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동아시아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김윤태, 박은홍, 조희연, 조명래, 밥 제솝, 전병유, 윤상우, 나이링 섬, 왕젠환, 김대환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사
· ISBN : 978894603105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03-04-15

책 소개

동아시아 발전 국가의 변화의 성격과 방향을 개념화하고 분석하여 발전국가 자체의 변화를 해명하고 있다.

목차

제1부 이론과 관점
제1장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발전국가론'의 재검토 / 김대환
제2장 지구화, 탈조절화, 탈국가화 / 조명래
제3장 발전국가와 지식주도 경제 / 밥 제솝
제4장 동아시아의 자본주의 발전과 국가변화: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 구성 / 조희연

제2부 동아시아의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사례연구
제5장 위기, 경제변화, 국가의 전환: 타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비교 / 박은홍
제6장 배태된 수출주의와 거버넌스: 홍콩과 대만을 중심으로 / 나이링 섬
제7장 '싱가포르 모델'의 형성, 진화, 적응: 예외적 발전국가 / 박은홍
제8장 수출주의의 구조조정: 대만 성장 모델의 이행 / 왕젠환
제9장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위기와 전환: 한국과 대만 비교연구 / 윤상우
제10장 동북아 국가의 경제발전전략 비교 / 김대환

제3부 한국의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제11장 발전국가의 전환: 1980년대 이후 한국 국가의 변화 / 김윤태
제12장 지구화, 경제위기, 그리고 발전국가의 성격 전환 / 조명래
제13장 한국 경제 개혁의 정치경제학 / 전병유
제14장 한국 '발전국가'의 변화와 사회운동: 발전주의와 세 개의 전선(戰線) 변화 / 조희연

저자소개

김윤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교수로 사회학을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 학부 시절 공부보다 노는 것과 여행을 더 좋아했지만, 질풍노도의 시대를 거치며 데모 말고 제대로 해보지 못한 채 졸업했다. 20세기 말 세계사의 격변을 가까이 보기 위해서 유럽으로 건너갔다가 영국 캠브리지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회도서관장, 독일 베를린자유대학 초빙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엔젤레스 캠퍼스(UCLA)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정치, 문화, 사회이론에 관한 책과 논문을 출간했으며, 문학과 예술에서 역사와 뇌과학에 이르기까지 두루 관심이 많다. 사회학이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개선할 수 있는 무술이 되어야 한다고 믿으며, 정부, 정당, 경제단체, 노동조합, 다양한 시민단체와 독서회 등에서 대중 강연에 참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교육부 K-MOOC 최우수강의상, 블루리본강의상, 교육부장관상을 받았다. 네이버 열린연단,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KNN 최강 1교시 등에서 강연을 했다. 학술 저서로 『한국의 발전국가와 재벌』,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불평등이 문제다』(문화부 세종도서), 『정치사회학』, 『문화사회학의 이해』(공저) 등을 출간했다. 대중을 위한 교양서로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문화부 우수교양도서), 『모두를 위한 사회과학』, 『사회적 인간의 몰락』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박은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주주의, 공화주의, 세계시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정치학자이자 동남아시아 지역 연구자로, 현재 성공회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및 동대학 대학원 아시아비정부기구학(MAINS)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대학 교육대학원 원장과 아시아NGO정보센터 소장을 겸하고 있다. 타이 국립 탐마삿대학교 정치학부에서 수학한 바 있고, 타이 왕립 쭐라롱껀대학교 정치경제연구소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동아시아의 전환: 발전국가를 넘어》를 비롯해 여러 저서를 집필했고, 논문으로는 〈포퓰리즘의 아시아적 변형: 탁시노크라시에 대한 라틴아메리카 모델의 적용〉〈탈식민체제로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식민성: 수카르노와 네윈 시기의 혁명노선을 중심으로〉 외에 다수가 있다.
펼치기
조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제18대 환경부 장관 및 제11대 한국환경연구원장을 역임했다. 현실 정책과 시민운동에 참여하면서 자본주의하의 공간환경 문제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를 주로 수행해 왔다. 저서로 『공간으로 사회 읽기』(문광부 우수도서, 2014),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2013), 『지구화, 되돌아보기 넘어서기』(2009), 『현대사회의 도시론』(문광부 우수도서, 2008), 『개발정치와 녹색진보』(2006), 『녹색사회의 탐색』(학술원 우수도서, 2001), 『포스트 포디즘과 현대사회의 위기』(1999)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래의 다른 책 >
밥 제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랭커스터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이자 국가이론의 세계적 대가로 인정받고 있다.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역사사회학자 필립 아브람즈Philip Abrams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케임브리지대학교 다우닝컬리지의 리서치펠로우와 에식스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정치사회학에서 시작된 그의 연구는 국가이론, 정치경제학, 지리학, 거버넌스 연구를 거쳐 문화정치경제학에 이르고 있다. 국가이론 분야의 대표작으로는 『자본주의와 국가The Capitalist State』(1982), 『풀란차스를 읽자Nicos Poulantzas: Marxist Theory and Political Strategy』(1985), 『전략관계론적 국가이론: 국가의 제자리 찾기State Theory: Putting CapitalistStates in Their Place』(1990), 『자본주의 국가의 미래The Future of the Capitalist State』(2002), 『국가 권력: 마르크스에서 푸코까지, 국가론과 권력 이론들State Power: A Strategic-Relational Approach』(2007)이 있다. 나이링 섬Ngai-Ling Sum과 함께 쓴 『조절접근을 넘어서: 자본주의 경제의 제자리 찾기Beyond the Regulation Approach: Putting Capitalist Economies in Their Place』(2006)는 2007년 유럽진화정치경제학회EAEPE: European Association for Evolutionary Political Economy에서 수여하는 뮈르달상Myrdal Prize을 수상했으며, 그 외에도 『문화정치경제학을 향하여: 정치경제학에서 문화의 제자리 찾기Towards a Cultural Political Economy: Putting Culture in Its Place in Political Economy』(2013, 나이링 섬과 공저) 등의 대표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윤상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워싱턴대학교 박사후연구원과 한림대학교 강의전담교수 및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전공 분야는 사회발전론, 비교정치경제, 동아시아 연구이며,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교연구와 세계화시대의 자본주의 변동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나이링 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랑카스터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 현재 랑카스터 대학교 정치 및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 <Rethinking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Culture, Scales and Difference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the Building of Cross-Border Regions> 등이 있다.
펼치기
왕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CLA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 현재 대만 타이중 퉁하이(東海)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 <資本, 勞工, 與國家機器>, <臺灣社會學硏究的回顧與前瞻論文集>(공저), <誰統治台灣:轉型中的國家機器與權力結構>, <社會學與台灣社會>(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노동부 장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인하대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일자리연대 상임대표와 만민토론회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노사관계의 진단과 처방』, 『민주적 시장경제: 원리와 정책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