 재판
⍚ 정치적 목적을 위한 생물학적 알리바이 - 스티븐 로즈
⍚ 얇은 얼음층에 관한 탐구 - 리샤르 몽부아쟁
⍚ 과학자의 평가를 평가하라 - 자크 테스타르
⍚ 스마트한 '증강 인류'를 창조하는 우생학 - 자크 테스타르
⍚ ‘새롭지 않은’ 뉴노멀의 시대 - 로랑 코르도니에

#4부 계몽주의의 재점화

⍚ 보편주의의 기초 - 장-마르크 레비-르블롱
┗ 연구비는 어디로 가나?
⍚ 과학적 지성의 공유 - 자크 테스타르
⍚ 광기에 사로잡힌 호모 사피언스의 갈래길 - 알베르 자카르
┗ 계몽주의시대에서 21세기까지 살펴보는 의학
⍚ [아카이브] 지배에서 벗어나기 - 앙리 라보리
⍚ [아카이브] 냉철한 이성이 필요할 때 - 장-클로드 페케르
┗ 평화주의에서 평화학까지
⍚ [아카이브] 과학과 정책 간의 소통은 불가능한가? - 티에리 르벨
┗ 사전예방원칙, 그러나 신중하게...

[부록] - 과학에 관한 크고 작은 사건들

저자소개

스티븐 로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오픈 유니버시티 생물학 명예교수. 1960년대 영국에서 과학의 사회적 책임 협회 설립에 잠여했다. 사회생물학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진화심리학, 적응주의 등을 비판했다. 주요 저서에 『Can Neuroscience Change Our Minds?』 (공저, 2016)』, 『The 21st Century Brain』 (2005), 『Alas, Poor Darwin: Arguments against Evolutionary Psychology』 (공저, 2000) 등이 있다.
펼치기
알베르 자카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프랑스 리옹에서 태어났다. 에콜 폴리테크닉을 졸업한 뒤 제네바 대학과 파리 6대학 교수를 거치면서 유전공학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1980년대에 많은 과학 논쟁에 참여했으며 퇴직 후 인권단체에서 활동하는 행동하는 지성으로 알려져 있다. 알베르 자카르는 성숙하고 의식있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투쟁을 지속하고 있으며 그는 홀로 성취한 위업보다는 연대를 통한 성공을 더 가치 있게 받아들이는 사회를 지향한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제네바 문학상 등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다름에 대한 찬양』, 『가난한 자들의 근심』, 『아직 태어나지 않은 그대에게!』, 『과학의 즐거움』, 『나는 고발한다 경제지상주의를』등이 있다.
펼치기
성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 발행인. 파리8대학에서 정치사상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와 이화여대 등에서 저널리즘 글쓰기를 강의했으며, 동국대학교에선 고전 읽기 세미나를 주관하는 초빙교수를, 경희사이버대에선 인문학적 글쓰기의 특임교수를 각각 지냈다. 지은 책으로 <비판 인문학 120년사>, <소사이어티 없는 카페>, <오리엔탈리즘의 새로운 신화들>, <20세기 사상지도>(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거의 석유 없는 삶>, <자본주의의 새로운 신화들>,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등이 있다.
펼치기
성일권의 다른 책 >
안치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ESG연구소 소장. 아주대 융합ESG학과 특임교수, 국가기술표준원 ESG전문위원회 위원 등 지속가능성과 ESG, 사회책임 분야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영화, 문학, 미술, 신학 등을 공부하면서 관심 있는 분들과 토론하고 여러 매체에 글을 쓴다. 한국영화평론가협회·국제영화비평가연맹 회원이고,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과 생활ESG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지냈다. 문화예술비평지 ‘크리티크M’ 발행인이다. 경향신문에서 22년을 기자로 일했다. 연세대 문과대학을 1991년에 졸업하고, 서강대에서 경제학 석사(2009), 경희대에서 경영학 박사(2013) 학위를 받았다. 한신대에서 신학대학원(석사ㆍ2021)과 신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청소년을 위한 ESG』, 『선거파업』, 『한국자본권력의 불량한 역사』, 『지식을 거닐며 미래를 통찰하다』, 『착한 경영, 따뜻한 돈』, 『트렌치 이코노믹스』, 『코로나 인문학』, 『ESG 배려의 정치경제학』 등 40여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안치용의 다른 책 >
앙리 라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외과 의사, 신경생물학자, 철학자. 외과 의사로 출발해 기초과학 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 외상 환자의 수술 쇼크를 막기 위한 인공 동면 요법을 고안했으며, 이를 위해 최초의 신경안정제 클로르프로마진을 개발했다. 1951년 클로르프로마진을 정신 질환 치료에 처음 도입했고, 그 밖에도 향정신성 작용을 하는 수많은 분자를 발견했다. 외부 공격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을 연구해 주요 증후군의 병태생리학적 발병 기전을 밝혀냈고, 새로운 마취 소생법을 고안했다. 라보리가 1958년 부시코병원에 설립한 근긴장생리학연구소(CEPBEPE)는 외부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출원한 특허 수익만으로 운영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Biologie et structure(생물학과 구조)》(1968년), 《La Nouvelle grille(새로운 틀)》(1974년), 《La Colombe assassinee(살해된 비둘기)》(1983년) 등 과학과 철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등 인간 행동에 관한 책 30여 종을 집필했다. 1960년 생리생물학과 약리학의 국제 학술지 《아그레솔로지(Agressologie)》를 창간해, 1983년까지 편집인을 역임했다. 누벨바그의 거장 알랭 레네 감독이 만든 영화 〈내 미국 삼촌(Mon oncle d’Amerique)〉(1980년)의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하고 출연하기도 했다. 래스커상(1957년), 레지옹도뇌르훈장(1967년) 등을 받았다.
펼치기
앙리 라보리의 다른 책 >
장 마르크 레비 르블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니스대학교의 명예교수로 물리학자이자 과학비평가이다. 국제철학학교(CIPh)에서 프로그램 이사로 임했으며, 쇠이유 출판사의 과학 컬렉션을 담당하며 과학의 문화화에 힘썼다. 이론물리학, 수학, 인식론에 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과학과 문화, 기술을 다룬 잡지 『알리아주(ALLIAGE)』를 창간했다. 『프랑스 아이의 과학 공부』, 『물질이란 무엇인가』 등 수많은 저서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로랑 코르도니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자. 프랑스 릴 대학 교수. 주요 저서에 『Le surcoft du capital : la rente contre lactivite 자본의 추가비용: 활동 대비 연금』(2015), 『La liquidation, Les liens qui liberent 청산』, 『자유로운 속박』(2014) 등이 있다.
펼치기
베르나르 뒤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피에르 에 마리 커리 대학교, 파스퇴르 연구소 명예교수, 프랑스 과학아카데미 회원. 진핵 유기체의 유전 물질, 조직, 역동성, 기능과 진화 등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에 『Trajectoires del la genetigue 유전학의 궤도』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필리프 데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기자. <마니에르 드 부아르> 편집위원 제167호(2019년 10~11월) ‘인구 폭탄’의 책임 편집을 맡았다.
펼치기
필리프 데캉의 다른 책 >
샤를 페라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 저널리스트, 상귤리에 콜렉티브(Collectif Singulier, 독립 저널리스트 공동체) 회원.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마리안느》등에 기고하고 있다. 기욤 르누아르와 함께 콜렉티프 생궐리에(Collectif Singulier) 소속 언론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샤를 페라쟁의 다른 책 >
오렐리앵 바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제프 푸리에 대학 교수, 프랑스대학연구소 회원. 천체입자물리학, 블랙홀, 우주론 전문가. 그레노블 이론물리학 센터 이사. 양자 블랙홀과 원시 우주론에 대한 연구로 2006년 부글리우보프상 (Sug oliuoor prize), 아원자 물리학 연구로 2012년 유럽 티보상(Duropean Thibaud prize)을 각각 수상했다. 주요 저서에 『Des univers mutiples 멀티 유니버스』 (2014), 『Big bang et au-dela 빅뱅과 저 세상』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에블린 클레망 (지은이)    정보 더보기
CY 세르지 파리대 교수, PARAGRAPH 연구소 부소장. 심리학, 정보과학,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하여 인지적 유연성, 문제 해결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파브리스 기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교수. 인지 심리학과 실험 심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기 티베르기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르노블 사회과학대와 리용 1 대학교 교수 역임. 인지과학을 연구하고 있다. 파브리스 기욤과 공저로 『Le cerveau n'est pas ce que vous penser, Images et mirages du cerveau 뇌는 당신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 뇌의 영상과 신기루』 (2013)가 있다.
펼치기
브뤼노 비비코르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심리학자. 인지심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자크 테스타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생물학자. 1982년 프랑스 최초로 시험관 아기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다. 프랑스 국립 보건·의료연구원 명예 연구이사, 프랑스 지속가능 발전위원회(CFDD) 위원장을 역임했다. 인간과 동물의 자연분만, 인공출산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생명의학의 대중화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과학평론가의 역할을 수행했다.
펼치기
도미니크 레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 산하 그르노블 빙하학·지구물리학·환경 연구소(LGGE) 명예소장,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페널(IPOO) 회원.
펼치기
이브라힘 와르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 교수. 플레치 법률·외교 대학원에서 국제 비즈니스를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Islamic Finance in the Clobal Bconomy』 (2013), 『The price of fear: The Truth behind the Financial War on Terror』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리샤르 몽부아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르노블 '탈경계 비평과학연구회'(Cortecs) 연구원. 회의주의에 관한 과학교육 부문을 연구하며, 다른 학자들과 함께 비판적 사고와 과학에 관한 학제적 연구 모임을 창설하였다.
펼치기
마르크 빌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연구부장, 리용 국제암연구소 연구 책임자. 중요 저서에 『Comment(et pourguol) vieillissons-nous? 어떻게 (그리고 왜) 나이를 먹는가?』 (공저, 2011)가 있다.
펼치기
캉텡 라벨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연구원. 주요 저서에 『La strategie de la bacterie, une enquete au coeur de Iindustrie pharmaceutique 세균 전략, 제약산업의 중심에 관한 설문조사』(2015), 『Les briques rouges : logement, dettes et luttes sociales en Espagne 붉은 벽 돌: 스페인의 주택, 채무, 사회적 투쟁』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엘리자 페리괴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 저널리스트. 이민 문제와 사회운동에 관심을 두고 보도를 한다. 《르몽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라 트리뷘 드 즈네브》 등에 기고하고 있다. 지중해와 영국 해협을 통과하는 난민들을 현장 취재 및 심층 보도하여 2015년과 2017년 두차례 유럽 바이스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엘렌 리샤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언론인. 중동, 러시아, 동유럽 전문기자로 활동하며 젠더 갈등과 성폭력 문제 등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의견을《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기고하고 있다.
펼치기
엘렌 리샤르의 다른 책 >
장 클로드 페케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천체물리학자, 파리 천체물리학연구소 대표. 1964년부터 1988년까지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 역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펼치기
티에리 르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문기후학자. 프랑스개발연구소(IRD)와 그르노블 환경지구과학연구소(IGE)의 연구 소장. 열대기후와 물순환 전문가로 특히 서아프리카에 장기관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코로나19라는 위기가 닥치자, 사람들은 상식을 포기하고, 사실 검증과 실험, 관찰을 통한 확인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과학에 과도한 기대를 쏟아 부으며, 완벽한 확신, 정확한 예측을 요구하거나 ‘위대한 인간’이라는 비전을 과대평가하며 과학의 원리와 한계를 넘어서려 한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주장했던 대로 ‘감각에서 정신을 분리’하려면 ‘유일한 해답’에만 매달리지 말고, 지식의 가속화를 이해해야 한다.”
- 필리프 데캉


“빅뱅을 우주의 탄생 순간으로 고찰할 때 근본적인 장애물을 만나게 된다. 무엇인가에 의해 창조된 것도 아니고 수학적으로도 모호한 이 시작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이다. (“우주는 시간 속에서 창조됐다. 따라서 창조자가 있어야 한다. 그 창조자는 하느님이다”라고 선언한 교황 피우스 12세의 말 속에 이 문제의 난점이 숨어 있다.) 빅뱅 이론은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측에 근거한다. 그러나 일반상대성 이론은 빅뱅 이론에 이르러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미시적 세계에 관한 물리학인 양자역학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 오렐리앵 바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