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앎의 한계에 도전하는 용감한 지식인들의 과학 이야기)

금태섭, 채연석, 이강환, 이정모, 이명현, 정지우, 이기진, 김창규, 정소연, 박성민, 박상준, 이강영, 도영임, 문홍규, 고산, 이창환, 김우재, 김찬주, 문병철, 박성찬, 안형준, 이정은, 황재찬 (지은이)
사이언스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앎의 한계에 도전하는 용감한 지식인들의 과학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8371655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3-12-26

책 소개

23인의 대한민국 지식인의 지적 탐험기. 다양한 삶의 경험 속에서 우리가 이제껏 생각하지 못했던 수많은 경계와 마주치고 그 너머 미지의 세계를 향해 용감히 나아가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목차

머리말
당신은 미지의 세계에 어떤 응답을 외칠 것인가? ● 국형태 7

1부 삶
불가지라는 이름의 게으름 ● 김창규 15
법률가의 자연 과학 공부 ● 금태섭 25
내 마음속의 3채널 시스템 ● 이정모 33
미지, 경계와 기업가 정신 ● 고산 43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 보기 ● 박상준 51
나는 사라진다, 저 광활한 우주 속으로 ● 이명현 61

2부 우주
우주여행의 한계 ● 채연석 73
외계 생명체의 지구 침공은 가능할까? ● 이강환 83
인간과 우주의 경계: ‘우주 사회학’은 가능한가? ● 안형준 91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한계는?: 중력파와 블랙홀 ● 이창환 103
한계: 그 세 가지 이야기 ● 문홍규 113

3부 인간
여기 존재하는 어떤 경계에 대해 ● 정소연 125
다양성 영화와 상업 영화의 절벽 같은 경계 ● 정지우 133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미지의 나를 만나다 ● 도영임 141
경계의 충돌: 인도주의적 개입 ● 문병철 149
경계의 위험 ● 박성민 157
역사 철학자들의 자연 이해 ● 이정은 167

4부 과학
과학적 미래와 현실과의 괴리 ● 이기진 183
여행에의 초대 ● 이강영 189
통섭의 경계 ● 김우재 201
플랑크 에너지를 넘어서 ● 박성찬 211
재야 과학자들, 그리고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 ● 김찬주 219
근대의 신화와 추락하는 인간 ● 황재찬 227
사진 저작권 238

저자소개

채연석 (감수)    정보 더보기
미국 미시시피 주립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우주기술연구부장으로 활동하며 조선 세종 때 로켓인 신기전을 찾아내 복원했습니다. 한국 최초로 국산 액체 추진제 과학 로켓 개발에 성공해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을 받았습니다. 6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한국우주소년단 부총재로 활동했으며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 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눈으로 보는 로켓 이야기》, 《눈으로 보는 우주 개발 이야기》, 《우리는 이제 우주로 간다》 등과 감수한 책으로는 《나는 알아요: 별과행성》, 《나는 알아요: 태양 지구 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채연석의 다른 책 >
이강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천문학자, 우주기술 기업 ㈜스펙스 이사.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영국 켄트대학교에서 로열 소사이어티 펠로우로 연구를 수행했다.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전시팀장,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정책보좌관을 역임했다. 지금은 천문학 기반의 우주기술 회사를 창업해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빅뱅의 메아리』, 『우주의 끝을 찾아서』, 옮긴 책으로 『신기한 스쿨버스』 시리즈, 『아주 위험한 과학책』, 『더 위험한 과학책』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와 같은 대학원에서 생화학을 공부하고 독일 본 대학교에서 유기화학을 연구했지만 박사는 아니다. 안양대학교 교양학부 교수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서울시립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을 지냈다. 대중의 과학화를 위한 저술과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찬란한 멸종』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 『과학이 가르쳐 준 것들』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과학관으로 온 엉뚱한 질문들』 『달력과 권력』 등을 썼다.
펼치기
이명현 (감수)    정보 더보기
천문학자이자 ‘과학책방 갈다’ 대표. 어려서부터 도서관을 놀이터처럼 드나들었다. 학교 도서관 문을 가장 먼저 열고 들어가던 소년은 어느덧 ‘과학책방 갈다’에서 대중 강의와 문화 행사를 주관하면서 과학으로 사람들을 잇는 일을 하고 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네덜란드 캅테인연구소 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연세대학교 천문대 책임연구원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이명현의 별 헤는 밤》, 《이명현의 과학책방》, 《지구인의 우주공부》, 《살아 보니, 지능》(공저), 《별먼지와 잔가지의 과학 인생 학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다. [생강] 등 여러 편의 단편을 연출하였으며 옴니버스 영화 [다섯 개의 시선]에 참여했고 장편영화 [해피엔드], [사랑니], [모던보이], [은교]를 연출했다.
펼치기
이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씨엘(걸그룹 2NE1 리더) 아빠로서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시선을 모았다. 씨엘은 아빠에게 단 한 번도 “안 돼”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전했다. ‘못할 거 뭐 있어!’ 명쾌한 태도가 로봇 캐릭터 ‘뚜띠’를 태어나게 했고, 일상 아티스트 이기진을 만들어가고 있다. 서촌의 한옥 갤러리 ‘창성동 실험실’을 운영하며 연애하듯, 그림 그리는 시간을 매일매일 만나고 있다. 연구실 책상 위 서류, 낡은 쇼핑백, 우편 봉투도 그만의 캔버스가 되어 유쾌한 시선이 담긴다. 교양 물리학, 에세이, 동화 분야를 넘나들며 쓴 책으로 『이기진 교수의 만만한 물리학』 『우주 말고 파리로 간 물리학자』 『서울 꼴라쥬』 『꼴라쥬 파리』 『뚜띠의 모험』 외 여러 권이 있으며, 서촌 풍경을 담은 책을 준비하고 있다. 서촌과 파리의 골목골목을 사랑한다. 그림은 나에게 또 다른 우주였다. 나에게 있어 그림 그리기는 물리학이 준 스트레스를 푸는 수단이 아니었다. 또 다른 열정의 세계였고 세상을 직선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곡선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안겨주었다.
펼치기
김창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2005년 과학기술문예 중편 부문 당선. SF작가이자 번역가. 주요 저서로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삼사라』, 『우리가 추방된 세계』가 있고, 주요 번역서로 『이중 도시』, 『유리감옥』, 『뉴로맨서』 등이 있다.
펼치기
정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했고, 2005년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에서 스토리를 맡은 만화 〈우주류〉로 가작을 수상하며 활동을 시작한 이래 소설 창작과 번역을 병행해왔다. 《EPI》 《오늘의 SF》 편집위원,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초대 대표로 일했다. 《팬데믹》 《언니밖에 없네》 등에 작품을 실었고, 지은 책으로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공저) 《이사》 《세계의 악당으로부터 나를 구하는 법》 《앨리스와의 티타임》 《미정의 상자》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어둠의 속도》 《루나》 《이름이 무슨 상관이람》 《허공에서 춤추다》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대표적인 정치컨설턴트. 20년 넘게 수많은 선거를 치렀다. 박성민 대표와 함께 일한 정치인들은 위기 상황에서 그가 보여 주는 직관과 돌파력에 높은 평가를 보낸다. 그는 “정치컨설팅이란 소리 나지 않고 조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컨설턴트의 영역은 무대 뒤이며 무대 위의 주인공은 정치인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가 어떤 정치인들을 컨설팅 했는지는 외부에 거의 드러나지 않는데, 이는 정치인들이 그를 신뢰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자신을 찾아오는 클라이언트에 대해서는 정파나 당선 가능성을 구분하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는 프로 정치 컨설턴트로서의 사명감 역시 그를 신뢰하게 하는 요인이다. 언론의 단골 정치사회 코멘테이터이기도 한 그는, 현장에서 터득한 감각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존 정치평론가들에게서 볼 수 없는 예리하고 독창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독서와 사색, 영화 보기를 즐기는 그는 1991년 설립한 정치 컨설팅 그룹 MIN(www.minconsulting.com)의 대표이다. 정치 게임에서 승리하는 스무 가지 법칙을 담은 『강한 것이 옳은 것을 이긴다』를 지었고, 그 외에 『불량 사회와 그 적들』(공저), 『불확실한 세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속/직위: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전공: 한국문학 학위취득대학: 서울대학교
펼치기
이강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 KAIST 연구교수 및 고등과학원, 서울대 이론물리학연구센터, 연세대학교 연구원을 거치며 힉스 보손, 암흑물질, 게이지 이론 등에 관해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LHC에서 SND@LHC 실험에 참여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스핀》(계단, 2018), 《불멸의 원자》(사이언스북스, 2016) 《보이지않는 세계》(휴머니스트, 2012),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사이언스북스, 2011) 등이 있다.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으로 제52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문홍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으면서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웠다. 연세대학교에서 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천문연구원에서 행성과학을 연구하고 있다.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 대표 겸 사무국장으로 일했으며, 지금은 UN 평화적우주이용위원회 근지구천체 전문가 그룹인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 한국 대표, 국제우주연구위원회 한국위원회 위원이다. 최근에 NASA 쌍소행성 궤도변경시험 연구팀으로 일했다.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과학수다 1》 《2030 화성 오디세이》와 《궁극의 질문들》에 공저자로 참여했고, 《하늘을 보는 눈》과 《침묵하는 우주》를 공역했다.
펼치기
고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타이드 인스티튜트 대표.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했으며, 2008년 한국 최초의 우주인 탑승자로 선발된 바 있다. 이후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공공정책을 연구했다. 사회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기업가 정신을 가진 젊은이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2011년 타이드 인스티튜트를 설립해 젊은이들의 창업을 돕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 그리고 글로벌 창업트렌드에 대한 담론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우리 사회에 새로운 정보를 빠르게 순환시키기 위해 [타이드 인사이트 시리즈]를 기획했다.
펼치기
이창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중성자별 내부 구조에서 출발해 블랙홀과 중력파에 이르기까지 중성자별 관련 물리 및 천체 물리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우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찬주 (감수)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입자물리학 이론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양자장론의 여러 주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2006년 한국물리학회의 ‘백천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그의 강의가 SBS,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교육개발원이 10년간 선정하는 ‘대학 100대 좋은 강의’의 첫 다섯 강의 중 하나로 꼽혔다. 2015년부터 K-MOOC에서 ‘현대물리학과 인간사고의 변혁’이라는 교양 물리학 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현재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에 ‘물리학으로 세상을 보는 경이로움’을 연재 중이다. 저서로는 『어느 물리학자의 세상 보기』가 있다.
펼치기
문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박성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안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황재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천문학 학사를 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에서 천문학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경북대학교에서 천문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분야는 우주론이며 우주생물학에 관심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