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강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맥매스터대학교에서 종교학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캐나다 리자이나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로 북미와 한국을 오가며 집필과 강의, 강연을 하고 있다. 북미 여러 대학과 서울대 등의 객원교수, 미국종교학회 한국종교분과 공동의장, 북미한인종교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제17회 「코리아 타임스」 한국현대문학 영문번역상(장편소설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오강남의 생각』,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 『예수는 없다』, 『오강남의 그리스도교 이야기』, 『세계 종교 둘러보기』,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공저), 『불교, 이웃종교로 읽다』 등이 있고, 노장 사상을 풀이한 『장자』와 『도덕경』이 있다. 번역서로는 『예언자』, 『살아 계신 붓다, 살아계신 그리스도』, 『데이비드 스즈키의 마지막 강의』, 『내 인생의 탐나는 영혼의 책 50』, 『예수 하버드에 오다』, 『귀향』, 『종교다원주의와 세계종교』 등이 있다.
펼치기
한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25년 2월에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 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능엄경 강해 I·II』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펼치기
권명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신학과 목회상담학 교수로 있다. 시카고 신학대학 졸업(Ph.D.), 세인트 폴 대학 졸업(M.A.), 임마누엘 대학 1년 수학, 한신대학교 대학원을 졸업(Th.M.)하였다. 강의와 연구 분야는 “목회적 돌봄, 목회상담, 영성 지도의 통합” “신앙 체험과 영적 성장” “관상 기도와 정신 건강”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교회의 비전과 서번트 리더십”이다. 주요 논문은「신화-시적 남성운동의 이론과 실제」(2000), 「자연주의 영성으로서의 매튜 폭스의 생태 영성」(2007), 「공감과 직면의 이론적 이해」(2009), 「칼빈의 목회훈련연구」(2010), 「성장하는 교회의 관심은?」(2013), 「그리스도교 묵상: 하나님 임재 체험하기」(2015), 「목회상담과 영성지도 관계이해」(2018),「기독교 명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9)[공저] 외 많이 있다.
주요 번역서는 알렌 시걸, 『하인즈 코헛과 자기심리학』(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페리 르피버, 『기도의 생명력: 현대 기도 신학의 이해』(한신대학교 출판부, 2014); 공역: James Finley, 『하나님 임재 체험: 그리스도교 묵상기도』(시그마프레스, 2016); 로버트 키내스트, 『목회 현장 교육: 목회 인턴 지침서』(대한기독교서회, 2018)이다.
펼치기
월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경주 중생사에서 동헌 대선사를 계사로, 도문 대종사를 은사로 사미계를 수지하였고, 해인사에서 고암 대선사를 전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그 후 중국에서 유학하여 중원의 여러 선종 조정을 참학하고, 백림선사, 진여선사, 남화선사, 용천선사 등의 선원에서 안거 정진하였다. 북경대학교 철학과에서 중국 철학을 공부하고 선학을 전공하여 「돈오선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백양사, 화엄사, 마곡사, 봉암사, 정혜사, 벽송사, 대승사, 기기암, 백담사, 한산사 등 제방 선원에서 54안거를 성만하였다. 지리산 벽송사와 영천 은해사 기기암에서 선원장 소임을 지내며 선풍 진작에 힘썼으며, 전국선원수좌회 의장을 역임하면서 선학 정립과 선원 발전에 기여하였다. 지금은 문경 한산사 용성선원에서 정진하며, 사부대중 수행공동체 불이선회를 이끌고 있다.
저서로는 『간화정로』, 『돈오선』, 『친절한 간화선』, 『선원청규』(주편), 『좌선요결』, 『니 혼자 부처 되면 뭐하노』, 『생각 이전 자리에 앉아라』, 『선율겸행』, 『전등수필』 등이 있다.
펼치기
정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상 지도자이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학과 교수이다. 스리랑카 국립 켈라니아대학교에서 위빠사나 수행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있는 그대로』, 『위빠사나』 등이 있고, 역서로는 『몰입이 시작이다』, 『어려울 때 힘이 되는 8가지 명상』, 『불교의 기원』 등이 있다.
펼치기
석길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졸업(철학박사). 금강대학교 HK교수를 역임했으며, 동아시아불교 사상과 한국불교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팔상성도의 시현과 대승 불전의 붓다관〉 〈대승기신론을 읽어온 문헌학과 교학의 시선들〉 〈동아시아 불교사 상사 연구의 한 반성〉과 저서로 《불교 동아시아를 만나다》 《동아시아 종파불교-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희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담학 전공지도교수이며, 불교와심리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부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역서로 『붓다와 아들러의 대화』, 『유식과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불교심리학과 인지행동치료』, 『붓다와 프로이트』, 『붓다의 영적 돌봄』, 『만다라 미술치료』, 『심리치료와 행복추구』, 『자비와 공』, 『불교심리학사전』, 『불교상담학개론』, 『한역으로 읽는 알아차림의 확립 수행』, 『불교심리학 연구』, 『불교의 언어관』 등이 있고, 40여 편의 불교심리학 및 불교상담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