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91510067
· 쪽수 : 439쪽
· 출판일 : 2005-08-03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서설 - 과거청산,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_ 안병직
1부 사법적 청산과 숙청
사법적 청산에서 역사적 성찰로 : 독일의 사례_ 송충기
프랑스의 대독협력자 숙청_ 이용우
프랑스 문단과 과거청산_ 유진현
2부 진상규명과 사면
진실과 화해 : 남아공의 과거청산_ 이남희
아르헨티나의 군부 독재와 '추악한 전쟁'의 청산_ 박구병
칠레의 이행과 과거청산_ 이성훈
3부 기억과 망각
청산 없는 과거청산? : 스페인의 사례_ 김원중
내전의 기억과 스페인의 과거청산_ 임호준
스탈린 체제와 러시아의 과거청산_ 김남섭
식민 지배의 기억 : 알제리전쟁과 프랑스 사회_ 노서경
보론 - 과거청산과 역사서술 : 독일과 한국의 비교_ 안병직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과거 규명 작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불행한 과거사에 대한 성찰 없이는 과거청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과거청산은 단순히 처벌과 단죄를 통해 심리적 카타르시스를 얻으려는 시도가 아니라 오히려 성찰과 관용을 통한 미래 지향적인 노력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과거청산은 가해 및 피해 당사자뿐 아니라 한 사회 전체가 자기 정체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부딪히고 애도해야 할 문제로서 불행한 과거사의 진상과 책임 규명의 차원을 넘어 그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노력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그리하여 과거청산의 진정한 의미는 과거 성찰에 있다 할 것이며, 과거청산 작업은 궁극적으로 과거 규명보다 과거 성찰의 측면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 본문 3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