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복합세계정치론

복합세계정치론 (양장)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

손열, 민병원, 배영자, 전재성, 신성호, 이왕휘, 김치욱, 조현석, 이승주, 이상현 (지은이), 하영선, 김상배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340원
33,6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복합세계정치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복합세계정치론 (양장)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5473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2-08-25

책 소개

복합에 대한 국제정치학적 논의는 1990년대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복합 개념은 탈냉전 이후 변화하는 세계정치에서 주인공과 무대 그리고 연기가 얽히는 모습을 그려내기 위해서 출현했다. 그런데 그 내용을 따져보면, 복합은 그리 쉬운 말은 아니다.

목차

서론_복합세계정치론: 역사적 회고와 전망 / 하영선

제1부_새로운 외교전략의 모색
제1장_미국의 21세기 복합외교전략 / 신성호
제2장_한미 FTA와 통상의 복합전략 / 손열
제3장_네트워크 시대 한국의 복합외교전략 / 이상현

제2부_새로운 구성원리의 부상
제4장_21세기의 복합안보: 개념과 이론에 대한 성찰 / 민병원
제5장_사이버 안보의 복합세계정치 / 조현석
제6장_시스템에서 네트워크로: 세계금융패러다임의 변화 / 이왕휘

제3부_새로운 세계질서의 창발
제7장_세계경제 거버넌스의 복합네트워크와 국가행태의 변화 / 김치욱
제8장_복합네트워크화와 동아시아 지역주의 / 이승주
제9장_원자력발전과 복합세계정치 / 배영자
제10장_동아시아의 복합네트워크 규범론과 한국 전략의 규범적 기초 / 전재성

결론_복합세계정치론의 이해: 전략·원리·질서 / 김상배
대담_복합세계정치론의 탄생과 성장 / 하영선·김상배

저자소개

손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동아시아연구원 원장이자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원장이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이다. 최근 저서로는 『트럼프의 귀환, 미국의 미래』(2025, 공편), 『미중 경제 전쟁과 한국: 경제안보의 부상, 위기와 기회』(2024, 공편), 『개념전쟁』(2023),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2021, 공편), 『2022 신정부 외교정책제언』(2021, 편), 『BTS 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2021, 공편),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2021, 공편),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3, 6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민병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대학원에서 국제정치를 공부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머숀센터(Mershon Center) 펠로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복잡계 이론을 바탕으로 국제정치 현상을 탐구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안보, 문화, 정보기술, 그리고 국제정치 이론 분야에서 다양한 주제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 왔다. 저서로는 『복잡계로 풀어내는 국제정치』(2005)가 있으며, 공동 집필 및 편집 저서로는 『복잡계 워크샵』(2006), 『탈냉전 이후 국제관계와 북한의 변화』(2009), 『집단지성의 정치경제』(2011), 『동아시아의 보편성과 특수성』(2014), 『장소와 의미』(2017),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적 지평』(2018) 등이 있다.
펼치기
배영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 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근무하였고 현재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대만국립대학교 방문교수였으며, 외교부 경제안보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통령실 경제안보 자문위원을 지냈고 과학기술과 세계정치가 만나는 주제, 과학기술외교, 반도체의 세계정치, 첨단기술과 경제안보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배영자의 다른 책 >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는 원장 및 국제안보센터(ISC) 소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 외교학과 학사, 미국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 플레처스쿨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정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방부 아태안보연구소(APCSS) 연구교수(2002~2004년),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객원연구원(2009년)과 워싱턴 이스트-웨스트센터(East-West Center) 객원연구원(2010년) 등을 역임했다. 연구 관심은 국제안보와 미국 외교정책, 동아시아 지정학과 한반도, 한미동맹과 남북관계 등이다. 최근에는 역사상 한반도의 주요 전쟁이 동아시아의 지정학 및 세력 전이와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그리고 21세기 미·중 경쟁 및 세계질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집중하고 있다. 이 책은 안보문제의 백화점과도 같은 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에 더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코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평화협정, 한미동맹, 비핵화, 핵무장, 미사일 방어, 군사위기와 같은 정치화되기 쉬운 문제일수록 관련 분야의 정통이론을 통해 과학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구한말 동북아 패권경쟁의 격전장이었던 한반도가 21세기 미·중 경쟁의 험난한 파도를 어떻게 헤쳐나갈지. 모두의 지혜가 필요하다.
펼치기
조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전문대학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국제정치경제와 국제정치며 주 관심 분야는 정보기술의 국제 정치경제 및 신흥 군사안보다. ‘미국과 EU 간 개인정보 보호 분쟁’, ‘디지털 보호주의’, ‘자율무기체계와 미래 전쟁’ 등을 주제로 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이며, 사회과학대학 학장이다. 싱가포르국립대학(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정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무역기술변환연구센터의 센터장, 양자전략위원회 민간위원,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자문위원회 위원, UC Berkeley APEC Study Center Senior Research Affiliate, Visiting Fellow at Centre for Emerging Technology and Security (CETaS) at the Alan Turing Institute으로 활동하고 있다. 편저서로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경제안보의 부상, 위기와 기회』(공편, 2024), 『패권의 미래: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공저, 2022), 『지경학의 기원과 21세기 전환』(2021), 논문으로 “U.S.‑ China Technology Competition and the Emergence of Techno‑Economic Statecraft in East Asia: High Technology and Economic‑Security Nexus”(2024), “South Korea’s Economic Statecraft in a Risky High-Tech World”(2022) 등이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하영선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 정보세계정치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신흥안보와 사이버·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지난 250여 년 동안 우리 “역사 속의 젊은 그들”이 벌였던 일곱 꿈들의 실천 노력은 일단 실패로 끝났지만 21세기에 겪기 시작한 여덟 번째 꿈의 실천은 두 가지 면에서 과거와 달리 성공의 기회가 있다. …… 지난 일곱 위기에서 다가오는 새로운 질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꾸미려고 추진했던 복합전략은 결과적으로 현실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21세기 세계질서의 주인공, 무대, 연기는 과거의 위기와 달리 빠르게 복합화의 길을 걷고 있는 반면 좁은 의미의 과학에 뒤늦게 함몰된 현대 국제정치학자들의 꿈은 오히려 현실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한국 국제정치학도 한반도가 여덟 번째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려면 좁은 의미의 과학을 넘어서서 보다 넒은 의미의 과학을 실천하려는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한다.


2000년대 들면서 미국은 전략적?안보적 고려와 협소한 경제적 고려의 복합비율을 새롭게 모색한다. 9·11 테러와 중국의 부상과 같이 미국의 안보이익에 대한 도전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거나 가시화되면서 미국은 안보적 고려가 강조되는 복합적 통상전략의 유인이 커지게 되는 반면, 경제적으로 압도적인 지위가 동요하면서 안보적 접근만을 취할 여유가 사라지게 되고 협소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유혹이 강해지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즉, 난처한 상황이다. 미국에게 한미 FTA는 이러한 국제안보적, 국제경제적 지위의 변화 속에서 등장한 사안이다.


2007년 봄 에스토니아 의회의 결정에 따라 소련군 동상인 브론즈 솔저의 이전 움직임이 본격화되자 에스토니아 정부 각 부처 네트워크에 대한 대대적인 사이버 공격이 시작되었다. 4월 27일에는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주요 웹사이트가 전면 공격을 받은 중대한 사태가 발발해 한 달 넘게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에스토니아의 정부, 언론, 방송, 은행의 컴퓨터 네트워크는 일제히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 러시아 정부가 조직적으로 가담했느냐는 점에 대해서 논란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일부 기술적 자료는 일부 사이버 공격이 러시아 정부에 할당된 IP 주소에서 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적 증거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원인을 러시아 정부에 귀속시키는 일이 기술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여튼 동기의 측면에서 러시아 정부가 지목되었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 …… 에스토니아 외무장관은 러시아가 에스토니아를 공격하고 있으므로 유럽연합을 공격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은 가상적이며 심리적이고 실제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점은 에스토니아 사이버 사태가 ‘사이버전쟁’의 성격을 지녔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