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합적인 통일과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2

통합적인 통일과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2

김병로, 임성빈, 제성호, 전우택, 백종국, 허문영, 김형석 (지은이)
예영커뮤니케이션
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200원 -10% 2,500원
400원
9,300원 >
7,2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720원
8,9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합적인 통일과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합적인 통일과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2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8350255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03-03-18

책 소개

21세기 한민족의 최대 과제이자 주요 과제인 통일. 이 책은 '사람의 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준비에 초점을 맞춰서 기획된 것이다. '사람의 통일'이란, 사람의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통일을 의미하는 것이다.

목차

서문

1장. 민족 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회적 과제 / 김병로

1. 사회적 통일 환경의 현실
2. 분단 경제의 현실과 경제 협력의 불가피성에 대한 인식 제고
3. 분단의 사회적 폐쇄성 극복과 열린 세계의 비전 제시
4. 통일 과정의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
5. 사회 문화 교류를 통한 민족 공동체 의식 형성
6. 결론

2장. 한반도 정세 전망 / 허문영

1. 문제 제기
2. 북한의 대중·러 정상회담 개최 배경
3. 北·러 공동선언과 북·중 정상회담 내용 분석
4. 북한의 대중·러 정상회담 평가
5. 동북아 및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
6. 우리의 대응 방향

3장. 한반도 통일과 한국 기독교 / 백종국

1. 서론
2. '4+2' 동북아 체제의 성립과 한반도 통일
3.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한의 정치 문화적 대안
4. 한반도 통일을 위한 한국 기독교의 대안
5. 결론

4장. 남북 통일과 법 체계 통합 / 제성호

1. 서론
2. 분단국 법 통합의 의미
3. 통일 독일의 법 통합 : 선행 법 통합 사례 연구
4. 남북한의 법 통합 방향
5. 결론

5장. 사람의 통일 : 북한 사람! 남한 사람! / 전우택

1. 민족 이질화는 정말로 중요한 문제인가?
2. 심리적 이질감의 내용
3. 남북의 이질감을 어떻게 극복하여햐 하는가?
4. 민족적 이질감을 극복하는 데 있어 한국 기독교의 역할
5. 결론

^66장. 민족 화해와 평화 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 / 김형석

1. 민족 화해를 위한 교회의 자아 성찰
2. 한국 교회 통일 운도의 과제와 전망
3. 결론

7장. 사람의 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 / 임성빈

1. 서론
2. 문화 통합의 모색
3. 문화 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
4. 남북한 문화 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

저자소개

김병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을 거쳐, 아신대학교 교수 및 북한연구소 소장, 제22대 북한연구학회 회장, 통일부·국방부·국가정보원·KBS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 상임위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발 평화학』,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Two Koreas in Development, 『다시 통일을 꿈꾸다』 등이 있고, 공저서로는 『김정은 집권 10년 북한주민 통일의식』,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문서로 보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한국형 발전모델의 대외관계사』 등이 있다.
펼치기
임성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루이빌신학대학원(M.A.)과 미국 프린스턴신학대학원에서 기독교윤리학(Ph.D.)을 공부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문화 선교의 비전을 품고 한국의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왔다. 특히 책임윤리와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역할과 책임’이라는 이슈에 천착하며 신학적 아젠다 설정에 힘써 왔다. 주요 저서로는 《아직도 희망이 있나요》 등이 있다.
펼치기
전우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교수 겸 연세동곡의학교육원 원장이며, 한국의학교육학회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연세의대를 졸업하였다. 1989년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자격, 1994년 연세대학교에서 의사박사학위(정신의학)를 취득하였다. 1994년부터 연세의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사회의학과(Department of Social Medicine)와 하버드 난민 프로그램(Harvard Program of Refugee)에서 fellow로 활동하였다. 정신과 영역에서는 주로 사회정신의학 영역에서 연구를 하여 탈북자, 난민, 사회적 트라우마, 북한과 통일에 대한 연구들을 하였으며, 한국자살예방협회 이사장,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 한반도평화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연세의대 의학교육학과로 소속을 옮겨 의학교육학과 교수 및 학과장으로 활동하면서 정신과학교실 및 인문사회의학교실 겸무교수로 있어왔다. 의학교육 학술지인 <의학교육논단>의 편집인 및 대한의학회 교육이사, 한국의학교육학회 의학교육지원단(MERCI)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통일 관련 대표저서로는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단독, 2000),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단독, 2007), <웰컴 투 코리아>(공동저자, 2006), <통일 실험, 그 7년>(대표편저자, 2010),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대표편저자, 2015),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대표편저자, 2016), <트라우마와 사회치유>(대표편저자,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대표편저자, 2019, 2021), <평화와 반평화>(대표편저자, 2021), <통일보건의료의 미래>(대표편저자, 2023) 등이 있다. 의학교육 관련 대표저서로는 <사회의학 연구방법론>(단독, 1999), <의료의 문화사회학>(대표편저자, 2002), <의학적 상상력의 힘>(대표편저자, 2010), <인문사회의학>(대표편저자, 2010), <예비의료인을 위한 진로선택 가이드북>(대표편저자, 2006, 2014), <의학교육의 미래>(1판, 단독, 2016) 등이 있다. 의료선교 관련 저서로 <의교선교학>(대표편저자, 2004), <땅 끝의 아침>(대표편저자, 2007) 등이 있고, 그 외 <정신의학과 기독교>(대표편저자, 2020)가 있다.
펼치기
백종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생으로 일곱 명의 손주가 있다. 그는 일곱 손주들이 풍부한 지혜를 가지고 자신의 삶을 잘 가꾸어 나가기를 소망하고 있다. 자신의 손주들뿐만 아니라 모든 이의 손주들도 그러하기를 바라고 있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정치외교학과의 명예교수이며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의 이사장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민주시민의 교양』(예영), 『멕시코혁명사』(한길사), 『한국자본주의의 선택』(한길사) 등이 있다. 저자의 홈페이지를 보면 저자의 다양한 연구업적을 참고할 수 있다. 저자 홈페이지 http://jgback.gnu.ac.kr
펼치기
허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 통일부 산하 통일연구원 창립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한 문제 전문가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센터 소장이자 평화한국 상임대표, 통일부 통일교육심의위원, 민주평통 상임위원으로 있다. 저서로「통일한국의 정치체제」,「이명박 정부 대북 통일정책의 세부 실천방안」,「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인식과 대응」(이상통일연구원)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주 출신. 건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총신대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던 1995년 북한의 대홍수 소식을 듣고 인도지원 사업에 투신하였다. 이듬 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설립에 동참하여 초대 사무총장을 지내고, 한민족복지재단 회장과 통일과나눔재단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 시기 UN 경제사회이사회가 개최한 제1회 국제 NGO혁신박람회 아시아 대표로 선정되었다. 이후 역사학자로 돌아와 안익태기념재단 연구위원장 고신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지금은 재단법인 대한민국역사와미래 이사장이다. 대학 강단과 사회운동 현장을 두루 경험한 특별한 역사학자로, 저서로는 《끝나야 할 역사전쟁》(2022), 《안익태의 극일 스토리》(2019), 《광주 그날의 진실》(2017) 《한국교회여 다시 일어나라》(2015) 《기적을 이루는 사람들》과 《남강 이승훈과 민족운동》(1988) 《일재 김병조의 민족운동》(1991)을 비롯한 다수의 독립운동에 관한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