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턱의 청년들

문턱의 청년들

(한국과 중국, 마주침의 현장)

조문영, 류연미, 김수아, 이응철, 유빙, 양승훈, 채석진, 김기호, 우자한, 한선영, 문경연, 펑진니, 이보고 (지은이)
책과함께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턱의 청년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턱의 청년들 (한국과 중국, 마주침의 현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1432275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1-10-29

책 소개

한국과 중국에서 살아가는 청년들, 그 다른 듯 비슷한 삶의 모습을 현장에서 들여다본다. 한중청년들의 삶의 서사에서 주로 등장하는 주제(교육, 취업과 노동, 창업, 주거와 지역, 소비, 연애와 결혼, 인터넷문화, 대안적 생애기획)를 정해 현장연구를 통해 살폈다.

목차

들어가며 │조문영│

1부 친밀성의 풍경

1 함께 머물러 살기 — 서울 청년 여성들의 공동주거전략 │류연미│
2 불안을 말하는 청년 여성과 역차별을 주장하는 청년 남성 │김수아│
3 결혼과 비혼, 고달픈 갈림길에 선 상하이 여성 │이응철│
4 어둠 속의 빛 — 쇼장방송(秀場直播)으로 삶을 변화시키려는 여성들 │유빙│

2부 일터와 삶터

5 공장 찾아가기와 공장 벗어나기 — 동남권 학생들의 일경험과 구직 │양승훈│
6 배달 플랫폼 노동 청년들의 숨쉬기 │채석진│
7 베이징에서 살아남기 위한 분투 — 불평등과 능력주의 서사 │김기호│
8 90년대생 베이징 토박이의 ‘유서 시대(遺書時代)’ │우자한│

3부 마주침의 장소들

9 테크노-소셜 밸리의 (비)연결 — 사회혁신 스타트업의 청년들 │조문영│
10 청년과 북한의 마주침 — 에필로그의 시간과 유령의 시간 │한선영│
11 접경도시 샤먼에서 마주한 ‘대만 청년’들 │문경연│
12 대륙 언니들이 왔다 — 중국 한류 팬덤의 한국 이주 │펑진니│
13 중국 유학생과 “우리만의 글로벌” │이보고│

필진 소개

저자소개

조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빈곤이란 주제를 새롭게 등장시키는 작업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The Specter of “The People”, 『빈곤 과정』을 썼다. 엮은 책으로 『동자동, 당신이 살 권리』 『문턱의 청년들』 『민간중국』 『우리는 가난을 어떻게 외면해왔는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분배정치의 시대』가 있다.
펼치기
채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영국 서섹스대학에서 삶의 취약성과 디지털 미디어 사용의 관계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미디어인류학적인 방법으로 디지털 미디어 확산 속에서 구성되는 새로운 양식의 삶, 노동, 정치를 연구해 왔다. 저서 : 『문턱의 청년들』 (2021, 공저),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2018, 편저),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2018, 공저), 『한국 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 정치』(2011, 공저), 『글로벌 시대 미디어 문화와 다양성』(2006, 공저)
펼치기
이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대 문화인류학전공 교수. 중국, 대만, 한국 청년들의 생활세계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글로벌 문화자본의 기대와 차별의 경험 사이에서: 호주 중국인 유학생들의 일상과 생활〉,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의 팬이다: 팬덤의 확산, 덕질의 일상화, 취향의 은폐〉가 있다.
펼치기
김수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여성학협동과정 부교수,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연구원으로 미디어와 젠더, 디지털 문화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안전하게 로그아웃》, 《게임콘텐츠와 젠더 재현》, 《한류: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아의 다른 책 >
류연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청년들의 노동, 주거, 정치 등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실천들을 찾아내고 해석하는 데 관심이 많다. 현재는 청년들의 비정형 노동과 한국사회에서 일-노동의 의미 변화에 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유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류학과 박사과정. 중국 디지털 문화와 인간의 실천 양식에 대해 관심이 많고, 인터넷 개인방송과 게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중국 ‘쇼장방송(秀场直播)’에 몰려드는 여성 BJ들: 기회와 함정 사이에서〉가 있다.
펼치기
김기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국제대학 겸임교수. 경제인류학의 관점에서 중국의 계층 구조 및 소유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중국 사회변동 연구에 있어서 신자유주의 이론틀의 재고찰: 산둥성 포도주 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가 있다.
펼치기
우자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베이징 출신으로,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일제강점기에 문필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작가에 관한 연구로 논문들을 썼다. 최근에 ‘4·19 세대’의 문학세계와 1990년대 한중 에로틱 문학의 양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한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연구자.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석사. 남북 청년교류활동과 공론장에서 펼쳐지는 미래성의 정치에 대해 학위논문을 썼고, 인프라스트럭쳐와 포스트 사회주의의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다. 현재는 북한을 바라보는 시선의 윤리적 문제를 짚는 에스노그래피를 탐색 중이다.
펼치기
문경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창원대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과 대만으로 결혼이주한 중국 여성들의 생애사에 관심이 많고, 최근에는 중국과 대만을 넘나드는 사람들의 일상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대륙배우자는 말한다: 대만내셔널리즘과 중국 출신 결혼이주자의 정치운동〉, 〈‘내 꿈을 고이 접어 나빌레라’: 타이베이시의 춤추는 양안(兩岸) 결혼이주여성들〉이 있다.
펼치기
펑진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문화학협동과정 석사. 한국으로 이주한 중국 한류 여성 팬덤에 관해 학위논문을 썼다. 팬덤과 한류에 관심이 많고, 현재는 중국 IT 회사 ByteDance에서 틱톡의 한국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펼치기
이보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 글로벌자율전공학부 교수. 중국 청년들의 이동과 이주, 그리고 이들의 도시 정착 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다. 주요 논문으로 〈“베이피아오(北漂)”의 부유(浮遊)와 도시 공간의 의미〉, 〈신형성진화(新型城镇化) 개념 속 신세대농민공에 대한 시민화 전략 비판〉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들어가며
사실 우리의 경험 세계에서 ‘중국’, ‘한국’, ‘서구’를 명확히 구별하기란 간단치 않다. 내전 같은 돌발 사태가 아니라면, 국경 너머의 삶은 의외로 비슷하다. 초국적 금융, 첨단기술, 각종 비즈니스가 밀집된 글로벌 도시라면 더더욱 그렇다. 사람, 상품, 서비스, 제도, 지식, 사상, 콘텐츠, 아이템, 맛 등등, 숱한 이동, 연결, 접속의 과정에서 순수하게 ‘한국적’, ‘중국적’인 것을 가려내기란 쉽지 않다. 정치에 관한 한 한국과 중국이 상극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까?


1 함께 머물러 살기 - 서울 청년 여성들의 공동주거전략
결혼은 누구와 살 것인가의 문제만큼이나 어떻게 어디서 살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비혼이라는 선택은 청년들의 주거 문제와도 직결된다. 청년들의 주거 문제, 특히 청년 여성의 주거 문제를 다룰 때 발생하는 난점은 이것이 이행기 청년의 일시적인 과정으로 이해되기 쉽다는 점이다. 주거가 가족과 맺고 있는 긴밀한 관계를 고려할 때 청년의 주거 문제란 ‘아직’ 결혼을 통해 ‘정상가족’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언젠가 그러한 생애경로를 밟아 나갈 청년 1인 가구를 그 대표적 표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혼인을 통해 가족 기반의 주거 안정성을 획득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열악한 주거환경을 감당하며 혼자 산다는 납작한 선택지를 모두가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 글은 비혼 여성으로서 지속가능한 집-가족을 실천하고자 했던 한 청년 가구 구성원들의 주거사 및 주거전략에 대한 기록이자, 지금 이곳에서 청년 여성들이 함께 머물러 산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해석이다.


2 불안을 말하는 청년 여성과 역차별을 주장하는 청년 남성
최근 안티 페미니즘의 주요한 기조는 페미니즘이 역차별을 조장하는 불평등 사상이라는 인식에 근거하는데, 특히 이것이 청년 세대와 관련되어 문제가 되는 것은 과거의 성차별 문제를 지금 해결하려고 하고 있고, 특히 현재 정부가 이를 주도하고 있다는 인식 세계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 남성은 과거의 성차별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나 그렇다고 해서 현재의 여성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과거의 차별에 아무런 책임이 없는 현재의 젊은 남성들을 차별하는 것이라고 본다. 역차별 담론은 현재를 기점으로 일단 성별 갈등으로 표출되며, 과거의 성차별을 현재에 교정하는 것이므로, 현재의 20대 여성은 과거의 성차별을 보상받는 주체로, 20대 남성은 과거의 성차별 때문에 피해를 받는 주체로 그려지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