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8765898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7-01
책 소개
목차
총론_ 식민지 조선의 항일 문화운동과 개벽 / 정진석
1. 근대사상 선도, 민족주의 이념 추구 2. 민족운동: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3. 문학사에 남을 작품들 4. 문화운동, 여성, 어린이 5. 잡지 언론 역사에 이정표
1부 천도교와 개벽사
◾청오 차상찬과 천도교 / 성주현
1. 머리말 2. 천도교 입교와 청년단체 활동 3. 천도교 문화운동과 ‘조선문화’ 조사 활동
4. 맺음말
◾청오 차상찬의 개벽사 활동 / 박길수
1. 들어가는 말 2. 시대 구분으로 본 차상찬의 생애 3. 청오 차상찬과 강원도 4. 나오는 말
2부_ 문화와 문학
◾차상찬의 민족문학 발굴 공적 / 심경호
1. 머리말 2. 차상찬의 인문지리지와 세태 보고서 작성
3. 《개벽》의 김삿갓 시 모집과 차상찬의 김삿갓 평설 4. 차상찬의 야사 편찬과 야담 소설
5. 맺는 말
◾차상찬의 지방사정 조사와 조선문화 인식 / 김태웅
1. 서언 2. ‘조선문화의 기본조사’의 추진과 내용상 특징
3. 조선문화 인식의 기조와 현실 비판 4. 결어
◾식민지 조선의 문화기획자 차상찬 / 송민호
1. 들어가며 2. 《개벽》을 지나 《별건곤》으로
3. ‘조선문화’에 대한 ‘취미’ 담론의 구축 4. 독물(讀物)과 야담(野談) 5. 나가며
◾차상찬의 민요 수집과 유형 연구 / 유명희
1. 머리말 2. 차상찬과 『조선민요집』 3. 《개벽》과 《별건곤》 수록 민요 목록 비교
4. 춘천 지역 민요와 현실 인식 5. 맺음말
◾차상찬의 아동문학 / 오현숙
1. 머리말 2. 아동문학 작가로서 차상찬과 논쟁점 3. 아동서사의 분류와 체계
4. 복원의 특수성 5. 맺음말
◾1920-1930년대 언론계와 차상찬의 위치 / 야나가와 요스케
1. 들어가며 2. 개벽사의 문화운동과 차상찬 3. ‘신문 발달사’ 서술과 그 특징
4. 나오며
◾차상찬 필명 연구 / 정현숙
1. 들어가며 2. 필명 확인 3. 나가며
◾부록
1. 차상찬 연보 2. 차상찬 글 목록(《개벽》) 3. 차상찬 관련 기사·연구 목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제강점기 35년 사이에 발행된 잡지 가운데 가장 혹독한 탄압을 받고 큰 희생을 치른 잡지는 《개벽》이다. 《개벽》은 세 차례에 걸쳐 죽었다 살아나는 과정을 되풀이하였다. 제1차는 창간되던 1920년 7월부터 1926년 8월까지 72호가 발행된 기간이다. 3·1운동의 열기가 뜨겁던 1920년대 전반에서 후반으로 넘어오던 6년 사이에 수많은 압수, 삭제 처분과 정간과 벌금을 한 차례씩 당하는 가시밭길을 걷다가 폐간의 비운을 맞았다.
청오 차상찬은 1887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하여 1904년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중략) 1910년대 천도교 기관지 《천도교회월보》에 학술적 글을 게재한 이후 천도교단에서 발행한 《개벽》 창간 동인으로 참여하여 제72호로 폐간될 때까지 일관되게 편집인으로 활동하였다. 이 외에도 《제일선》, 《혜성》, 《어린이》, 《조선농민》 등 천도교 관련 출판물에 많은 글을 기고한 바 있다. 그뿐만 아니라 1922년 3월 천도교청년회 간무로 선임되어 청년운동의 중심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청오 차상찬은) 왕성한 집필 활동과 함께 중요한 것이 일제의 탄압에 맞서 언론 자유 활동을 전개하는 일이었다. 1924년 언론인 단체인 ‘무명회’ 등 31개 단체가 모여 결성한 ‘언론집회압박탄핵회’ 실행위원으로 참여한 이래, 1925년에는 전조선기자대회 집행위원으로 참여하였다. 이러한 활동과 필화사건으로 차상찬은 1926년에는 6.10만세 관련 예비 검속16된 데 이어, 1927년 개벽지 필화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