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물리학 > 상대성이론
· ISBN : 9788958200321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05-05-28
책 소개
목차
1부 상대성이론, 세상의 빛을 보다
1. 아인슈타인과 오늘 / 김제완(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 한국과학문화진흥회 회장)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쓴 상대성이론
2. 아인슈타인, 그는 누구인가 / 정재승(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시스템학과 교수)
20세기를 관통한 아인슈타인의 찬란한 생애
3. 천재성의 비밀 / 홍성욱(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상대성이론이 만들어지기까지
4. 상대성이론 따라잡기 / 우정원(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대성이론이란 무엇인가?
5. 상대성이론이 바라본 세계 / 양형진(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와 시공간
2부 상대성이론, 빛의 속도로 20세기 문화와 충돌하다
1. 철학 / 이초식(고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학회 명예회장)
상대성이론, 철학적 난제를 풀다
2. 미술 / 전영백(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
보이는 대로 그리기란 쉽지 않다
3. 사진 / 정근원(조선대학교 산업미술대학 교수)
사진 영상, 시간과 공간을 복제하다
4. SF문학 / 박상준(과학 칼럼니스트)
상대론적 상상력의 새로운 지평
5. 음악 / 윤민영(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책임연구원)
새로운 규칙성의 발견, 상대성이론과 현대음악
6. 건축 / 함성호(건축평론가, 건축설계사무소 EON 소장)
휘어진 공간, 휘어진 건축
7. 영화 / 이상용(영화평론가)
아인슈타인이라는 영화관
8. 애니메이션 / 한창완(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무한 공간에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시간의 발전소
9. 광고 / 고장원(SK C&C 컨텐츠 개발 사업팀 차장)
아인슈타인, 과학자에서 상업적 아이콘으로
10. 생활 / 김상연(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기자)
일상생활 곳곳에 숨은 아인슈타인의 흔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인슈타인은 1916년 발표한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논문에서 자신의 이론을 검증할 예들을 제시하는데, 그 중에는 "빛은 태양처럼 무거운 중력장을 지날 때는 휜다"는 내용이 있다. 이 말은 달리 표현하면 빛이 그런 중력장을 지날 때 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그의 이론은 거짓이라고 반증될 수 있다는 뜻이다.
포퍼는 이 점에 크게 주목하여 이와 같은 과학의 특성을 과학외적인 영역과 구별하는 기준으로 삼고자 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이처럼 반증의 위험을 무릅쓰고 주장하는 데 비해, 마르크스주의나 정신분석학의 이론은 반증이 가능한 사례를 전혀 제시하지 않는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이나 정신분석학자들은 자신들의 이론을 증명할 만한 사례들만을 제시하며 주장할 뿐, 이론이 틀릴 수 있는 예외적인 사례는 전혀 밝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도 틀릴 수 없는 경험 현상의 이론은 과학 이론이 될 수 없고 반증 가능한 조건을 제시하는 이론만이 과학적일 수 있다. - 본문 108~10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