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8800122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14-08-20
책 소개
목차
시리즈를 펴내며
책을 펴내며
해도 안 되는 시대, 벗이 필요한 이유 │ 엄기호
꿈의 발견은 삶의 종착지/ 불화하고 사유하라/ 기대하는 삶, 낭비 없는 삶을 낳다/ 기대가 깨진 삶, 분노하거나 냉소하거나/ 그래도 계속 기대를 붙들고 산다면/ 희망은 함께 기다리는 것
인간은 신을 버릴 수 있는가 │ 성해영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와 세계관의 갈등/ 종교는 없는 편이 낫다?/ 종교만이 줄 수 있는 것들/ 보이지 않는 세계는 상상의 산물일까?/ 표층종교에서 심층종교로/ 종교와 행복
우리에게 시는 왜 필요한가 │ 이문재
꿈을 이루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꿈을 이루는 세 가지 비결/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다/ 자존감 회복이 모든 것의 출발점/ 상상력 : 모든 것은 서로 연결돼 있다/ 시 속에서 '온전한 나'를 되찾자/ 좋은 시는 독자에 의해 완성된다/ 누군가에게 선물이 되는 삶을 살아라
밥 한 숟가락의 무게 │ 서정홍
농부가 없으면 우린 무얼 먹고 살까/ 이 시대의 성직, 농부/ 까치가 일깨워 준 ‘사람의 길’/ 똥오줌이 황금보다 귀하다/ 텃밭 상자를 일구는 도시 농부가 그 첫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철학으로 본 생명 감수성과 생명의 즐거움 │ 이성희
노자와 장자, 생명의 세계관/ 기계의 길, 생명의 길/ 혼돈, 생명의 탄생/ 혼돈의 살해, 고대 여신 문명의 몰락/ 남성 중심 사회의 위험성/ 타자의 감옥과 나의 해방/ 생명 감수성의 회복
민주주의의 정전blackout, 밀양의 눈물 │ 이계삼
“그냥 요대로 살고 싶다”/ 삶의 터전을 강탈당한 사람들/ 무소불위의 전원개발촉진법/ 법 위에 군림하는 한전/ 밀양 송전탑에 걸려 있는 엄청난 금전과 위험의 파노라마/ 밀양의 눈물을 기억해 주세요
저자소개
책속에서
내가 ‘나’가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게 바로 이 세계와 불화하는 거예요. 싸우는 거예요. 불화하지 않고, 의심하지 않고, 대들지 않고 ‘나’라는 건 안 만들어져요.
- 엄기호, <해도 안 되는 시대, 벗이 필요한 이유>, 26쪽
현재를 늘 억압하고 미래를 위해 효율적으로만 살아야 하는 것이 ‘기대’를 중심에 놓은 삶입니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삶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지만 동시에 기대에 구속된 삶이 아니라 기대로부터 벗어난 삶을 상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엄기호, <해도 안 되는 시대, 벗이 필요한 이유>, 42쪽
종교 생활은 표층적 차원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지만 확장된 해석을 기반으로 더 깊은 심층의 차원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또 심층적 차원의 종교 생활을 통해 타인에게 보다 폭넓은 유연성과 융통성을 발휘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마치 온갖 삶의 풍상을 다 겪은 현명한 노인이 한없이 부드러운 미소와 배려로 타인을 대하듯이 심층적 종교 생활을 통해 우리는 보다 지혜롭고 자애로운 사람으로 변화해야 해요.
- 성해영, <인간은 신을 버릴 수 있는가>, 92쪽
우리를 자유롭고, 기쁘고, 즐겁게 하는 종교가 진짜 종교 같습니다. 다시 말해 웃음과 자유를 주는 게 참된 종교라는 거지요. 행복은 항상 웃음과 함께 가잖아요.
- 성해영, <인간은 신을 버릴 수 있는가>, 95쪽
요즘 들어 상상력은 ‘없는 것을 만들어 내는 신통력’이나 ‘돈이 되는 아이디어’를 일컫는 말로 쓰이지만 진정한 상상력은 타자의 입장이 되어 보는 자발적이고 유연한 감정이입을 말합니다. 지구상의 모든 존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인식은 자존감을 회복시켜 줄 뿐만 아니라 이웃과 사회를 다시 보게 만들어 줍니다.
- 이문재, <우리에게 시는 왜 필요한가>, 112쪽
내가 시간적으로, 또 공간적으로 이 우주의 모든 것과 촘촘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깨달을 때, 나는 존귀해집니다. 그리고 내가 존귀해져야 다른 사람은 물론 뭇 생명, 나아가 사물까지도 존귀하게 대할 수 있습니다.
- 이문재, <우리에게 시는 왜 필요한가>, 12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