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속가능한 개발과 공공행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공공행정

(개발도상국 사례연구)

임도빈, 김순은, 권혁주, 구민교, 김정부, 엄석진, 고길곤, 홍석빈, 김은주, 이수영 (지은이)
문우사(도서출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3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0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속가능한 개발과 공공행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속가능한 개발과 공공행정 (개발도상국 사례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85994260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16-05-25

책 소개

여러 개발도상국들이 직면한 공공행정에서의 도전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분석한 연구성과를 묶은 것이다.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개발도상국을 이해하고, 정책대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국제개발협력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발간사 iii
서 론 개발도상국 공공행정 연구의 중요성?권혁주
제 1 부 개발도상국 발전을 위한 국가의 기능과 역할?권혁주
Ⅰ. 지속가능한 개발과 국가행정의 역할
Ⅱ. 국가행정제도와 기능의 발전
1. 국가의 핵심기능
2. 국가정책과 경제발전
3. 현대국가로서의 복지국가
4. 발전국가의 딜레마와 정책조정
5. 국가의 기능과 역할, 국가능력
Ⅲ. 개발도상국의 다양한 국가행정 과제
제 2 부 개발도상국 사례연구
제 1?장 인도네시아의 지방분권화에 따른 중앙-지방정부 간 재정관계와 지방공공서비스의 향상?김정부
Ⅰ. 서 론
Ⅱ. 분권화의 지방자치 법적 기반 및 분권화의 전개
Ⅲ. 중앙-지방정부 간 재정적 관계
Ⅳ. 지방분권화의 효과
Ⅴ. 지방분권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Ⅵ. 결 론
제 2 장 베트남의 지방정부와 지방분권?김순은
Ⅰ. 서 론
Ⅱ. 베트남의 지방정부
1. 베트남 지방정부의 배경적 특색
2. 베트남의 헌법과 지방정부의 기원
3. 베트남 지방정부의 구성
Ⅲ. 지방분권의 이론적 논의
1. 지방분권의 정의
2. 지방분권의 종류
Ⅳ. 베트남의 지방분권
1. 베트남의 행정개혁과 지방분권의 배경
2. 행정개혁과 지방분권
Ⅴ. 베트남의 지방정부와 지방분권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1. 지방분권의 주요 특징
2. 시사점
Ⅵ. 결 론
제 3 장 사회보호제도 도입을 위한 필리핀의 거버넌스 개혁?김은주
Ⅰ. 서 론
Ⅱ. 필리핀의 사회보호제도(social protection)
1. 필리핀이 직면한 사회문제 : 빈곤, 불평등, 불안정한 일자리, 기후변화
2. 사회보호제도의 개요
Ⅲ. 민주화 이후 필리핀 행정체제와 빈곤감소정책의 특징
1. 행정체제의 특징 : 지방분권화와 신공공관리(NPM) 개혁의 부정적 부수효과
2. 빈곤감소정책의 특징 : 정책단절과 후견주의로 인한 정책실패
Ⅳ. 국가의 복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거버넌스 개혁
1. 구조적 개혁 : 복지재정배분 방식 개혁
2. 프로그램 단위 개혁 : CCT 집행과정과 정책조정체계 개혁
Ⅴ. 빈곤감소를 위한 거버넌스 개혁의 메커니즘
Ⅵ. 결 론
제 4 장 경제위기 이후 캄보디아 정부의 정책과 사회발전 과제?권혁주
Ⅰ. 서 론
Ⅱ. 캄보디아의 식민지 경험과 내전의 상처
Ⅲ. 정치체제와 정부의 구조
Ⅳ. 캄보디아의 경제정책과 사회정책
1. 캄보디아의 국가발전계획
2. 사회적 보호를 위한 국가전략계획(National Social Protection Strategy)의 수립과 한계
3. 지방행정체제의 수립과 분권화
4. 지방행정체제 수립과정
Ⅴ. 결 론
제 5 장 태국과 한국의 무역정책 비교연구 : 발전지향적 무역정책의 다양성 관점에서?구민교·홍석빈
Ⅰ. 서 론
Ⅱ. 발전지향적 무역정책의 다양성에 관한 개념적 틀
1. 발전국가 대 신자유주의적 수렴
2. 발전주의와 자유주의의 연계
3. 태국 : 시장기반 자유주의에서 부문별 정실주의로의 전환
4. 한국 통상정책의 발전국가적 자유주의로의 전환
Ⅲ.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 6?장 싱가포르의 실용주의(Pragmatism)에 대한 비판적 검토?고길곤
Ⅰ. 서 론
Ⅱ. 싱가포르의 실용주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실용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관점
2. 싱가포르의 실용주의의 사례
Ⅲ. 싱가포르의 실용주의의 시사점과 도전
제 7 장 탄자니아의 행정조직 및 행정개혁 사례연구?이수영
Ⅰ. 서 론
Ⅱ. 탄자니아의 행정부 조직체계
1. 중앙정부
2. 지방정부
Ⅲ. 탄자니아 행정개혁에 대한 연혁적 분석
1. 행정개혁 관장기관 : 공공서비스관리처
2. 탄자니아 행정개혁의 연혁적 분석
3. 탄자니아 공공부문 성과관리 시스템
Ⅳ. 결 론
제 8 장 우간다의 정책조정 환경과 행정개혁?임도빈
Ⅰ. 서 론
1. 우간다 개황
2. 우간다의 역사
Ⅱ. 우간다의 정치 체계
1. 헌법구조
2. 입법부 및 정당 체계
3. 사법부
Ⅲ. 우간다의 행정 체계
1. 중앙정부
2. 지방정부
Ⅳ. 우간다의 민간 거버넌스
1. 시민사회와 언론
2. NGO
3. 국제 거버넌스의 영향
Ⅴ. 우간다의 행정개혁
1. 개혁의 제약요인 : 제왕적 대통령
2. 미시적 개혁
Ⅵ. 결 론
제 9 장 콜롬비아의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 제도적 접근?엄석진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제도의 중요성
2. 제도주의 시각에서의 전자정부 연구
3.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분석
Ⅲ. 콜롬비아의 전자정부 추진 전략과 현황
1. 콜롬비아의 국가정보화 전략과 전자정부 추진 전략
2. 전자정부 추진 결과
Ⅵ. 콜롬비아의 전자정부 추진 거버넌스 분석
1. 법 제도
2. 조직적 배열
3. 통제와 조정을 위한 관리도구
Ⅴ. 결 론
부 록 아시아개발연구소의 설립배경 및 발전과정
Ⅰ. 아시아개발연구소의 설립배경
Ⅱ. 아시아개발연구소의 발전과정
1. 사업기반 구축과 외연 확장
2. 제도화
찾아보기
저자 약력

저자소개

임도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졸업(문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과정 수료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원(I.E.P. de Paris) 졸업(사회학 박사)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원(I.E.P. de Paris) 초빙교수 인디애나․퍼듀대학(IUPUI) 교환교수 조지메이슨대학 교환교수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한국정책학회 학술상 수상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수상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한국행정연구소 겸무 연구원 [주요 연구업적] 「지방화시대의 국가행정」, 서울: 장원출판사, 1994 Le Prefét dans la Décentralisation, Paris: I’Harmattan, 1997 Public Organizations in Asia, London: Routledge, 2018 「프랑스의 정치행정체제」, 서울: 법문사, 2001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2023(공저) 「한국지방조직론」, 서울: 박영사, 2004 「행정학」, 서울: 박영사, 2025 외 저서 및 학술논문 다수
펼치기
권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로 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유엔사회발전연구소 연구조정관을 역임했고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2015~2016), Global Social Policy(2016~) 공동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Policy in a Development Nexus vol. 1 & 2(2014, 2017),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 운영』(2018) 등이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 「보편적 복지에 대한 규범론적 분석」(20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 공대(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와 조지아 주립대(Georgia State University)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주로 재무행정, 예산제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관계 등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고길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현)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조교수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정책학 박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사
펼치기
홍석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석빈 박사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정치학 학사학위, 동 대학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 동 대학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Anderson Consulting, Accenture, Deloitte Consulting 등 다국적 경영컨설팅 Firm에서 국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영전략 컨설팅을 하였으며, 이후 LG경제연구원에서 국내외 거시경제 연구, 통상정책, 규제정책,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분야 등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경기대학교 행정학과, 배재대학교 공공정책학과, 우석대학교 공공인재학부 등에서 강의 중이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통상정책, 정부(행정)개혁, 규제정책, 기업 경영전략 및 인사·조직 등이다.
펼치기
김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은주 박사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University of Bristol) 빈곤 및 사회정의 연구소(Centre for the Study of Poverty and Social Justice)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공공행정팀 거버넌스 전문관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거버넌스, 빈곤, 사회보호, 정책과정론 등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