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91198026019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3-02-09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며 _함돈균
• 정상의 병리성: 사회를 구해야 한다 _김누리
• 리터러시: 우리 삶과 세상을 바꾸는 공동체적 인지능력 _조병영
• 새로운 커뮤니티 경제생태계 그리고 사회의 미래 _문영훈
• 공론장: 옛 권력의 빈공간에 새로운 생명의 힘 불어넣기 _박태순
• 지금: 미래가 존재할 마지막 시간 _조천호
• 코로나 여신과 살림의 영성: 네 안에 있는 ‘그것’을 꺼내라! _현경
• 코로나 이후 아시아의 역할과 사회디자인 _나성섭, 김길홍
• 생각을 생각하다 _함돈균
저자소개
책속에서
“1인당 국민소득 대비 대학등록금 1위는 미국이 아니라 한국입니다. 간단히 말해 세계에서 등록금이 가장 비싸고 가장 기형적인 사립대학 체제 속에 한국 대학이 있는 거예요. 이 현실이 뜻하는 게 뭐겠어요? 교육이라는 것 자체를 정부에서 한 번도 신경 써본 적이 없는 거죠. 입시정책은 진정한 의미의 교육정책이 아니에요. 아주 일부 선발제도에 불과하죠. 한국은 대학정책도 없고 학문정책도 없어요. 우리 학문이 어디로 갈지, 그런 고민이 없어요. 교육부에서 하는 정책이 오로지 입시정책이죠. 있을 수 없는 일이에요.” _김누리
“인간이 문명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건 문명적으로 배울 수 있기 때문이죠. 그 오랫동안의 인류 역사, 다양한 형태의 사회 공동체에서 경험한 배움이라는 진화적 활동의 핵심이 읽기예요. 리터러시는 그것을 가장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이고요. 즉 우리가 생각하고 살아가는 방식, 그래서 우리가 진화하는 방식, 다름 아닌 우리가 배우는 방식인 거죠.” _조병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