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사일반
· ISBN : 9788984312494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07-11-23
책 소개
목차
1. 검투사 노예에서 자유의 투사로 되살아난 ‘스파르타쿠스’ 이야기
|김덕수(서울대 역사교육과 교수)
2. 에티엔 마르셀과 14세기 ‘파리의 혁명’
|성백용(인하대 서양사 강사)
3. 혁명의 신학자 토마스 뮌처
|황대현(서울시립대 학술연구 교수)
4. 평등주의자 그라쿠스 바뵈프
|박윤덕(서울대 서양사 강사)
5. 윌리엄 모리스의 사회주의와 유토피아
|송충기(공주대 사학과 교수)
6. ‘노동자 황제’ 아우구스트 베벨
|고재백(서울대 서양사 강사)
7. 로자 룩셈부르크, 한 혁명가의 ‘가지 않은 길’
|문수현(서울대 서양사 강사)
8.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고독한 수호자,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이채욱(서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9. 마르토프, 사회주의의 햄릿?
|박상철(전남대 사학과 교수)
10. 혁명가 이네사 아르만드
|기계형(서울대 서양사 강사)
11. 혁명가 스탈린, 독재자 스탈린
|김남섭(서울대 역사연구소 연수연구원)
12. 안토니오 그람시와 감옥 속의 민주주의
|장문석(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13. 두루티의 아나키즘 혁명 125일
|황보영조(경북대 사학과 교수)
14. 말콤 엑스, 블랙 무슬림에서 국제주의 혁명가로
|안효상(서울대 서양사 강사)
15. 칠레의 고독한 ‘구원자’ 살바도르 아옌데
|박구병(서울대 서양사 강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뮌처에게 종교 개혁과 농민 전쟁으로 표출된 사회 혁명은 상호 연관 관계가 없는 별개의 사건이거나 저상 궤도로부터의 이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달리 표현하자면 종교 개혁가 뮌처와 농민 전쟁의 지도자 뮌처가 따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다. ... 뮌처의 신학 체계에서는 내적 갱신과 내적 혁명은 필연적으로 사회 갱신과 사회 혁명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p101 중에서
국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지원에 대한 기대도 사라지고 국내 부르주아 세력은 물론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조국인 소련과도 싸워야 하는 상황 속에서 두루티는 죽고 말았다. 그의 죽음은 혁명 지도자의 상실이자 인민들이 우러르던 영웅의 상실이다. 하지만 1936년 여름의 아나키즘 혁명은 대안 사회를 위한 하나의 실험으로서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다.-p40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